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차기 집행부의 공식적인 출범(5월1일)이 닷새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장동익 집행부의 구성이 예정보다 늦어지고 있어 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이번 인선 과정에서는 주요 보직을 중심으로 변동사항이 많은 데다, 이번 인사를 두고 특정직에 대해 캐비넷 내·외적으로 부적절하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는 등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장동익 신임회장은 25일 본지와의 전화통화에서 “차기 집행부 임원 명단을 오늘 확정·발표할 예정이었지만 문제가 있어 미뤄지게 됐다”며 “조만간 결정해 회원들에게 공지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같이 일정이 지연되는 것에 대해, 일각에서는 현재 장 회장의 움직임으로 볼 때 이사진의 규모가 늘어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어 “장 회장이 자기사람들을 모두 안고 가려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 한 의료계 인사는 “현재 장동익 집행부가 가능한 많은 사람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고심하고 있는 것 같다”며 “이에 따라 차기 임원진이 기존보다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이와 같은 전망은 “이사진에 특정직역에 대한 TO가 2~3명 늘어날 것”이라는 구체적인 소문까지 퍼지면서 힘을 얻고 있다.
장 신임회장은 당선 당시에도 집행부 인선에서 능력있는 사람을 적극 임용해 드림팀으로 구성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고, 학연을 배제한 능력위주의 인원구성 방침을 공공연히 밝혀온 정황으로 봤을 때도 이 같은 견해가 설득력을 얻고 있는 상황이다.
인선이 늦어지고 있는 또다른 이유로는 당초 집행부 명단에 포함돼 있던 인사가 인선과정에서 상당수 빠지고 보직에서도 변동이 있어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실제로 인선 물망에 올라있던 한 인사는 “이제는 더 이상 나와 인선과는 관계없다”고 밝히기도 했다.
또한 이번 인선에 포함돼 있는 것으로 알려진 인사들도 이번 인선에 관해서는 모두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어 이러한 의혹은 더욱 증폭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행 정관상으로는 상근이사를 포함한 상임이사의 경우 대의원총회의 인준을 받은 20명 이내로 명시돼 있어 정관이 개정되지 않은 이상 이 범위를 넘어설 수는 없게 돼 있다.
그러나 인선 과정에서 규모가 이처럼 부풀려질 경우, 오히려 유력한 것으로 거론되다 탈락된 인사들의 반발 또한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 일반적인 시각이다.
뿐만 아니라 파격적인 인사로 알려진 전공의 임용도 현재 당연직으로 배정돼 있는 정책이사를 포함해 적게는 3명, 많게는 4명까지도 거론되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과거 의협의 중책을 맡은 바 있는 의료계 한 인사는 인선의 지연에 대해 “많은 인재들을 가려 적소에 쓰려는 의도일 것”이라면서도 “인수가 시작된 후 한달 열흘이 넘는 기간동안 분명한 임원명단이 결정되지 않은 것은 분명히 난항이라고 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 동안 의협 회장선거 직선제 전환 이후 집행부 교체에 있어 보궐선거와 중복됐던 선거를 제외하고는 여유를 두고 인선이 이뤄져 왔다는 것.
그는 이어 “현재로서는 신임회장을 포함한 소수의 인사들만 회무를 인수한 상태에서 업무파악을 해야하는 상임이사들 사이에 혼선이 빚어지는 것이 아니냐”고 우려를 제기했다.
이처럼 차기 집행부 인선을 두고 말들이 무성한 가운데, 곧 발표될 장동익 집행부의 신임 임원진 명단이 이 같은 오해를 불식시킬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류장훈 기자(ppvge@medifonews.com)
2006-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