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4 (금)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제약기업, 기능성화장품 사업전환 불가능

진흥원, “건식분야, 어려움 있으나 제도적으론 가능”

제약기업이 기능성화장품사업 등으로 전환하는 것은 시설부분에서 활용이 가능하나 제도적으로는 공유가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김법완)은 최근 ‘제약기업에서 보건산업내 기업으로의 사업전환시 법률적 소고’라는 제목의 ‘보건산업정책 이슈리포트’를 발간했다.

FTA체결, 약제비 적정화 방안 시행, GMP기준 선진화 추진, 비윤리적 영업관행 금지 등 최근의 제약산업 내 다양한 환경변화 등에 따른 제약산업 구조조정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진흥원은 “이번 이슈리포트에서는 이로 인해 경쟁력이 저하된 제약업종사업을 폐지하거나 보건산업내 업종으로 진출 또는 사업의 다각화를 모색하는 제약기업에 대해 법률적 제도분석 및 절차 등을 다각도로 검토, 사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했다”고 밝혔다.

제약기업이 보건산업 내 사업전환등을 위해 사업화를 모색하는 기업들은 우선 건강기능성 식품, 화장품 등 타보건산업의 제도측면에서 표시기준, 관리기준, 광고, 영업 등에서 제도적 차이점을 파악해야 한다.

리포트에서는 이 중 건강기능성식품 분야는 실무상으로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나 제도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제도적 근거를 바탕으로 활용도가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그러나 기능성화장품산업 등에는 시설부분에서 일정부분 활용할 수 있는 여건이 있으나 제도적으로는 공유가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흥원은 “제약기업이 기존의 사업을 포기하고 건강기능성 식품 또는 기능성화장품 등으로 사업전환을 하기 위해서는 폐업 의사결정, 폐업신고, 신규산업으로의 허가 또는 신고 등을 통해 절차적 요건과 일정한 기간을 준수해야 하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