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연대는 의료영리화 완전폐기를 촉구하는 릴레이 1인 시위를 매일 정오, 광화문 정부종합청사 앞에서 진행하고 있다.
건강연대의 이번 1인 시위는 정부와 당정실무협의를 통해 ‘의료법 개정안을 포함해 실손형 민간의료보험 도입, 영리의료법인 허용 등 논란의 소지가 큰 정책은 당분간 논의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힌 것과 다르게 진해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한나라당 임태희 정책위의장은 ‘영리의료법인 도입은 할 수도 있다고 본다’는 발언을 했고, 제주특별자치도 역시 ‘국내 영리병원 설립 관련 설명자료’ 및 각종 언론을 통해 국내영리병원 허용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이를 기정사실화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28개 노동ㆍ농민ㆍ보건의료ㆍ시민사회단체의 연대체인 ‘건강연대’는 “의료민영화 추진을 하지 않겠다는 정부여당의 입장발표와는 달리 실제 의료민영화의 핵심인 영리병원 설립 허용을 추진하고 있는 정부의 이중적 태도에 분노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건강연대는 의료영리화 정책이 가상과 허구에 근거하고 있을 뿐 아니라 국민을 크게 불안하게 만드는 정책으로 규정하고 이의 완전폐기를 촉구하는 릴레이 1인 시위를 매일 정오에 광화문 정부종합청사 앞에서 진행하고 있다.
건강연대 관계자에 따르면, 단체 대표 및 임원에 이어 정책전문가, 보건의료인, 일반시민에까지 1인 시위를 확대해 정부 정책에 대한 국민의 목소리를 지속적으로 전달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건강연대는 정부의 의료영리화 정책의 입장 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건강연대 내부에 '의료법 개악 및 제주 국내영리병원 저지 대응팀'을 구성 운영하고 있다.
건강연대는 “대국민선전물 제작 및 캠페인, 정책토론회 개최, 전국순회강연, 릴레이 신문광고, 각 단체 회원 교육, 언론기고 등 의료민영화 관련한 다양한 사업들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