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노조는 보훈병원 직원 383명의 정원을 감축 등 대대적인 인력 구조조정방침을 즉각 철회할 것을 주장하고 나섰다.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이하 보훈공단) 이사회는 지난 4월 1일 서면 이사회를 열어 보훈병원 직원 383명의 정원 감축 등 대대적인 인력 구조조정방침을 결정했다. 이는 정부의 공기업 선진화 방안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그러나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은 “2012년까지 10% 인력 감축을 단계적으로 시행하라는 지침에서 2009년에 조기 시행하라는 지침으로 변경된 데 기인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노조는 “보훈공단은 정부의 인력 구조조정 관련 지침이 나오자마자 노동조합에 사전 통보조차 없이 서면 이사회를 통해 인력 감축을 기습 처리했다”면서 “정부는 그동안 보훈환자들의 의료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방향과 정반대로 보훈병원의 특수성을 무시한 채 의료의 질을 떨어뜨리는 구조조정 방침을 무차별적으로 강요해 왔다”고 주장했다.
보훈공단은 정부의 일자리 창출 방침에 따라 단기 인턴사원을 100명 넘게 채용해 사무행정보조직 뿐만 아니라 직접 진료를 담당하는 방사선과, 임상병리과 등에 배치해 왔다.
노조는 “병원의 정규인력을 감축하고 단기 인턴사원을 채용하는 이율배반적인 인력 구조조정 결정은 기관의 발전을 위해 청춘을 바쳐 일해 온 노동자들의 생존권을 박탈하는 것은 물론이고, 보훈환자들의 의료 서비스 질 저하로 이어질 것은 불 보듯 뻔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보훈공단은 2월 이사회를 통해 2001년 1급에 한해서만 연봉제를 도입하겠다는 노동조합과 합의를 완전히 무시한 채 기관의 경쟁력과 수익성을 고려해 의사직을 포함한 2,3급에 대한 연봉제 도입을 결정한 바 있다.
노조는 “정부가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사회적 일자리 창출을 연일 주장하며 공공기관에 대해 정규직 인력감축, 인턴제 확대, 기간제 비정규직 대량 해고, 간접고용 비정규직 확대 등을 강요하며 오히려 고용을 파괴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아울러, 보건의료노조는 “보훈공단 이사회의 정원 383명 감축 결정과 의사직을 포함한 2,3급 연봉제 도입, 그리고 대졸초임 삭감 추진 등 일체의 구조조정 방침에 대해 즉각 취소할 것”을 촉구하며 “보훈공단이 정부의 방침 운운하며 노동조합을 무시하고 막가파식으로 383명의 정원축소, 연봉제 도입 추진, 대졸 초임 삭감등 구조조정을 강행하려 한다면 보건의료노조 4만 조합원은 즉각 투쟁에 나설 것”임을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