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수희 보건복지부 장관이 OTC 슈퍼판매를 부분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힌데 대해 한 약사 커뮤니티 회원들이 우려의 목소리를 높였다.
현재 2만 9,000여명이 소속된 것으로 알려진 ‘약사의 미래를 준비하는 모임’은 19일 공개서한을 통해 OTC 슈퍼판매가 안정성보다는 편의성에 무게를 둔 선택이라며 반발했다. 나아가서는 약사의 필요성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먼저 OTC 슈퍼판매가 그간 약국에서 잘 관리됐던 OTC의 새로운 사각지대를 푸는 발상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일반약이 약국 외 장소에서도 취급될 경우 제약사들은 광고에 의한 판촉에 지금보다 더 열을 올릴 것”이라며 “현재는 그나마 약사가 약국에서 경고를 해줄 수 있었지만, 이제부터는 어떠한 제제도 없이 오로지 광고를 통해 형성된 구매욕에 의해 무분별한 복용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따라서 일반약을 복약지도가 불가능한 사각지대에 풀겠다는 것은 약간의 편의성 때문에 해마다 적어도 수십 명 또는 수백 명의 건강과 생명을 맞바꾸는 행위라는 설명이다.
아울러 OTC 슈퍼판매를 넓은 시각에서 보면 약사의 필요성 자체를 부정하는 것과 다름없다는 주장이다.
이들 모임은 “의약품이 국민에게 전달되는 과정은 약사라는 전달자와 약국이라는 취급장소 두 가지에 의해 이중을 제한을 받는다”며 “OTC 슈퍼판매는 전달자와 취급장소 모두 부정하는 것이며 약사면허의 필요성 자체를 부정하는 것과 일맥상통하다”고 비난했다.
뿐만 아니라 이들은 의약분업에 혼란이 올 수 있다는 우려 섞인 전망도 내놨다. 모임은 “약국이 아닌 병원에서도 일반약을 조제하게 해달라거나, 전문의약품을 조제할 수 있게 해달라는 의사집단의 강한 요구로 이어질 것”이라며 “이제 의약분업에 적응해가는 국민들에게도 혼란을 일으킬 수 있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대형마트 등에 한정해 판매를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데 대해서는 실효성이 없다는 반응을 내비쳤다.
이들은 “대형마트 내에는 이미 상당수 약국이 입점해 있으며 이 약국들은 마트영업시간이 끝날 때까지 문을 열고 있어 실효성이 없는 의견”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