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연여성의 자궁경부암 발병 확률이 비흡연 여성에 비해 3배에서 6배 정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암 진단을 받은 사람들 중에는 나름 건강관리를 잘 했다고 자부하는 사람도 있고 평소 건강관리를 잘 하지 못한 것에 대해 후회하는 사람도 있다.
이는 사람마다 면역성과 암 발생 유전인자 등 질병에 반응하는 체계 등이 다르기 때문이다. 자궁경부암은 인유두종 바이러스(HPV) 감염이 그 원인이라고 밝혀졌지만, 사실은 인유두종 바이러스에 평생토록 1번 이상 감염되더라도 대부분(99%이상) 저절로 치유된다,
그런데도 일부 여성에게서만 자궁경부암이 발병되는 이유가 주목된다. 자궁경부암 발병 요인에 대해 대한산부인과의사회 조병구 총무이사는 자궁경부암에 걸리고 싶지 않다면 금연부터 하는 것이 좋다고 말한다.
최근의 자궁경부암 연구 결과에 따르면, 흡연여성은 자궁경부암 발병 확률이 일반인에 비해 3~6배 더 높기 때문이다.
그 외 발병원인으로 임신과 분만 횟수가 많을수록, 자궁경부 고등급 병변이나 자궁경부암 발병 확률이 증가할 수 있다. 임신 중에 분비되는 여성호르몬이 임신부의 면역기능을 변화시키거나, 임신과 분만 회수가 많을수록 자궁경부의 변형대가 장기간 노출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는 설명이다.
성생활에도 주의가 필요하다. 성경험 노출 연령이 낮을수록, 자궁경부에 염증이 있을 때 자궁경부암 확률이 높아지고, 성접촉성 질환인 클라미디아나 단순포진 바이러스 감염, 에이즈바이러스인 HIV에 감염돼도 자궁경부암 발병 확률이 높아진다고 한다.
식생활과 영양소 섭취가 자궁경부암 예방에 미치는 효과도 크다. 신선한 채소와 과일, 비타민을 충분히 섭취하면 면역력을 높여줌으로써 자궁경부암 발병확률을 낮춰 준다.
조 병구 총무이사는 앞서 언급한 여러가지 인자에 따라 인유두종 바이러스(HPV)가 저절로 치유되기도 하고, 상피세포 이형성을 거쳐 자궁경부암이 되기도 하지만, 출발점은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인 만큼 가급적 자궁경부암 예방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또 백신 접종과 병행해 성생활 중인 여성이라면 자궁경부암 조기 발견을 위해 적어도 연 1회 자궁경부암 정기 검진도 해야 한다.
무엇보다 건강관리를 잘 해 질병이 생길 확률을 낮추려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설사 건강관리 후 병에 걸리더라도, ‘평소 건강 관리를 잘 했으니 더 빨리 나을 거야’ 라는 긍정적인 생각으로 치료 노력을 기울이면 치유도 더 빠를 것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