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노조는 산별교섭을 위해 사측이 미국산 쇠고기 병원급식을 반대하는 노사공동선언을 해야 한다는 입장을 주문하고 있어 산별교섭에 '미 쇠고기 병원급식 문제'가 최대 쟁점사항으로 급부상했다.
따라서, 이번 산별교섭은 미국산 쇠고기의 병원급식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판가름 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보건의료노조에 의하면 산별중앙교섭에서 미국산 쇠고기 병원급식 반대를 전체 노사공동선언으로 채택해야 한다고사측에 제안했으나 사측 대표는 “정치적으로 예민한 문제”라며 대답을 회피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측은 또 노조의 제안에 “광우병 위험이 과학적으로 증명되기 전까지는 병원급식을 하지 않겠다는 노사공동선언을 하기가 어렵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이에 보건의료노조는 “병을 치료하기 위해 병원을 찾은 환자들에게 광우병 위험이 있는 미국산 쇠고기로 급식해 새로운 병을 발생시키는 행위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벌써 병원 내부에서는 입원환자들과 보호자들이 쇠고기 병원급식에 대해 불안과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고 주장했다.
보건의료노조의 이 같은 제안은 환자들의 건강과 생명을 책임지는 병원이기 때문이라는 것.
노조는 “사용자측이 앞장서서 광우병 위험 미국산 쇠고기 수입에 반대하고 환자급식에 사용하지 않겠다고 선언해도 모자랄 판에 이렇게 무책임하고 몰상식한 입장을 취하는 것은 도저히 용납할 수 없다”고 비난했다.
또한, “이런 사측의 태도는 최근 30개월 미만 살코기만 사용한다는 맥도날드 사의 해명보다 못한 인식 수준으로서 과연 의료인으로서, 병원 경영진으로서 자질을 의심케 한다”고 덧붙였다.
보건의료노조는 오는 11일 제7차 산별중앙교섭에서 병원 사용자측이 기존과 같은 태도로 노사공동선언을 회피한다면 긴급 투본회의를 열어 노사공동선언에 불참한다는 입장이다.
아울러, 노사공동선언을 불참하고 있는 병원 명단을 언론과 인터넷에 공개하고, 시민과 환자보호자, 네티즌들과 함께 전면적인 항의투쟁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보건의료노조는 “의사협회, 병원협회, 한의사협회, 치과의사협회, 간호사협회, 간호조무사협회, 의료기사협회 등 평소 국민건강권 실현에 앞장선다고 자부하는 보건의료단체들이 침묵으로 일관해서는 안된다”며, “국민의 건강주권과 생명주권을 지키기 위한 투쟁에 발언하고 동참해 줄 것을 정식으로 요청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보건의료노조는 미국산 광우병 쇠고기 위험으로부터 국민의 건강권을 지켜내기 위한 방법을 놓고 10일부터 오는 14일까지 총파업 찬반투료를 진행할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오는 26일에는 전국 12개 병원의 노동조합 간부 대의원 3000여명이 서울로 집결 ‘고시철회, 전면 재협상, 의료영리화 반대 보건의료노동자 대행진’을 개최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