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과, 산부인과, 흉부외과, 정형외과 등 각 진료과 학회들이 직접 만든, 예방적 항생제 사용에 대한 진료지침의 윤곽이 드러났다.
그러나 실제 임상적용까지는 의사사회 내부의 합의는 물론 수술실 환경개선을 통한 일회용 장비의 보험수가 적용, 수술수가 현실화 및 법적 보호장치의 확립 등 만만치 않은 과제들이 남아있다.
이 같은 내용은 지난 25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주최한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 사용에 대한 진료가이드 발전방향'이란 포럼을 통해 발표됐다.
특히 이날 포럼에서는 외과, 산부인과, 흉부외과, 정형외과 등 예방 항생제 평가항목들과 직결되는 진료과목 학회가 자체연구를 통해 개발한 항생제 사용지침이 공개됐다.
우선 각 학회는 절개 전 1시간 이내의 ‘예방적 항생제 투여시기’와 불필요한 병용투여를 지양하는 ‘항생제 선택방법’ 등에 대해 4개 학회 모두 공통적으로 인정했다.
그렇지만 수술후 항생제 투여시기에 대해서는 질병별, 환자별로 최소 1일~7일까지 차이를 보였으며 각 과목별 특성을 반영한 '예외규정'을 마련했다.
이번 학회들의 연구는 국내학계가 예방적 항생제 적정사용에 주목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산부인과학회 조용균 교수(인제의대 상계백병원)는 "국내에서는 예방적 항생제에 대한 연구도 미미할 뿐만 아니라 의료인들 사이에서도 문제의 심각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고 지적했다.
조교수는 또 "학회는 예방적 항생제 사용이 의료질의 향상뿐만 아니라 의료비 절감의 관점에서도 매우 주요하다는 점에 대해 학회 내의 합의를 이끌어낸 일반적인 진료지침 개발이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들은 진료지침이 제대로 쓰이기 위해서는 현실적인 지침의 연구·개발과 더불어 정책지원이 병행되어야 한다는데 한 목소리를 냈다.
일회용 소독제, 수술복 및 방포, 일회용 수술 기구의 수가 인정, 수술장 환경의 개선 등 수술 감염을 낮출 수 있는 다른 요인에 대한 개선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
정형외과학회 송주현 교수(가톨릭의대성빈센트병원)는 "일회용 수술포 및 수술복 사용률이 5.5%에 불과하다는 것은 국내 수술실 환경을 대변하는 단적인 사례"라고 지적했다.
보험 미적용으로 비용부담이 고스란히 병원들의 몫으로 돌아오다 보니 사용을 꺼릴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아울러 송주현 교수는 “의료 선진국에 비해 의료 환경이 열악하고 병원별 수준차이가 큰 국내에서 국가차원의 치료 지침을 제시하고 의료수가를 관리하는 것이 적합한 것인지 의문”이라며 우려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