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환자 85%가 내달 1일 시행되는 ‘약값 본인부담률 차등제’를 반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당뇨병학회(이사장 박성우)는 당뇨 환자 510명을 대상으로 ‘약국 본인부담률 차등제’에 대한 인식 조사를 한 결과, 85.5%의 응답자가 이 제도를 반대했다고 29일 발표했다.
이번 설문조사에는 한국당뇨협회 주관 당뇨병캠프 참가 환자와 서울에 소재한 종합병원 및 상급종합병원 방문환자를 중심으로 510명이 참여했다.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 82.5%는 의원에서 진료의뢰서를 발급받은 뒤, 대형병원을 방문할 때 서로 다른 약값을 지불하는 데 대해서도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었다
제도 시행 후에도 약값 인상 부담을 안고서라도 기존에 진료하던 종합병원을 이용한다는 응답자가 10명 중 7명으로 조사됐으며, 그 이유에 대해서는 합병증 치료와 전문성 때문이라고 답했다.
환자들 중 89.8%는 당뇨를 중증질환으로 인식했다.
이는 합병증 발생 위험성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 3명 중 1명이 합병증이 있다고 응답했고, 유형으로는 눈, 심장, 신경, 말초 혈관 관련 질환이 각 10% 이상의 비율을 차지했다.
합병증 유무와 관계없이 전체 응답자 중 86.8%가 합병증 발생을 걱정했다.
당뇨병 약값 부담 정도에 대한 설문에는 응답자 중 70%가 부담이 된다고 말했고, 뇌혈관질환과 심장 관련 합병증이 있는 환자들의 부담 정도는 더 강하게 나타났다.
당뇨병 환자 2명 중 1명은 정책을 모르고 있었고, 전체 응답자 중 85.5%가 제도가 부당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대형병원 쏠림 현상을 막기 위한 제도 취지와 약값 본인 부담 인상에 대해 75.3%가 부적절하다고 인식했다.
학회는 “당뇨는 긴 유병기간과 합병증으로 경증질환이 될 수 없다”며, “차등제 시행은 병의 경중이 아닌 환자의 경제력에 따라 재분배되는 제도”라고 강력히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