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토프로펜 성분의 바르는 소염진통제가 15세 미만 소아에게 사용이 금지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케토프로펜 성분 외용제 73개사 118개 품목에 대해 사용 금지 연령을 포함한 허가사항 전반을 개정하고 안전성서한을 배포했다고 30일 밝혔다.
앞서 식약청은 지난 1월 프랑스에서 광과민증 부작용 등을 사유로 케토르로펜 겔제의 시판을 중지한 것과 관련해 약물사용중 햇빛 노출을 피할 것을 당부하는 한편 국내 허가제품의 안전성 전반에 대한 재검토에 착수한 바 있다.
제출자료, 각국의 조치동향, 국내 부작용 사례 분석, 중앙약사심의위원회 자문 등 종합 검토를 거친 결과, 광과민증 부작용은 대부분의 경우 국소적 증상으로서 생명을 위협하는 정도의 중대한 부작용으로 보기는 어렵다는 결론이다.
또한 그간 보고된 부작용 대부분이 발진, 가려움증 등 경미한 사례로서 판매를 중단해야 할 정도의 위험성은 없지만 안전한 사용을 위해 사용기준을 강화한 것이다.
현재까지 케토프로펜 성분의 외용의약품에 대한 국내 부작용 보고(‘99년~’09년) 건수는 총 285건이며 이 중 광과민증은 4건이다.
이번 허가변경(제품정보 개정)의 주요 내용은 15세 미만 소아 및 케토프로펜과 교차 과민반응 유발 가능성이 있는 티아프로펜산, 페노피브레이트, 베자피브레이트, 시프로피브레이트, 옥시벤존 성분에 과민증 병력이 있는 환자에게는 투여가 금기된다.
또 약물 사용후 2주 동안은 약물노출 부위의 자외선노출을 피해야 하며 1주일 정도 사용후 증상개선이 없으면 사용을 중지해야 한다.
식약청측은 “일광알레르기 환자, 접촉성알레르기 환자, 전신성루푸스 환자들은 부작용 발생 위험성이 높으므로 사용을 삼가야 하며, 일반인들도 관련제제를 사용할 경우 햇빛에 노출되지 않도록 유의하는 것이 좋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