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지난 26일 산하 7개 분과위원회의 간사를 포함한 실행위원 182명의 조직이 잠정적으로 정해졌으나 보건의료인은 결국 배제된 것으로 보인다.
결국 우려했던 결과가 나타난 것에 대해 의료계 일각에서는 섭섭함을 감추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의료계가 인수위원회에 기대를 보였던 것은 지난 대선 준비과정에서부터 선거가 끝날 때까지 이명박 대통령 당선자에게 보낸 지지 때문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번 인수위원회 사회교육문화 분과위원회에 한나라당 이주호 의원이 간사로 임명되면서 의료계는 보건의료분야에 누가 참여야 할 것인지가 가장 큰 관심이었다.
그러나 이주호 의원실은 “보건의료 전문가들의 자문을 구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문제는 우리가 결정할 사항이 아니고 인사 담당자가 결정할 일이어서 딱히 어떤 방향이라고 이야기 하는 것은 곤란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결과적으로 대선 기간 동안 의료계 전반이 이명박 대통령 당선자에게 보냈던 지지가 기대했던 것과는 다른 결과인 것.
이와 관련 의료계관계자는 “의료인이 이번 준비 위원회에 참여를 하지 못한 것은 매우 아쉬운 일이다. 그런데 참여를 하지 않은 것이 아니라 못한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그렇다고 불만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다만 아쉬운 것은 의료인이 참여해 현실적인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보다 발전될 수 있는 방향으로 나갈 수 있는 의견을 개진하지 못한다는 것이 아쉬울 따름”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정치라는 것이 모든 의견을 반영할 수는 없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아쉽지만 자문위원이라고 의료인 참여했으면 한다. 자문위원이라도 많이 들어갔으면 좋을 것 같다”며 안타가운 속내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