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드트로닉코리아가 무전극선 심박동기 ‘마이크라(Micra™)’의 출시 10주년을 맞아 임상적 성과를 조명하는 인포그래픽을 공개했다.
무전극선 심박동기(Leadless Pacemaker)란 비타민 크기의 초소형 기기 안에 배터리와 센서, 회로를 집약해 심장 내부에 바로 이식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심박동기로, 피하 주머니를 만들어 별도의 배터리를 삽입하거나 전극선을 연결하지 않고도 독립적으로 박동 조절을 제공한다. 메드트로닉은 2015년 기존 심박동기 대비 10분의 1 수준인 2.6cm 크기의 마이크라를 선보이며 무전극선 심박동기 시대를 열었다. 2015년 유럽에서 CE 마크를 획득한 이래 한국을 포함한 미국, 유럽, 일본 등 전 세계적으로 10년간 30만명 이상의 부정맥 환자들의 삶을 개선하는데 기여했다.
유럽심장학회지(European Heart Journal)는 2025년 특집호 ‘무전극선 심박동기 10년의 여정(10 Years of Leadless Pacing)’을 발간하며 지난 10년을 ‘심박동기 기술 혁신의 시대(Revolution in pacemaker technology)’로 규정했다. 무전극선 심박동기의 진화 과정과 적용 분야, 시술 후 관리, 젊은 환자로의 적용 확대 트렌드 등을 다루는 7개의 논문으로 구성된 특집호에서는 마이크라의 임상이 가장 활발하게 언급됐으며, 그 중에서도 장기 추적 데이터로 마이크라의 안전성과 효과를 입증한 연구가 주를 이루어 분야를 선도하는 지위를 확인시켰다.
특히 전 세계 179개 센터에서 1817명의 환자를 시술 후 5년 간 추적 관찰한 시판 후 연구(Post-approval registry)에 따르면 마이크라 VR은 5년 시점 주요 합병증 발생률이 4.5%였으며 감염으로 인해 기기 제거가 필요한 경우는 없었다. 마이크라 AV로 치료받은 모든 미국 메디케어 가입자(7471명)를 추적한 결과에서도 2년 시점에 5.3%의 중증 합병증 발생률을 보이며 기존 심박동기 대비 일관되게 낮은 합병증 발생률을 입증했다.
대한부정맥학회 김준 교육이사(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교수)는 “1950년대 최초 개발된 심박동기는 지난 70년간 소형화, MRI 호환, 배터리 수명 연장 등을 거치며 발전을 거듭해 왔으나 전극선 및 피하 주머니에서 비롯되는 합병증 위험은 여전했다. 10년 전 등장한 무전극선 심박동기로 전극선과 피하 주머니로부터 야기되는 합병증 위험을 근본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됐다”고 지난 여정을 짚었다.
이어 “기존 심박동기는 쇄골과 어깨 사이에 배터리가 위치해 불편감을 줄 수 있고 상체운동에 제한이 있던 반면, 무전극선 심박동기는 운동에도 제한이 없다”며 “급성, 장기적 합병증을 낮추고, 신체 활동에 자유로움을 선사하며 획기적 치료법의 하나로 자리잡은 무전극선 심박동기는 검증된 안전성을 바탕으로 향후 보다 다양한 서맥 환자 치료에 활용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