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감사] 의료기관들의 진료 관련 진단서 발급 수수료 폭리가 매우 심각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기정 의원(열린우리당)은 16일 열린 보건복지부 국정감사에서 이 같이 밝히고 “진단서 발급 표준 가격제시나 가격의 범위 설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강 의원에 따르면 지난 2년 반 동안 의료기관들이 진단서 발급 수수료로 챙긴 돈만 300억원이 넘는다.
의료기관 별 전체 진단서 발급 수입을 보면 삼성서울병원이 20억원이 넘는 수입을 올려 1위를 차지했고 가천의대길병원이 18억원으로 그 뒤를 이었다.
3위는 서울대병원으로 진단서 발급 수수료로만 15억5000만원의 수입을 올렸으며 신촌세브란스, 서울아산병원, 전북대병원, 경북대병원, 인하대병원, 충남대병원, 아주대병원 등이 10위권을 기록했다.
강 의원은 “이름도 같고 내용도 유사한 진단서가 의료기관에 따라 비용이 천차만별인 것은 국민들이 납득하기 어렵다”고 전하고 “진단서 발급 표준비용제시나 가격범위를 설정해 표준수수료제도를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상훈 기자(south4@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