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6 (목)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글로벌 바이오 생태계 혁신과 협업의 장 ‘BIX 2025’ 개막

“바이오산업 전 벨류체인이 연결되는 플랫폼”
국내외 300여개 기업 참가…기조세션과 컨퍼런스로 글로벌 협력 논의



‘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 코리아 2025(BIX 2025)’가 15일 서울 코엑스에서 막을 올렸다. 한국바이오협회가 주최하고, RX코리아가 주관하는 이번 행사는 ‘World’s Most Tangible Bio-healthcare Convention’을 주제로 17일까지 사흘간 전시, 컨퍼런스, 파트너링, 네트워킹을 통합 운영해 글로벌 바이오 생태계의 혁신과 협업 기회를 제시한다.

개막식에는 산업부 및 업계 관계자, 주요 기관장, 국내외 기업 대표 등 450여 명이 참석해 행사 시작을 함께했다. 이날 현장에는 고한승 한국바이오협회 회장, 이승렬 산업통상부 산업정책실장, 전윤종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 원장, 황만순 한국투자파트너스 대표를 비롯해 협회 명예회장, 유관기관, 후원사들이 참석했다. 또한 중국상무부 투자촉진사무국 부국장, 캐나다 보건안보대응기구(HERC) 차관보, 주한슬로베니아대사, 주한쿠바대사, 주한인도부대사 등 해외 주요 인사들도 특별 참석했다.

고한승 회장은 개막사를 통해 “예측 불가능한 글로벌 환경 속에서 기업들이 도전을 이어가고 있다”며 “정부의 적극적인 제도 지원과 함께, 바이오산업이 그린·화이트·배양식품 등 새로운 영역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생태계 전반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역대 최대로 준비한 만큼, 이번 BIX 2025를 통해 대한민국 바이오산업의 미래를 체감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개막식 이후 진행된 VIP 투어에는 고한승 회장과 주요 내빈 20여 명이 참석해 삼성바이오에피스, 삼성바이오로직스, 존슨앤존슨, 싸이티바, 마켄 등 주요 기업 부스와 바이오소부장 특별관, 바이오미래식품산업협의회 등 13개 전시부스를 둘러보며 최신 산업 동향을 공유했다.

올해로 두번째를 맞은 개막 프로그램 ‘BIX Inspiration’에서는 인공지능(AI) 플랫폼 기업 (주)아크릴 박외진 대표가 ‘BIO-AX BLOOM: Beyond two Matters’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그는 인공지능 기술이 건강한 삶 구현에 기여하는 가치적 역할을 제시하며 주목을 받았다.

개막 기조세션은 한층 더 풍성하게 구성됐다. 온라인으로 진행된 기조 발표 세션에서는 ‘노화를 멈추고 한계를 넘다, 세포·재생의학의 시대’를 주제로 세포치료 분야 권위자 로버트 하리리 박사가 특별 강연을 진행했다. 현장 패널토론에는 이병건 국제백신연구소 한국후원회 이사장, 차광렬  차병원·차바이오그룹 글로벌연구소장이 참여해 글로벌 만능줄기세포 현황과 K-Cell의 우수성, 항노화 치료 미래 가능성에 대해 심도있게 논의했다.

첫날 본격 시작된 컨퍼런스 전문세션에서는 FDA의 새 규칙, 바이오텍 ESG 공시 격차, 뉴코 모델 등 산업 현안을 다뤘다. IDBS, 싸토리우스, 아이큐비아 등 기업 인사이트 세션에서는 최신 기술과 사업 소개가 이어졌다. 각 세션에는 130~150명 이상의 참가자가 몰리며 높은 관심을 증명했다.

전시 부문은 전 세계 15개국 300여 개 기업이 참여해 총 550개 부스를 운영하며 역대 최대 규모로 확대됐다. 전시 특별관은 △차세대 바이오의약품 특별관(CGT·ADC·재생의료 등), △스마트랩 & 혁신 생산 특별관(CMO/CDMO·자동화 시스템 등), △글로벌 바이오 허브 특별관(콜드체인 물류·유통), △임상개발 혁신 특별관(CRO·데이터·AI 솔루션)으로 구성돼 산업별 핵심 기술과 서비스가 집약됐다.

컨퍼런스는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다수의 심층 세션으로 구성됐다. 2일차 주요 세션으로는 ▲‘헬스케어의 대전환: AI와 데이터가 만드는 5조 달러 혁명’, ▲‘미국 바이오 산업의 변화와 K-바이오의 글로벌 생존 전략’, ▲‘ADC: 국경을 넘어서는 글로벌 게임체인저’가 예정돼 있으며, 3일차에는 ▲‘중국 바이오테크의 전환’, ▲‘K-디지털헬스케어: 글로벌 성공 전략’, ▲‘K-Bio 기술이전 전략’ 등 지역·기술별 전략 세션이 이어진다.

또한 참가자 간 실질적 교류를 위한 런천세션, 초청 인사 및 연사·기업 대표가 함께하는 VIP 리셉션이 열려 심층 네트워킹의 장을 마련한다. BIX 시그처 프로그램인 도슨트 투어는 17일 오후 총 3회 운영되며, 올해 처음 선보이는 ‘영 프로페셔널 리셉션(Young Professional Reception)’ 등 맞춤형 부대행사도 함께 진행된다.

BIX 2025는 10월 17일까지 사흘간 진행되며, 컨퍼런스·파트너링·부대행사 등 약 100여개 프로그램이 순차적으로 펼쳐진다. 전시 참가기업 및 세션 정보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