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등에 불이 떨어진 대한약사회다. 결국 슈퍼(편의점)가 아닌 소방서 등 공공기관에서 일반약 판매를 추진하겠다는 방안을 내놨다.
서울시약사회의 슈퍼판매 저지를 위한 궐기대회가 있던 2일 대한약사회는 진수희 보건복지부 장관의 발언을 토대로 한 고육지책을 발표했다.
이날 대약은 최근 진수희 보건복지부 장관이 언급한 것과 같은 소방서, 지구대 등의 공공장소에서 일반약을 판매토록 하겠다는 방안을 공식화했다. 이는 그간 기재부 등에서 논의해 온 편의점 판매에 대한 회원들의 강한 반발에 의한 자구책으로 풀이된다.
기재부는 일반약의 심야, 휴일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에 대해 구상 중이라고 밝힌바 있다. 약사들은 정부의 움직임이 ‘편의점’ 판매라고 해석하는 분위기.
이에 따라 의약품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약사회는 심야약국 확대, 처방전 리필제 등의 대안을 마련했지만, 슈퍼판매에 대한 여론을 돌리기는 힘든 상황이다. 더군다나 시행초기 의욕적인 모습을 보였던 심야약국 역시 시민단체 등의 뭇매를 맞으며 사실상 효과가 없다는 결과를 낳았다.
결국 김구 회장 및 전국시도회장들을 비롯한 집행부가 모인 상황에서 고육지책으로 내놓은 것이 바로 공공기관에서의 판매인 것.
이 같은 방안은 진 장관이 지난 3월 공공장소에서의 판매에 대해 “경찰서, 소방서, 구청 등 공공장소는 예로 든 것”이라고 발언한 것을 수용하겠다는 의미로도 볼 수 있다는 해석이다.
대한약사회가 진 장관의 발언을 받아드리는 것이 무리가 아닌 점은 그간 슈퍼판매에 대한 지역약사회의 반발뿐 아니라 조제료 인하에 대한 압박까지 더 해진 상황이 한 몫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전히 약국 외 판매에 대한 약사들의 반발의 목소리는 높다. 또 이미 일반약 슈퍼판매에 대한 여론은 거세지고 있는 상황에서 편의점은 제외하겠다는 대한약사회의 의지를 정부가 반영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