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장관약 ‘가나톤’의 제네릭 시장 경쟁이 본격화면서 제약사간 견제 분위기가 심화되고 있다.
28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가나톤 제네릭을 출시키로 한 A제약사에 대해 경쟁사인 H사와 D사가 리베이트 정황을 포착해 고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A사는 곧바로 비상사태로 돌입해 장부 서류 등을 정리하고 업무까지 차질이 빚어지기도 했다는 전언이다.
복지부가 최근 가장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안이 리베이트건인 만큼 제약사 입장에서는 민감한 반응을 보일 수밖에 없다.
특히 정부의 리베이트 규제 정책이 강화되면서 출시 시점까지도 눈치작전이 진행되고 있으며 영업정책에 대한 정보 전쟁과 견제가 벌어지고 있다는게 업계의 설명이다.
일부 영업사원들은 복지부가 최근 제약사를 상대로 리베이트 확인서까지 받으면서 실제로 준비중이었던 리베이트건들이 취소되거나 보류된 것들이 많다고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
뜨거운 감자로 여겨지는 리베이트에 대해 제약업계는 ‘당연히 없어져야 하는 것’으로 입을 모으면서도 자유롭지 못한 것도 현실.
기존 오리지널이 시장을 지배해온 만큼 수많은 경쟁 제품 중에 시장에 좀더 안정되고 빠르게 진입하기 위한 제약사들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다.
한 제약사 영업담당 임원은 “지금 복지부가 어떤 상황인데 리베이트를 준비할수 있겠는가”라며 “‘가나톤’ 제네릭이 출시되는 시점에서 제일 먼저 문제를 일으키게 되면 사회적 파장과 타격이 꽤 클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제약사간 경쟁이 심해지다 보니 헐뜯는 분위기까지 조성되고 있다”며 제약계 전반의 긴장된 양상을 표현했다.
또다른 관계자는 “대부분 오래전부터 가나톤 제네릭을 준비해왔다. 하지만 너무 많은 제약사들이 뛰어들었고 팔면 또 얼마나 팔겠는가”라고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다.
한편 제네릭의 경쟁 심화 속에서도 중외제약 ‘가나톤’은 올해 오리지널이라는 유리한 장점을 이용해 장기적으로 안전성과 유효성을 인식시키는 마케팅 전략으로 신중히 대처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