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이 되면서 피부 간지러움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살을 에는 추위와 매서운 칼바람, 이에 피부를 바짝 메마르게 하는 실내난방기기의 사용이 부쩍 늘어나면서 건조증 악화로 인한 피부 소양증을 앓고 있는 사람들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원래 우리 피부는 겨울철 춥고 건조한 날씨로 인해 땀 분비는 물론이고 유분 분비가 활발히 이뤄지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이 같은 겨울 피부의 특징은 피부보습을 돕는 자연 피지막의 형성을 저해해 피부 본연의 수분함량을 떨어뜨리고, 피부의 유수분밸런스를 무너뜨려 피부를 매우 건조하고 불안정한 상태로 만든다. 또 이처럼 보호막이 사라진 피부는 외부오염물질에도 쉽게 노출되어 피부자극으로 인한 간지러움증 등 각종 피부트러블에 자주 시달리기도 한다.
구소연 라마르피부과 목동점원장은 “피부가 극도로 건조해지면 피부를 보호하는 피부보호막에 균열이 생기면서 각종 외부 오염물질에 피부가 무방비로 노출되고, 또 이때의 피부자극으로 인해 피부 소양증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하면서, “특히 피부 소양증이 심해 피부를 마구 긁게 되면 피부 위 상처 및 염증이 발생하게 되면서 색소침착이나 긁은 부위의 피부가 두꺼워지고 주름이 심하게 발생하는 만성단순태선과 같은 피부염이 발병할 수 있으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조언하기도 했다.
소양증이 만성단순태선으로까지 발전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려움증의 주된 원인인피부건조증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항시 실내습도를 50~60%정도로 유지해 주는 것이 좋으며, 난방 역시 너무 고온을 유지하는 것 보다는 18℃ 전후로 실내온도를 맞춰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아울러 세안이나 샤워 시에도 보습성분이 함유된 세정제를 사용해 미온수로 세정하고 또 샤워 후에는 보습제를 충분히 발라 보습크림이 피부보호막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효과적이라 할 수 있으며, 또 평소 꽉 끼는 옷 보다는 통풍이 잘되는 순면의 옷을 입어주는 게 피부건조증 완화에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미 피부건조증이 악화되어 피부 간지러움증이 심해진 상태라면, 의료진과 충분히상담 후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거나 국소 스테로이드제를 사용해 증세를 완화시키는 게 바람직하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