정부가 ‘국가보건의료정보화’ 구축을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들어갔다.
복지부는 최근 ‘국가보건의료정보화 사업추진단’ 구성·운영계획을 통해 “국가보건정보시스템 구축 및 국가보건정보센터 설립을 위해 2006년 74억원 등 2008년까지 총 58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동 사업을 전담추진하기 위해 2007년 설립될 ‘국가보건정보센터’ 선행조직으로 ‘국가보건의료정보화 사업추진단’을 본격 운영한다”고 발표했다.
지난 12월 초 구성된 사업추진단의 주요업무는 *국가보건의료정보화 종합계획 수립(국가 e-Health 추진을 위한 기본계획 및 세무계획 수립, 전자건강기록 HER 확산계획 수립 및 추진, 공공보건의료 정보화사업의 세부 실행계획 수립 등) *정보표준 확산·관리 및 관련법률 제정 등 기반 마련 등이다.
또한 *국가보건정보시스템 개발 및 국가보건정보센터 설립(정보시스템 시범운영, 사용자 교육 및 확산지원, 국가보건정보센터 설립, 운영방안 수립 및 추진) *국가 e-Health 서비스 개발 및 시범사업 추진(소비자 건강정보제공 및 원격의료서비스 방안 수립, 서비스 질 평가 및 인증체계 구축 등)도 주요업무로 추진된다.
한편 정부의 국가보건의료정보화 사업 추진을 위한 인적 인프라는 복지부 본부의 기존 인원을 배치화되 동 사업과 관련이 있는 심평원 등 산하기관, 소속기관에서 인력을 파견받아 구성하며, 향후 국가보건정보센터로 발전했을 시를 고려해 유관기관의 인력을 적극 활용하게 된다.
아울러 교수 등 외부전문가를 적극 동참케해 민관합동형 추진체계를 구축하고, e-Health 전문위원회 등 기존 관련추진체계와의 연계방안도 모색할 방침이다.
김도환 기자(dhkim@medifonews.com)
2005-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