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환규 회장이 "그동안 원만하게 소통하지 못한데 대해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앞으로 산적한 회무수행에 회원 모두 힘을 모아달라는 당부로 보인다.
5일 개최된 대한의사협회 임시대의원총회 말미에 회무보고 겸 신상발언을 한 노 회장은 "하지만 음해성 주장에는 적극 대응하겠다"며 강한 의지를 보였다.
"돌아오는 화요일에도 피고발 건으로 검찰조사를 받아야 한다. 법적 책임을 져야할 오류를 범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노 회장은 리베이트 쌍벌제와 관련, "모일간지에서 소급적용에 신중을 기할 것을 사설에서 촉구한 이후 복지부의 방침 변화가 였보였으나, 장관사퇴 이후 리베이트 금액을 300만원보다 상향조정하여 소급적용하는 방침을 검토 중인 것으로 오락가락한다."며 복지부의 행태를 비난했다.
쌍벌제 시행 이후 사건인 '동아제약 리베이트 건'과 관련해서는 "동아제약이 처음에 의사들에겐 동영상강의료가 리베이트가 아니라며 회유하더니 수사과정에서 입장 변화를 보였다. 변형된 리베이트라는 동아제약 측의 입장 변화로 적지 않은 의사가 타격을 받았다. 의사면허 정지 2개월~12개월이라는 치명척 판결을 받은데 반해 동아제약은 3천만원 벌금에 그쳤다."며 동아제약의 입장 변화때문에 의사들이 피해를 당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아청법과 관련해서는 "2년전 국회를 통과한 법을 5천명이 당시 이명박 대통령에게 거부권을 행사해 달라고 탄원했지만 받아 들여 지지 않았다. 최근 의협 집행부의 국회 토론회 등 노력으로 매우 중요한 개정안이 준비 중이다."이라며 다소 희망적인 소식을 전했다.
하지만 아무리 조심해도 10년 취업제한이라는 부당한 조항을 환자나 직원이 악용할 수 있어 법개정 전이라도 적극 대응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진찰행위 중단 선언이라는 중대 발표까지 고령 중"이라고 밝혔다.
원격의료와 관련, "정부가 의원, 병원의 대면진료를 포함한 최종안을 마련 중이다. 의료계 전달체계 전체를 뒤집을 것이다. 청와대가 직접 챙기는 사안으로 복지부는 반대하지만 기재부 미래창조과학부 등이 찬성하고 있다. 정부가 원격의료의 환상에서 깨어나야 한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