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의사협회 장동익 신임회장과 대한한의사협회 엄종희 회장이 한약부작용, 한방 CT사용, IMS치료, 정부의 한방육성정책 등 의료계와 한의계 사이에 있어왔던 논란에 대한 기존 입장차를 재확인했다.
이들 두 회장은 중앙일보가 최근 마련한 대담에서 그동안 공방이 치열했던 각 현안에 대해 ‘절대 양보할 수 없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한방 부작용 분쟁과 관련 장 회장은 “한약으로 인한 부작용 피해가 엄청나다”며 “700여명의 의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70% 이상이 한약피해 환자를 진료해 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엄 회장은 “지난 한방 감기 포스터는 임신 중에 써도 좋은 감기약을 강조했을 뿐”이라고 전제하고 “한의학에서는 ‘수치’ ‘법치’라고 독을 순화시켜 인체에 투여했을 때 가장 효율성을 내는 법을 연구하고 있으며 한의사의 정확한 진단과 처방에 따른다면 부작용은 없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또한 최근 항소심 등으로 논란의 연장선상에 있는 ‘한방병원 CT사용’ 문제에 대해 엄 회장은 “의료기기는 환자의 병을 낫게 하는 수단인 만큼 의료인이라면 누구나 쓸 수 있는 것이 당연하다”며 “한의사이기 때문에 첨단의료장비를 사용하지 말라는 것은 수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에 장 회장은 “그러면 간호사도 의료기기를 사용하라는 말이냐”며 “몇 년전 한 중년 여성이 한의원에서 췌장암 말기라는 진단을 받고 한약 치료를 받다가 내원했는데 췌장은 멀쩡했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 ‘한방병원 CT사용’ 판결이 2심 판결에서도 반복되면 젊은 한의사들이 아무 의료기기나 막 쓰려고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의료계의 IMS 치료와 관련 엄 회장은 “IMS는 필리핀 의사가 침술의 원리를 이용해 만든 것”이라며 “CT나 초음파 기기는 진단 도구일 뿐이지만 IMS는 전통의학의 치료영역 침범”이라고 재반박했다.
한편 정부의 한의약 육성정책과 관련해서는 “국제경쟁력을 갖추려면 한의학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전제하고 “이를 위해 국립대에도 한의대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장 회장은 “한의계가 스스로 자정 노력도 하지 않는데 정부가 1조원의 재정을 지원하겠다는 것은 말도 안된다”며 “이에 대해서는 이미 시민단체에서 감사원에 감사청구도 했다”고 밝혔다.
또한 엄 회장이 올해 초 의료계에 제안한 ‘범의료계 상생위원회’에 대해 “한방을 무조건 부정하는 것을 아니지만 10만원을 빼앗아간 상대와 어떻게 상생이 가능하겠느냐”며 “CT 2심 핀결이 해결되기를 기다리고 있다”며 조건부 공조 가능성을 시사했다.
류장훈 기자(ppvge@medifonews.com)
2006-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