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의사회가 보건소장 임용에 대해 반드시 의료인이어야 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전라북도의사회는 29일 제35차 대의원총회를 개최하고 장기간 공백으로 주민들에게 피해를 입히고 있다며 조속히 문제를 해결할 것을 주장했다.
전북의사회는 이미 지난 14일 ‘전주시보건소장 임용에 대한 전라북도의사회의 성명서’를 발표, 보건소가 지역주민의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유지·증진시킬 의무가 있는 1차공공의료기관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고 밝힌바 있다.
전라북도의사회 이석재 공보이사는 “전주시민의 보건을 책임져야 할 보건소장직이 임용공고 없이 행정적 인사적체 해소를 목적으로 내부적 교류형태로 진행되고 있는 미래지향적이지 못한 인사방법에 그치고 있다”며, “보건소장은 내부적 인사조정문제로 거론할 사항이 아닌 시민의 건강을 돌 볼 수 있는 굳은 의지가 있는 자로 임명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만약 보건소장에 행정을 했던 사람이 온다면 행정으로 그치게 된다. 하지만 의료인의 경우 보건은 기본이고 행정은 1년이면 족하다. 행정이 온다면 진정한 의료를 잘 알지 못하게 된다”며 거듭 임용공고를 통해 임용할 것을 촉구했다.
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 또한 “전주시 보건소장의 장기공백은 전문의료인으로 해소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서 전북의사회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는 “전주시가 전문의료인을 제외하고 보건행정직을 소장으로 임명하려는 것은 보건의료의 전문성을 간과한 것으로 매우 걱정스러운 일”이라며, “이는 의사가 없는 병원에서 진료와 치료를 받는 것으로 보건소를 찾는 사람들에게 안전과 신뢰감을 줄 수 없다”고 비판했다.
즉, 의사회와 시민단체 모두 전주시보건소장 임용의 장기공백에 따른 시민들의 건강을 우려하고 있는 상황인 것.
이석재 공보이사는 “내부승진으로 인한 임용은 받아들일 수 없는 일이다. 진정으로 전주시민들의 건강을 위한다면 합리적이고 합법적인 절차에 의해 보건소장을 임용하는 것이 옳다. 따라서 시민건강의 효율적 관리와 지역보건 사업의 내실화를 위한 미래지향적 보건정책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시민단체 역시, “보건소장의 인사를 즉각 실시할 것을 촉구하며 전문의료인이 수행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노력을 전개할 것”을 전주시에 요구했다.
전주시보건소장의 공백이 이미 100일 가까이 진행되고 있어 앞으로 임용이 어떻게 진행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