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소개협-내과의, 명칭변경 ‘정면충돌?’

“정체성 혼란”↔”국회 통과만 남은 일” 대립

소아과를 ‘소아청소년과’로 명칭을 변경하는 관련법 개정 추진이 긍정적으로 검토되고 있는 가운데, 대한개원내과의사회가 저지의사를 밝힌 것을 계기로 일단락 됐던 소아과 개명문제가 또다시 전면전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특히 대한소아과개원의협의회는 내과의사회의 이 같은 입장표명을 이치에 맞지 않는 도발행위로 간주, 비상상임위원회까지 소집하며 적극 대응에 나서는 등 좌시하지 않겠다는 입장이어서 다시 진료과목간 갈등으로 불거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내과의사회는 3일 기자회견을 통해 “의료계 질서와 정체성을 문란케 한다는 점에서 소아과 개명은 동감하기 어렵다”며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방법을 강구해 저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내과의사회는 소아과측의 경영난 등을 고려할 때 내과진료를 하는 것 자체는 ‘공생공존’ 차원에서 받아들일 수 있지만, 소아청소년과로 개명이 이뤄질 경우 영역파괴를 넘어서 진료과목에 대한 의미가 불분명해 지고 진료과목의 정체성에 혼란을 초래할 수 있어 개명만은 ‘절대불가’하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또한 “의사회에서는 의료계 질서정립 차원에서 정도를 지키자는 것”이라고 강조하고 “그러한 점에서 내과 진료를 표방하는 것은 받아들이겠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소개협은 “소아과 명칭변경에 대해 구체적인 대응에 나서겠다”는 내과의사회의 방침과 관련 4일 오후 7시경 비상상임위원회를 개최하고 대응책 모색에 들어갔다.
 
임수흠 소개협 회장은 “소아과 개명 문제는 복지부 의견 조회나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문위원실에서도 긍정적으로 검토된 사안으로 누가보더라도 이미 끝난 일”이라면서도 “내과의사회과 예정대로 저지를 실행에 옮긴다면 소개협은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전면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소아과 개명과 관련 국회 보건복지위 전문위원실은 소아과와 진단방사선과의 진료과목 명칭변경을 제안한 정형근 의원(한나라당)의 발의법안에 대해 의료적 중요성, 외국의 사례, 방사선이 주는 부정적 이미지 등을 고려할 때 개정안의 취지는 타당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힌 바 있다.
 
일단 소아과 개명은 관련법 개정안이 발의돼 긍정적으로 검토되고 있는 만큼 이미 개명되는 쪽으로 기울어진 상황이기는 하지만, 소개협은 한차례 발의에서 제외됐을 당시 논란이 제기됐던 것처럼 내과의사회 측이 국회측에 로비활동을 할 가능성이 있어 두고 볼 수 만은 없다는 것.
 
즉, 입법발의에는 로비의 영향이 작용하지 않더라도 법안심사에서는 차원이 다르다는 판단이다.
 
임 회장은 “내과의사회가 소아과 개명을 저지하겠다는 것은 곧 로비를 하겠다는 것”이라며 “입법 발의한 측은 논외로 하더라도 보건복지위원회 위원들을 대상으로 로비를 펼칠 경우 뒤집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만은 없기 때문에 협의회 차원에서 총력을 다할 수 밖에 없다”고 밝혔다.
 
특히 내과의사회가 저지의사를 밝힌 직후 국회측에서도 난색을 표명해 와 단순한 ‘딴지걸기’식 발언으로 치부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임 회장은 구체적인 대응계획에 대해 “현재 밝힐 수는 없지만 여러 정보망을 동원하는 등 이번 비상상임위에서 여러 대응방안이 강구됐다”며 언급을 피했으나 ‘의료계 차원에서도 바람직하지 않은 일’이라는 인식하에 의협 측과 상황 진화에 대한 논의에 들어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또한 임 회장은 내과의사회가 “개명만 하지 않는다면 내과진료를 표방해도 괜찮다”는 발언에 대해서는 “오히려 내과에서 소아과 환자를 더 많이 진료했으면 했지 소아과에서 내과환자를 진료한다는 것은 일방적인 주장”이라고 일축했다.
 
그는 이어 “내과의사회의 새로운 집행부가 개명을 도와주지는 못할망정 다시 표면화시키려는 것은 일본의 독도 주장보다 더한 일”이라며 “더군다나 장동익 전 내과의사회장이 의협회장에 오른 상황에서 뒤늦게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의료계 차원에서도 좋지 않다”고 말했다.
 
이번 소아과 개명을 둘러싼 논란은 ‘그동안 중립을 지켜오다 장동익 의협 회장 취임 직후 차기 집행부에서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장 회장의 선거용에 불과했던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어, 막판 개명 논란은 의협이 중재에 나설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류장훈 기자(ppvge@medifonews.com)
2006-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