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법 개정 저지에 동의하는 100만명의 서명이 우여곡절 끝에 보건복지부에 전달됐다.
대한약사회는 18일 오후 12시 회원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약사법 개악 저지 국민 100만 서명 전달식’을 열고, 국민들이 이번 약사법 개정으로 인해 의약품 안전성을 우려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특히 지난 5일부터 서명이 시작된 후 17일 오후 8시 현재 111만 7,337명의 서명을 받은데 대해 큰 의미를 부여했다.
약사회는 “건국 이래 어느 누구도 2주만에 100만 국민 서명을 받겠다는 시도도, 생각도 하지 못했다”며 “의약품에 대한 기본 개념을 포기하고 국민 건강을 파탄에 이르게 하는 약사법 개악 저지를 반드시 이뤄내기 위해 약사들은 누구도 하지 못한 일을 해냈다”고 자평했다.
그러나 100만여명의 서명이 정부로 전달되는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약사회 건물에서 출정식을 마치고 오후 2시경 복지부 앞에 도착한 약사들이 경찰의 저지에 막히게 된 것.
김대업 부회장은 “개별적으로 민원을 접수하는 것은 정부도 못 막으니 오늘 6시까지 회원들이 개별 접수를 하기로 복지부 담당 국장과 얘기를 마쳤었다”며 “우리도 집회는 하고 싶지 않고 빨리 제출하고 가고 싶은 심정”이라며 경찰 관계자들을 설득했다.
그러나 경찰 측은 복지부 관계자가 밖으로 나오기 전까지는 출입시킬 수 없다며 단호한 입장을 보였다.
결국 김대업 부회장이 복지부와 1시간가량 논의한 끝에 복지부 건물 밖에 접수대를 마련한 뒤 서명을 받기로 합의했다.
이 과정에서 일부 임원들은 “우리도 엄연한 국민인데 왜 길거리에서 민원을 접수해야 하나. 우리가 무슨 잘못을 했나. 잘못은 정부가 한 것 아니냐”며 강하게 반발했다.
또 한 임원은 접수를 위해 나온 복지부 직원들을 향해 “출장명령서가 있느냐”고 소리치며 “뭐가 겁이 나는 것이냐. 왜 밖에서 받는지 이유를 말하라”며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다.
접수는 임원 1명당 반대의견서 1부와 서명용지 2,000장을 전달하는 형태로 이뤄졌다. 서명용지 총 500박스 가운데 350박스는 대한약사회 명의로 일괄 단체 접수됐다.
대한약사회 김구 회장은 “시간이 지연됐고 밖에서 접수를 한 것이 원칙은 아니지만 국민의 뜻이기 때문에 겸허히 받아주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