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블유닷에이아이(W.AI)가 최근 예일헬스케어, 더인벤션랩과 각각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자사 AI 기반 초음파 영상 진단보조 소프트웨어 ‘W Expert’의 기술 개발, 사업화, 유통 협력을 강화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더블유닷에이아이는 국내 시장 확대와 투자 검토를 포함한 전방위적 협력 체계를 구축했다. 예일헬스케어와의 협약은 ‘W Expert’의 국내 유통 및 공동사업 추진을 골자로 한다. 더블유닷에이아이는 기술 자료 제공과 공동 마케팅을 담당하고, 예일헬스케어는 국내 판매, 유통, 고객 발굴을 맡는다. 더인벤션랩과는 사업화 및 투자, 기술 협력 중심의 파트너십을 구축했다. 더블유닷에이아이는 기술 자료 제공과 협력사업 기획을 담당하고, 더인벤션랩은 투자 자문과 IR 지원, 스타트업 네트워킹을 통해 ‘W Expert’의 사업화를 뒷받침한다. 김재홍 더블유닷에이아이 대표는 “이번 협약은 기술 개발부터 유통까지 이어지는 사업 생태계를 완성하기 위한 중요한 발판”이라며 “국내외 의료 현장에서 혁신적이고 실용적인 AI 진단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2025-11-13 16:23
한미사이언스가 수술용 치료 재료 등 의료기기 사업의 글로벌 확장을 본격화한다. 한미그룹 지주회사 한미사이언스는 오는 17일부터 20일까지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대 의료기기 박람회 ‘MEDICA 2025’에 참가해 자사의 의료기기 제품과 기술력을 알리고 글로벌 비즈니스를 강화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박람회에서는 바이오서저리(Biosurgery) 전문기업 테라시온바이오메디칼이 개발하고 한미사이언스가 해외 판매권을 보유한 수술용 지혈제 3종을 공개할 예정이다. 해당 제품은 ▲흡수성 분말형 보조지혈제 우즈픽스(Oozfix) ▲폴록사머 기반 흡수성 뼈 지혈제 타블로왁스(Tableau Wax) ▲전분 유래 고분자 매트릭스에 트롬빈을 결합한 액티브 지혈제 액티클랏(ActiClot)으로, 한미사이언스 의료기기 분야의 핵심 제품으로 구성됐다. ‘우즈픽스’는 외과적 수술 시 1차 지혈 이후 삼출성 출혈 부위에 사용하는 분말 타입 체내 흡수성 지혈제다. ‘타블로왁스’는 폴록사머 기반의 흡수성 지혈제로, 뼈 표면에 보호막을 형성해 밀폐 효과를 유지하는 방식으로 지혈이 이뤄지며 CS, OS, NS 수술 등에서 활용된다. ‘액티클랏’은 전분(carboxymethyl
2025-11-13 13:42
아이쿱(대표 조재형)은 에스포항병원(대표병원장 김문철)과 ‘랩커넥트(LabConnect)’ 서비스 연동 및 의료기기 공급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아이쿱은 보건복지부 지정 경북 유일의 뇌혈관 전문병원인 에스포항병원에 랩커넥트를 공급하며, 환자 데이터 관리와 의료기기 연동을 통한 디지털 진료환경 고도화를 추진한다. 특히 이번 협력은 특성화 병원에 랩커넥트가 도입되는 첫 사례로, 실시간 혈당 모니터링 기술이 실제 임상 현장에서 적용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전망이다. 아이쿱의 랩커넥트는 클라우드 기반 의료데이터 플랫폼으로 원외 스마트 의료기기와 환자 건강데이터를 연결해 의료진과 환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특히 랩커넥트의 ‘CGM(연속 혈당 측정기) Live’는 실시간 입원환자 혈당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입원환자와 더불어 외래환자의 연속 혈당 데이터를 자동 수집하고 분석해 이상 징후 조기 파악을 지원하며, 병원 EMR과의 연동을 통해 의료진의 신속한 치료 결정을 돕는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스마트 의료기기 플랫폼 연동 및 교육 콘텐츠 개발 등 장기적인 기술 협력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아이쿱은 이번 협약을
2025-11-13 13:39
고려대학교 의료기술지주 자회사 휴스파인(CEO: 고려대 의과대학 오세준 연구교수, CTO: 고려대 안암병원 재활의학과 이상헌 교수)이 지난 11월 4일부터 6일까지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열린 ‘UZMEDEXPO 2025’에 참가해 가정용 척추 감압 재활 시스템을 선보였다고 밝혔다. UZMEDEXPO는 중앙아시아 최대 규모의 의료기기 및 헬스케어 산업 전문 박람회로 휴스파인은 창업진흥원 글로벌 다온다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참가했다. 인공지능 기반 맞춤 견인 알고리즘 및 안정성 평가 기술을 적용한 R&D 기술과 척추 감압 견인 및 근골격계 재활 분야의 최신 기술의 시연으로 참관객들의 눈길을 끌었다. 특히 압둘라 아지조프(Abdulla Azizov) 우즈베키스탄 보건부 차관이 휴스파인 부스를 방문해 제품의 기술력과 고려대 안암병원 재활의학 연구진과의 공동연구 성과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차관은 한국의 재활의학 의과학 술기는 우즈베키스탄 의료 현대화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다며 향후 협력 가능성을 언급했다. 현지 의료기기 유통사, 웰니스 산업 전문가, 병원 관계자 등이 부스를 찾아 제품 실사용 시연에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추후 현지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2025-11-13 07:28
지니너스(대표 박웅양)가 국내 대형 바이오텍과 유전체 AI 분석 플랫폼 ‘인텔리메드(IntelliMed™)’의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국내 제약, 바이오 산업의 AI기반 연구개발 협력을 본격화하며, 유전체 데이터 분석 기술의 상용화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지니너스는 자체 개발한 ‘인텔리메드’ 플랫폼을 통해 대규모 유전체 공간오믹스데이터와 AI 분석 기술을 결합, 제약사의 연구개발 전 과정에 걸쳐 정밀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인텔리메드’는 신약 타깃 탐색부터 후보물질 검증, 환자군 분류, 임상 설계까지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플랫폼이다.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통해 신약개발 효율성과 성공률을 높이고 있다. 또한 제약사들이 실제 연구개발 단계에서 AI 플랫폼을 직접 활용하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지니너스의 유전체 AI 분석 기술이 상용화 궤도에 진입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회사측은 이번 계약을 계기로 ‘인텔리메드’의 적용 범위 확대는 물론, 글로벌 제약사와의 공동 연구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지니너스는 ‘인텔리메드’ 외에도 공간멀티오믹스 기반 분석플랫폼 ‘스페이스 인사이트(SPACEINSIGHT™)’를 운영 중이다. 고해상
2025-11-12 09:03
뷰웍스(대표 김후식)는 자사의 디지털 의료영상 획득 및 처리 소프트웨어 ‘브이엑스뷰’(VXvue) 제품이 미국 식품의약청(FDA)으로부터 시판 전 허가(510K) 승인을 획득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로써 뷰웍스는 북미 시장에 엑스레이 디텍터 및 전용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시스템 일체를 공급할 수 있게 돼, 시장 경쟁력을 더욱 확보하게 됐다. 뷰웍스는 창사 이래 처음으로 FDA로부터 AI 기반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포함한 소프트웨어로 승인을 획득했다. 특히 기존보다 강화된 당국의 심사 기준에 맞춰 시판 의료기기와의 동등성, 품질관리 절차와 사후관리 체계를 입증하는 등 기술 역량과 신뢰성을 확보했다. 뷰웍스가 자체 개발한 브이엑스뷰는 엑스레이 디텍터를 통해 획득한 임상 이미지의 송출과 처리를 수행하는 사용자 중심의 소프트웨어다. 임상 이미지의 선명도를 높이는 ‘퓨어임팩트’(PureImpact™) 알고리즘을 탑재해 인체 연조직과 골격의 세부 묘사에 뛰어나다. 이와 함께 인체용, 수의용, 차량내 검진 등 진료 대상과 방식에 따라 세분화된 프리셋을 제공하는 등 편의성을 높였다. 최근에는 다수의 AI 기반 영상처리 솔루션을 내부 기능으로 통합하며 편의성과 사용성을 대폭 강
2025-11-12 08:55
㈜휴톰(대표 형우진)이 YONSEI 글로벌 혁신의료기술 실증지원센터의 해외 공동전시관 참가기업으로 선정돼, 오는 17일부터 20일까지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의료기기 전시회 ‘MEDICA 2025’(이하 'MEDICA')에 참가한다고 12일 밝혔다. 휴톰은 이번 전시에서 AI 기반 폐절제술 보조 솔루션 ‘RUS Lung’을 중점적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RUS Lung’은 흉부 컴퓨터단층촬영(CT) 영상을 3D로 재구성해 폐의 해부학적 구조(폐엽, 기관지, 혈관 등)를 시각화하며, 폐절제술 전 수술 계획 수립과 수술 중 내비게이션 활용을 모두 지원하는 AI 솔루션이다. MEDICA 현장에서는 ‘RUS Lung’의 3D 시각화 기능과 실제 임상 적용 사례를 직접 시연하며, 폐암 수술의 정밀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기술력을 집중적으로 선보인다. 이번 전시를 계기로 휴톰은 글로벌 AI 수술 플랫폼 시장 진출과 해외 파트너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다. 형우진 휴톰 대표는 “RUS Lung은 의료진이 폐절제술 전 해부학적 구조를 정확히 이해하고 최적의 수술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지원하는 혁신 솔루션”이라며, “이번 MEDICA 참가를 통해 당사의 기술력을
2025-11-12 08:53
더블유닷에이아이(W.AI)는 자사의 AI 기반 초음파 영상 진단보조 소프트웨어 ‘W Expert’(모델명: WAIWEX-PR)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디지털의료기기 제조 허가(D 제허 25-10호)를 획득했다고 지난 4일 밝혔다. 이번 허가로 더블유닷에이아이는 AI 기반 유방 보형물 진단보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국내 및 세계 최초로 제조 허가를 받은 기업 중 하나로 이름을 올렸다. ‘W Expert’는 유방 보형물의 파열 등 합병증을 조기에 진단하고, 가슴 보형물 수술 후 발생하는 역형성대세포 림프종과 연관된 거친 표면 유방보형물 여부를 가리기 위해 개발된 인공지능 기반 초음파 영상 분석 소프트웨어다. 의료진이 초음파 이미지를 입력하면, AI 알고리즘이 이를 자동 분석해 보형물 파열 여부와 거친 표면 타입 여부 및 재수술시 필요한 정보인 보형물의 삽입위치를 시각적으로 표시해 진단을 보조한다. 또한 파열시 누출된 실리콘의 피막(보형물 삽입후 발생하는 콜라겐 성분의 막) 및 임파선 침범여부 진단을 보조한다. 제품은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기반 딥러닝 모델을 적용하고, 국제 의료영상 표준 DICOM 규격을 준수한다. 또한 AW
2025-11-11 12:18
반지형 커프리스 혈압계 ‘카트 비피(CART BP)’가 유럽고혈압학회(ESH)의 커프리스 혈압 측정 권고 기준 6개 중 3개 핵심 항목을 충족한 유일한 기기로 소개됐다. 또한, 전 세계 유일하게 한국에서 건강보험이 적용된 커프리스 혈압계로, 다수의 임상 사용을 기록하며, 실제 의료 현장에서의 유용성도 입증했다. 이 같은 내용은 국내외 교수진이 대한고혈압학회 추계학술대회(KSH2025)에서 발표한 것으로, 커프리스 혈압계가 임상 영역에서 본격적인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 가능성을 보여줬다. 이번 학술대회는 11월 6~8일 서울 콘래드 호텔에서 열렸으며, 7일 기획 세션에서는 이탈리아 밀라노-비코카대학의 잔프란코 파라티 교수와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김지훈 교수가 커프리스 혈압 측정의 임상적 의미와 ‘카트 비피’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파라티 교수는 “진료실에서 한 번 측정하는 혈압보다 일상생활과 수면 중의 혈압 변화 패턴을 관찰하는 것이 임상적으로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그는 카트 비피가 일상·활동·수면 중에도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하면서 장기적인 연속 혈압 패턴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야간혈압 상승은 가면성 야간고혈압 환자의 심혈관질환 위
2025-11-11 09:28
한국오므론헬스케어(대표 콘도 카즈히데)가 자사 가정용 혈압계 글로벌 누적 판매량이 4억대를 돌파했다고 11일 밝혔다. 1973년 가정용 혈압계를 선보인 오므론헬스케어는 출시 36년만인 2009년에 누적 판매량 1억 대를 달성했다. 이후 고령화, 서구화된 식습관 등으로 고혈압 환자 수가 증가하며 혈압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세계 각국의 주요 학회들도 가정 혈압 측정의 중요성을 지속 강조함에 따라 가정용 혈압계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했다. 그 결과 글로벌 혈압계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오므론헬스케어의 가정용 혈압계 판매량은 2016년 2억대, 2021년 3억대, 올해 4억대를 돌파하는 등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오므론헬스케어는 복잡하고 어려웠던 혈압관리 시스템의 변화를 주도했다. 혈압은 환자의 컨디션, 몸 상태, 긴장도 등에 따라 결과가 불규칙하게 나타나는 만큼 주기적으로 측정 및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과거에는 오직 의료기관에서만 혈압 측정이 가능했기 때문에 혈압 변동 추이를 모니터링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특히 병원에서 혈압을 잴 때 평소보다 혈압이 높거나(백의고혈압), 낮게(가면고혈압) 측정되는 현상을 구분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가정용 혈
2025-11-11 08:53
듀켐바이오(대표 김상우)는 PSMA(전립선특이막항원) 표적 전립선암 진단용 방사성의약품 ‘프로스타시크주(ProstaSeek, 성분명: 18F-플로투폴라스타트)’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평가 결과에 따라 PET/CT 행위 보험급여 적용을 받게 됐다고 11일 밝혔다. 이에 프로스타시크는 ▲중등도 이상의 전이 위험을 가진 전립선암 환자 ▲초기 전립선암 수술 또는 방사선 치료 후 PSA(전립선 특이 항원) 수치 상승으로 재발이 의심되는 환자 등에게서 암의 전이 또는 재발 부위를 정밀하게 진단하는 데 보험급여(행위) 적용이 가능하게 됐다. 국내 의료계에서는 프로스타시크가 차세대 방사성진단의약품으로, 방사성의약품 FDG 등 기존 진단 방식 대비 높은 정확도를 갖춰 전립선암 진단 수준을 한 단계 높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방사성동위원소 F18 기반의 PSMA 표적 PET 진단제인 프로스타시크는 전립선암 세포에만 과발현되는 특수 단백질 PSMA을 정밀 추적해, 초기 전립선암 재발 환자에 대한 발견율을 기존 진단 방식인 MRI/CT 대비 3배 이상 높였다. 특히, 프로스타시크는 ‘방광 내 방사능 축적’을 최소화해, 방광에 인접한 골반 부위의 미세한 재발 병변까지 명확하게 탐지
2025-11-11 08:49
메디아나가 오는 17일부터 20일까지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의료기기 전시회 ‘MEDICA 2025’에 참가해 자사 핵심 제품을 선보이고, 글로벌 기업들과의 공동개발(ODM, OEM) 협력 네트워크 확대에 나선다고 11일 밝혔다. 메디아나는 이번 전시를 통해 단순 수출을 넘어 글로벌 공동개발(ODM·OEM)과 브랜드 협업을 중심으로 한 파트너십 구조를 제시한다. 회사는 유럽·중동·아시아 주요 시장을 대상으로 기존 글로벌 파트너와의 협력 사례를 확장하고, 신규 협력 네트워크를 다변화할 계획이다. 전시 품목은 ▲자동심장충격기(AED) ▲환자감시장치(Patient Monitor) ▲모니터/제세동기(Monitor Defibrillator) 등 현재 80여개국에 공급 중인 주력 의료기기와 함께, 글로벌 파트너와 공동 개발한 협업 제품이 포함된다. 또한 ▲전동식 심폐인공소생기(ACM)와 함께 새롭게 개발 중인 AED와 PMD 등 향후 출시 예정 제품을 미리 선보여, 메디아나의 기술력과 협업 역량을 동시에 보여줄 예정이다. 메디아나는 30년 간 축적된 설계·생산·품질 시스템을 기반으로 파트너 요구에 맞춘 ▲공동개발(ODM/OEM) ▲브랜드 협업을 제공하고
2025-11-11 08:46
더블유닷에이아이는 지난 3일부터 사흘간 보스턴에서 열린 ‘SBA M+ 글로벌 밸류업 프로그램’에 참가해 현지 투자자와 파트너십 확보를 위한 일정에 참가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서울시와 서울산업진흥원(SBA)이 주최한 글로벌 진출 프로그램으로, 바이오·메디컬 분야의 11개 혁신 기업이 함께했다. 더블유닷에이아이는 진단(Diagnostic) 분야 대표 기업으로 선정됐다. ‘W Expert’는 고비용 MRI 검사와 검사자 숙련도 편차 문제를 해결한 AI 기반 초음파 진단 솔루션이다. 세계 최대 규모의 학습 데이터를 기반으로 95% 이상의 진단 정확도를 확보했으며,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MFDS) 3등급 허가를 받았다. 회사는 이번 프로그램 기간 동안 보스턴 내 주요 바이오 혁신 기관인 Portal Innovations, Bayer Co.Lab, M2D2(매사추세츠 의료기기 개발센터) 등을 방문해 네트워킹과 협력 논의를 진행했다. 이어 ‘IP 포트폴리오 전략’과 ‘시장 진입 전략’ 세션, 현지 파트너사 1:1 미팅을 통해 미국 진출 전략을 구체화했다. 행사 마지막 날 열린 ‘비즈니스 피칭(Business Pitching)’ 세션에서 더블유닷에이아이는 W Expe
2025-11-10 14:55
노을 주식회사(대표 임찬양, 이하 ‘노을’)는 유럽의 대표 의료기기 전문 유통사 ‘바이오메디카(Biomedica)’와 자궁경부암 진단 솔루션 ‘miLab™ CER’의 독점 공급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유럽 시장에서 자궁경부암 진단 솔루션 유통을 위한 노을 최초의 계약이자, 자궁경부암 진단 분야 글로벌 1위 회사의 검증된 유통망을 통한 유럽 시장의 진입이라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바이오메디카는 40년 이상 유럽 진단·의료기기 유통 시장을 선도해온 기업으로, 연 매출 약 1조 6000억원 규모의 유럽 대표 헬스케어 그룹 산하에 있다. 현재 글로벌 1위 자궁경부암 진단 회사의 동유럽 총판사로 오스트리아·스위스·헝가리·루마니아·폴란드 등 유럽 16개국에 광범위한 의료기기 판매망과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다. 노을은 이번 계약으로 바이오메디카의 유통망을 통해 글로벌 1위 액상세포검사(LBC) 장비와 함께 miLab CER을 판매할 수 있게 된다. 노을의 AI 기반 자궁경부암 진단 솔루션 miLab CER은 LBC 슬라이드를 사용해, 염색, 이미지 촬영, AI 분석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올인원 진단 플랫폼으로, 체코, 헝가리, 폴란드 등 동
2025-11-10 14:36
밴티브코리아(대표 임광혁)가 지난 달 24일 안다즈 서울 강남에서 신장내과 의료진을 대상으로 재택 복막투석 환경의 최신 동향과 발전 방안을 논의하는 ‘PD 이노베이션 심포지엄(PD Innovation Symposium)’을 성료했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김성균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신장내과 교수와 김동기 서울대학교병원 신장내과 교수가 공동 좌장을 맡았으며, 말기콩팥병 치료에서의 주요 트렌드인 환자 중심 진료를 위한 공유의사결정(Shared Decision-Making, SDM)과 재택 투석을 중심으로 최신 지견이 공유됐다. 말기콩팥병 환자가 고려할 수 있는 투석 유형으로는 혈액투석과 재택 복막투석이 있다. 혈액투석은 병원에 주 3회 방문하여 회당 약 4시간씩 진행하는 방식이며, 재택 복막투석은 환자가 자택에서 매일 스스로 진행하며 병원 방문은 월 1회가량 필요하여 자율적인 시간 관리가 가능하다. 두 유형은 상호 보완적이며, 환자마다 개인의 생활 방식이나 건강 상태에 따라 적합한 투석 방식이 다르다. 이 때문에 의료진은 투석을 앞둔 환자에게 의학적 정보를 제공하고 환자와 의료진이 함께 최선의 투석 시기와 방법을 상의하고 결정하는 공유의사결정이 필요하다. 첫 번째
2025-11-10 09:29
지멘스 헬시니어스㈜ 한국법인은 인천지역관절 및 척추 전문병원인 ‘연세와병원’에 차세대 친환경 MRI 제품인 ‘마그네톰 플로우.플러스(MAGNETOM Flow.Plus)’를 국내 처음으로 설치했다고 밝혔다. 연세와병원은 관절 및 척추 거점 병원으로, 정확한 검사와 진단, 수준 높은 의료 서비스를 위해 다양한 첨단 의료 장비를 적극 도입하고 있다. 연세와병원이 이번에 국내 첫 사례로 도입한 지멘스 헬시니어스의 ‘마그네톰 플로우.플러스’는 저용량의 헬륨 기술을 적용한 친환경 제품으로, 초전도 자석을 냉각하기 위한 액체 헬륨의 사용을 크게 줄였다. 기존 MRI는 수백 리터의 액체 헬륨을 사용, 시간에 따라 증발하는 양을 지속적으로 보충해야 하는 반면, ‘마그네톰 플로우 플러스(MAGNETOM Flow.Plus)’는 단 0.7리터의 액체 헬륨만을 사용하며, 자석을 완전히 밀봉해 액체 헬륨의 손실 없이 순환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자동 절전 모드 전환기능인 ‘에코 그래디언트 모드(Eco Gradient Mode)’와 미작동·대기 중인 냉각 부품의 전원을 차단하는 ‘에코 파워 모드(Eco Power Mode)’가 제품에 탑재돼 있어 전력량 소모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2025-11-10 08:19
씨젠(Seegene, Inc.)은 7일 공시를 통해 2025년 3분기 매출액 1135억원, 영업이익 96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4.3%, 영업이익은 82.8% 증가해 뚜렷한 실적 개선을 이어갔다. 특히 영업이익은 전기 31억원 대비 197.9% 증가하며 올해 상반기부터 뚜렷한 흑자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씨젠의 주력 제품인 진단시약과 추출시약을 합한 시약 매출은 전체 매출의 77.2%를 차지하며 877억원을 달성했다. 특히, 진단시약 가운데 비코로나 제품 매출은 총 시약 매출의 84.9%인 744억원에 달했고, 추출시약 매출은 109억원, 코로나 제품 매출은 24억원을 기록하며 안정적인 매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이 중 진단시약의 매출은 비호흡기 신드로믹 제품군이 호흡기 제품의 계절적 변동성을 상쇄해 성장을 견인했다. 전체 비호흡기 제품군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18.0% 성장했으며, 소화기(GI) 제품은 11.7% 증가한 215억원, 인유두종바이러스(HPV) 제품은 30.2% 증가한 108억원, 성매개감염병(STI) 제품은 8.8% 증가한 165억원을 기록했다. 김정용 씨젠 재무관리실장은 “제품과 상품 비중 변화 및 제품별 Mix
2025-11-07 16:03
시지메드텍(CG MedTech, 대표이사 유현승)은 자사의 척추 융합기기 ‘유니스페이스(UniSpace TPLIF Cage, 요추 케이지)’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510(k) 승인을 획득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승인은 단순한 제품 허가를 넘어, 시지메드텍이 모회사 바이오 재생의료 전문기업 시지바이오(CGBIO, 대표이사 유현승)와 함께 미국 시장을 본격적으로 공략할 수 있는 전략적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번에 승인된 요추용 ‘유니스페이스’는 시지바이오의 차세대 골대체재 ‘노보시스 퍼티(NOVOSIS PUTTY)’ 사용에 맞춰 설계된 기기다. 노보시스 퍼티가 올해 4월 미국 FDA로부터 제품 허가를 위한 임상시험계획(IDE) 승인을 받은 데 이어, 유니스페이스가 먼저 FDA 승인을 획득하면서 향후 노보시스 퍼티의 임상 성공 가능성도 한층 높아졌다. 유니스페이스는 퇴행성 척추 질환 치료 시 손상된 디스크를 제거한 뒤 척추뼈 사이에 삽입됐 안정성을 높이고, 뼈가 다시 자라 유합되도록 돕는 척추 임플란트 구조물(케이지)이다. 티타늄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해 인체 해면골과 유사한 이중기공(Dual Pore) 구조를 구현했으며, 총 2
2025-11-07 09:47
에이티센스(대표 정종욱)는 지난 8월 자사의 실시간 입원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에이티모니터링(AT-Monitoring)’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원격 심박 기술에 의한 감시(EX871)’ 행위 요양급여 대상으로 인정받았다고 6일 밝혔다. 에이티센스는 웨어러블 심전도 진단 솔루션에 대해 미국 FDA, 유럽 CE, 일본 후생성(PMDA), 영국 MHRA 등 글로벌 4대 주요 인허가를 모두 획득하며, 국제적으로 기술력 및 의료 신뢰성을 입증한 바 있다. 에이티센스는 글로벌 시장 진출 기반을 완비했으며, 향후 세계 의료기기 시장에서의 활약이 기대된다. 이번 에이티모니터링의 EX871 보험 수가 획득은 입원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의 빠른 시장 확산을 견인할 전망이다. 이를 통해 간호 인력의 업무 효율을 높이고, 빈틈없는 환자 집중 케어가 가능해졌다. 에이티센스는 수가 획득 후 짧은 기간 내 이미 10여 개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과 계약을 진행 중이며, 일부 거점 국립대병원은 전 병상 도입을 확정했다. 에이티모니터링은 2025년 4천 병상, 2026년까지 2만 5천병상 설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 에이티모니터링은 2등급 의료기기인 ‘환자 중앙감시장치’로, 입원환자의
2025-11-06 11:22
강동경희대학교병원 교육협력 동탄시티병원(병원장 신재흥)이 경기도 화성시 최초로 인공지능(AI) 기반 스마트 병동을 도입했다. 대웅제약(대표 이창재·박성수)과 씨어스테크놀로지(대표 이영신)와 손잡고 스마트 병상 모니터링 시스템 ‘씽크(thynC)’를 전 병상에 적용하며, AI가 이끄는 새로운 의료 환경을 실현하고 있다.동탄시티병원은 지난달 23일 본관에서 스마트 병동 기공식을 열었다. 이날 기공식에는 동탄시티병원 김미영 행정원장, 병원 주요 보직자, 대웅제약 조병하 사업부장, 씨어스테크놀로지 강대엽 부사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도입은 경기도 화성시 최초로 ‘AI 스마트 병동’ 구축된 사례로, 동탄시티병원은 환자의 안전성 증진과 의료진 업무 효율성 향상을 위해 전 병상(90병상)에 씽크를 도입하기로 했다. ‘씽크’는 환자에게 부착된 웨어러블 센서를 통해 심박수, 호흡, 체온, 산소포화도, 심전도 등 주요 생체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한다. 이상 징후가 포착되면 즉시 의료진에게 알람이 전송돼, 응급 상황에서도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야간이나 격리병실 등 의료진의 관찰이 어려운 환경에서도 언제든 환자 상태 확인이 가능하다. 이는 환자에게는 안정적인 치료
2025-11-06 09: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