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5 (토)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제주도醫 “DUR 시범사업 일반의약품 포함해야”

시행 일주일 앞두고 심평원과 이견…“반쪽짜리 DUR”

내달 2일부터 제주도 전역에서 시행되는 DUR 시범사업이 시행 일주일을 앞둔 상황서 일반의약품 점검을 두고 의사회와 심평원간 이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도의사회(회장 원대은)는 서두를 것이 아니라 일반의약품에 대한 점검시스템도 함께 준비한 후 시행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송재성)은 일반의약품을 점검하기 위해선 코드문제 등이 있어 시간이 필요하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었다.

일반의약품에 대한 DUR 점검시스템 문제는 지난번 국정감사에서도 지적된바 있다. 당시 한나라당 안홍준 의원은 “제주도 DUR 시범사업에서는 일반의약품에 대한 점검도 함께 필요하다”고 지적, 이에 송재성 원장 역시 “현재로서는 어려운 부분이 있어 향후 시행하겠다”는 입장을 밝힌바 있다.

그러나 제주도의사회 원대은 회장은 “DUR 시스템은 원칙적으로 중복되는 약, 병용․연령금기를 거르겠다고 시행하는 제도”라며 “문제는 처방단계에서 거를 생각이라면 약국에서 판매하는 일반의약품에 대한 점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며 문제가 있음을 내비쳤다.

즉, 의사들이 처방단계에서 아무리 약을 걸러낸다 하더라도 유사성분의 일반의약품이 환자에게 고스란히 판매될 수 있어 현 상태로는 실질적인 DUR시스템이 작동할 수 없다는 것.

원대은 회장은 “정부가 진정으로 국민의 건강을 위한다면 약사 판매하는 일반의약품에 대해서도 점검시스템을 가동해야 하는 것이 옳다”면서 “그러나 지금의 형태로 운영하려는 것을 보면 정부가 건보재정을 아끼기 위해 의사를 귀찮게 하려는 것은 아닌지 의구심이 든다”고 주장했다.

원회장이 이처럼 주장하는 것은 그간 제주도의사회가 심평원에 코드가 부여된 일반의약품만이라고 시작하자는 의견을 수차례 제시한바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부에서는 약사회와 협의하라는 대답이 돌아왔을 뿐 딱히 대책을 내놓고 있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이같은 제주도의사회의 주장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DUR 사업단 박정연 단장은 “제주도 시범사업은 고양시와는 달리 처방단계에서의 점검시스템이 가동되는 것으로 차이가 있다”고 밝힌 뒤 “일반의약품도 점검해야 할 필요성이 있으나 아직까진 코드화되어 있지 않아 시간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원대은 회장은 “코드가 부여된 일반의약품에 대해 모두 점검했으면 한다. 만약 이 마저도 안 된다면 특정 성분 즉, 해열진통제라도 해야할 필요가 있다”며 “불편을 조금만 참는다면 국민이 안전할 수 있다. 그런데 뭐가 그렇게 급한지 당장 제도를 시행하려고만 한다”며 조금 늦더라도 보다 세밀한 프로그램으로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의약품 처방ㆍ조제지원(DUR)시스템 제주도 시범사업은 의료기관 520여개 및 약국 220여개를 대상으로 오는 11월 2일부터 시행된다. 시행 일주일 남겨둔 상황에서 일반의약품 점검을 두고 의료계와 정부가 이견을 보이고 있어 향후 이를 둘러싼 문제 해결에 관심이 모아지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