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음의 상징 여드름이 20대 여성에게서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정형근)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이 2001년부터 2008년까지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내용을 발표했다.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성장기 청소년과 같이 젊은층에서 많이 발생하는 피부질환의 일종인 ‘여드름(L70)’의 실 진료환자수가 2001년 14만9천명 이후 2006년 7만8천명으로 매년 감소추세를 보이다가, 2007년부터 다시 증가세로 돌아서 2008년에는 9만6천명으로 나타나 다시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실진료환자수는 2008년 기준으로 남성이 3만9천명, 여성은 5만7천명으로 나타나 여성이 남성보다 1.5배 가량 많았고, 연령별로는 10대와 20대가 각각 3만6천명과 4만1천명으로 전체 진료환자의 78.0%를 차지했다.
연령대별 실진료환자수는 2008년 기준으로 10만명당 20대 여성이 782명으로 최고였고, 뒤를 이어 10대 남성 524명, 10대 여성 518명, 20대 남성 370명, 30대 여성 232명 순(順)이었다.
특히, 10대의 경우는 남성과 여성간 실진료환자수에 있어 큰 차이가 없었으나 20대는 여성이 남성보다 2.1배, 30대는 여성이 남성보다 2.9배가량 더 많았다.
여드름에 의한 건강보험 진료비은 2001년 119억원 이후 2006년까지 해마다 감소추세를 보이다가 2007년 부터 다시금 증가하여 2008년에는 62억원으로 나타났다.
공단이 부담한 여드름에 의한 2008년 급여비는 모두 42억원으로 약국은 24억원, 외래 17억원이었고, 입원에 의한 급여비도 1백4십만원 이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피부과 김수민 교수는 “여드름의 발생요인으로 피지분비 증가, 모낭과다각질화, Propionibacteriumacnes균의 집락 형성, 염증반응과 유전적 및 환경적 요인 등이 있다”며 “유분이 많은 화장품, 마찰이나 기계적 자극, 스트레스, 과도한 발한 등도 여드름을 악화시킬 수 있다. 여드름 치료와 예방을 위해서는 기름기를 제거할 수 있는 세안이 필요하고, 유분이 많은 화장품은 피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이어 “증상에 따라 국소치료제로 벤조일 과산화물, 국소항생제, 레티노이드 외용약 등을 사용하며, 전신요법으로 경구항생제, 레티노이드, 호르몬제 등을 쓰기도 한다. 면포적출 등의 외과적 요법이 필요한 경우도 있으니 전문의와 상의하는 것이 좋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