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연구 활성화를 위해 법·제도 마련을 통한 지원 및 장기계획에 따른 노화분야의 체계적이며 종합적인 연구추진이 필요하다’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가 펴낸 '노화연구 및 활용기술' 보고서는 국내 노화분야 정부투자(2007년 기준 153억원)가 미국 국립노화연구소 예산(10억달러) 대비 1/85로 매우 미흡한 수준임은 물론 연구·기술개발 추진전략이 부재하다며 이 같이 밝혔다.
한국을 포함해 유럽의 많은 나라들이 2026년을 전후로 초고령사회(65세 이상 인구가 총 인구의 20% 이상 차지)로의 진입이 예상, 고령인구의 건강한 삶 유지와 경제적 생산활동 참여를 가능케 하는 노화 관련 연구 및 이를 활용한 치료제 개발·의료기술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노화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술들은 기존의 산업군에 영향을 미쳐 향후 의약산업·식품산업·화장품산업 및 삶의 질 관련 산업에 큰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항노화제품에 대한 세계시장은 2006년 1352억 달러에서 연평균 8.9%로 성장해 2012년 2243억 달러 규모의 매우 큰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일본 등 주요 선진국에서는 노화 및 장수과학에 관한 국립연구소를 설립해 노화에 관한 종합적인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는 것.
보고서는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일부 국내 대학에서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노화분야 연구센터들이 설립·운영중이나 국내 노화연구 역량을 결집하기에는 역부족이며 특히 국립노화연구원 설립을 골자로 한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 일부개정안’(유재중 의원 발의)의 처리가 미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즉, 국내 노화연구의 구심적 역할을 수행하는 노화연구 코어시스템(국립노화연구소 형태 등) 구축을 통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연구개발 추진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아울러 △미래유망 노화기술 및 산업분야 분석, 국내의 미래 전략분야 선정과 실행방안을 포함한 국가차원의 장기적 플랜 마련 △안정적인 노화연구 지원을 위한 합리적인 규제 및 제도 마련으로 장기적·일관된 정책 추진
△노화에 대한 기초연구 성과가 의약품, 식품, 화장품 개발에 효율적으로 연계될 수 있는 중개연구 및 시스템 강화 △노화 분자표적을 이용한 노인질환 조기진단,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원천기술 확보 노력 등이 요구된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