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감사] 병원 내에 다약제 내성균이 증가하고 이로 인한 난치성감염 사망률이 급증하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24일 열린 질병관리본부 국정감사에서 안명옥 의원(한나라당)은 “대한감염학회의 조사결과를 분석한 결과 병원 내 난치성감염이 위험수위”라고 지적했다.
대한감염학회는 회원병원 중 8개 대학병원을 대상으로 2000년부터 2006년 8월까지 ‘다약제 내성균에 의한 감염환자’에 대해 자체 조사한 바 있다.
그 결과 2005년도 난치성 감염환자가 2000년도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했으며 35~50%의 높은 사망률을 유지하고 있어 다약제 내성균에 의한 난치성 감염이 국내 병원들에서 이미 심각한 상황에 이라는 것.
다약제 내성균이란 항생제에 대한 돌연변이를 획득해 여러 항생제에 대해 동시에 내성을 갖는 세균을 말하며 대표적으로 ‘메티실린 내성 황생포도알균(MRSA)’과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VRE)’이 있다.
안명옥 의원은 “조사결과 MRSA에 의한 패혈증환자는 총1279명이었고 이중 432명이 사망해 33.8%의 사망률을 기록했다”고 전했다.
연도별로 비교하면 2000년 33명에서 2004년 373명으로 급증하다가 2005년과 2006년 8월까지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사망률은 2000년 18.2%에서 올해 8월 35.8%까지 증가했다.
한편 VRE 환자는 총 251명이었으며 이중 130명이 사망해 51.8%의 높은 사망률을 기록했다.
이에 안 의원은 “병원들이 병원감염의 심각성에 대해 너무 무관심하다”면서 “의료기관 스스로 감염관리에 대한 투자를 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상훈 기자(south4@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