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의사협회 최대집 회장에게 대한개원의협의회의 법인화 및 대정부 수가협상은 대한개원의협의회가 맡아야 한다는 것에 대한 협조를 요청했고, 흔쾌히 동의했다.”

2일 대한개원의협의회(이하 대개협) 김동석 회장이 취임사에서 이같이 밝혔다.
김 회장은 “대개협의 법인화는 대개협이 각과 의사회의 연합회 형식이 아닌 실질적으로 모든 개원의를 대표하는 대표단체가 되는 것이다. 이로써 대개협 상위 단체인 대한의사협회(이하 의협)는 명실상부한 의료계의 최상위 단체가 되는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대개협의 최우선 업무로 수가협상을 들었다.
김 회장은 “대개협이 직접 의원급 수가협상에 나선다면 당사자로서 가장 적극적으로 개원가를 대변할 수 있을 것이다. 저는 수가협상에 위원으로 참여한 경험이 있다. 이런 경험은 앞으로의 수가 협상에 큰 힘이 될 것이다.”라고 언급했다.
김 회장은 “의협과 대개협이 역할 분담을 확실히 하여, 명분은 의협의 몫으로 보내고 대개협은 오로지 개원의의 위상과 생존만을 생각하며 실리를 챙기는 강력한 이익단체로 태어나도록 하겠다.”고 다짐했다.
김 회장은 “의협 집행부와 대개협이 주요 현안에 대해 유기적으로 협조하며, 대개협은 개원의만을 위한 단체가 되겠다.”고 했다.
투쟁을 해야 할 때는 투쟁에 나섰고 앞으로도 나설 거라고 했다.
김 회장은 “문케어 저지 투쟁으로 청계천과 의협 마당에서 연대사를 외쳤으며, 복강 내 태아사망에 대해 의사를 구속하라는 판결에 ‘전국산부인과의사 긴급궐기대회’를 개최했다. 전국에서 1,000여 명의 의사들이 참여하였고, 이를 계기로 잠자고 있던 의료계를 일깨우고, 항소심에서 무죄판결을 이끌어 냈다. 앞으로도 회원을 위하는 일이라면 물불을 가리지 않고 온 몸으로 부당함에 맞서겠다.”고 다짐했다.
각 의료현안에도 적극 대응, 성과를 거둬왔고 앞으로도 그럴 거라고 했다.
김 회장은 “지난 해 의료전달체계 권고안이 이송체계의 문제가 아닌 의원급 병실폐쇄를 목적으로 하는 것에 대해 각 과 의사회의 협조를 이끌어내어 무산시켰다. 이렇듯 대개협을 하나로 뭉치게 하여 어떠한 격랑도 이겨낼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김 회장은 “실사를 받던 비뇨기과의사 두 분의 극단적인 선택을 안타까워하며 저는 현지실사 전에 사전 통보를 하고, 착오가 있다면 그 액수만 환원하면 되는 고시 행정예고를 이루어냈다. 향후 의료사고처리특례법 제정, 무과실 국가배상책임제를 반드시 만들어내겠다.”고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