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식품매개질환 역학특성 등 관리방안 모색

국립보건硏, 산·학·연 합동 심포지엄 개최

매년 식품매개질환 발생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1조원에 이르고 있는 가운데, 국내 역학적 특성, 학교급식, 위해평가방안 병원체검출, 오염원 지문분석 등 국가차원의 관리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원장 조해월)은 3일 본부 국제회의실에서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국내 식품매개질환 병원체 검출 현황 및 관리방안’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 교육인적자원부 조혜영 박사는 학교 급식현황 및 식중독 발생현황에 대해 발표하고 *급식소 위생안정점검 강화 *학교급식점검단 운영 *위생교육 강화 등을 통한 학교식중독 관리방안 방침과 철저한 역학조사를 통한 식중독 원인규명률 제고를 위한 식품위생법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안)을 제시했다.
 
이와함께 강원대 오덕환 교수는 우리나라 식품 유통 및 위생 실정에 맞는 국내 활용이 가능한 미생물위해 평가(Microbial Risk Assessment, MRA) 프로그램 개발현황, Ready-to-eat 식품 중 Staphylococcus aureus균의 국내·외 위해 평가 수행사례, 식중독균 기준·규격의 정량화 위해평가 사례를 발표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이철수 박사는 식중독 발생 감소를 위한 관리방안으로 *인허가 요건개선, 조리장의 면적규제 *종사원의 자격강화 *중앙집중식 조리 유통구조(cook-chill) 등 행정적인 요소와 *위생관리 매뉴얼 *시설가이드라인 보급 *규격조리법 *해동식품의 기준표 등 소프트웨어적인 요소, *전기화 사업 *조리장의 요철화에 의한 건조환경 개선 *모델하우스 건립에 의한 교육 홍보강화 *주방조리기구의 규격화 및 기반구축 등 하드웨어적인 요소를 각각 구분·강조했다.
 
코젠바이오텍 남용석 박사는 현재 식품매개질환 병원체 검출방법으로 생화학적 방법(Vitek 등), 핵산을 근거로 한 방법, 단백질을 이용한 방법 등을 소개하고 향후에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검사가 가능한 Kit개발, 분자유전학적, 면역학적 시험법의 표준화방안 등을 제시했다.
 
국립보건연구원 장내세균팀 김석호 박사는 우리나라 식품매개전염병에서 분리된 병원체 염색체 지문분석 결과의 DB구축과 네트워크를 이용한 신속한 분석 및 원인규명을 통한 전염병 유행조기경보 및 차단 시스템을 소개했다.
 
한편 이번 심포지엄은 전염병관련, 식품관련병원체, 식품제조 및 가공, 현장 식품유통 모니터링, 식품유통, 학계 등 각 전문가 29명으로 구성된 산·학·연 합동 모임인 식품매개질환연구회가 주관했다.
 
류장훈 기자(ppvge@medifonews.com)
2006-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