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26일부터 30일까지 개최되는 ‘제24회세계임상화학회(IFCC)’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됐다. 세계임상화학회는 100개국 이상의 임상화학과 진단검사의학 분야 약4000여명이 모인 학회로, 녹십자 그룹 4개사, 지멘스 헬시니어스, 애보트등 진단과 관련한 50개 회사들이 참여했다. 세계임상화학회가 열리고 있던 코엑스에서는 다양한 전시와 함께 학회과학 세션, 교육워크샵 등 많은 세미나들이 마련됐다.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회장 백승열)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권순만)은 2022년 06월 27일 (월)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서 상호 협력 증진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협력 분야는 해외 제약·화장품 인허가 및 규제, 수출입 현황 등 정보 공유 / 원료의약품 자급률 향상을 위한 정보 및 정책 교류 / 한국 제약·화장품 산업 해외 홍보 및 진출 지원을 위한 공동사업 추진 / 교육·인력양성, 전문가 교류 및 협력 네트워크 구축 / 제약·화장품 분야 ESG 확산을 위한 공동 협력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번 MOU는 협회와 진흥원 간 상호 전문성을 통해 제약·화장품 산업의 진흥 및 해외 진출 지원으로 우리나라 보건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고 국민 보건 향상에 큰 의의가 있다고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는 밝혔다.
사노피는 본사 백신사업부의 주요 인사들이 방한해 안철수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장(국민의힘 의원)과 24일 면담을 가졌다고 밝혔다. 안 위원장은 이 날 오전 11시부터 1시간 가량 사노피에서 백신 R&D 부문을 총괄하고 있는 장 프랑소와 투싼 수석 부회장을 비롯해 파스칼 로빈 사노피 백신사업부 한국법인 대표와 조인식 전무 등 사노피 관계자 3명과 만나 글로벌 백신 R&D 트렌드 및 한국 백신 산업 성장을 위한 여러 주제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면담에서는 윤석열 정부의 주요 국정과제 중 하나인 한국 글로벌 백신 허브 구축을 위한 백신업계와 한국 정부의 협력에 대해 논의가 이뤄졌다. 특히 사노피의 선구적인 기술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혁신적 백신 개발 시스템에 대한 논의와 R&D협력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가 진행됐다. 또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모든 감염질환 예방의 중요성에 서로 공감하며, 중장기적으로 한국의 보건안보를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한 다양한 의견도 나눴다. 사노피는 30년 이상 한국의 국가예방접종사업(NIP) 발전에 기여해온 글로벌 백신 전문 기업이다. 사노피는 자사의 혼합 백신 헥사심(Hexaxim), 펜탁심(Pentaxim
광동제약(대표이사 최성원)은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의 알레르기 비염 치료제 ‘아바미스 나잘 스프레이’ 판매제휴 계약을 체결하고 유통을 시작한다고 27일 밝혔다. 지난 2009년 전문의약품 허가를 받고 국내에 도입된 아바미스는 국내 판매 1위(IQVIA DATA 기준)의 비강 내 스테로이드제로, 성인 및 2세 이상의 소아에서 계절성 또는 통년성 알레르기 비염 증상의 치료에 효능효과를 갖고 있다. 주로 알레르기 비염으로 인한 눈 가려움증이나 충혈, 콧물과 코막힘 등의 증상을 개선해주며 이비인후과, 내과, 소아청소년과 등의 다양한 과에서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 처방받을 수 있다. 광동제약이 판매하는 아바미스의 주요 성분은 ‘플루티카손푸로에이트(미분화) 0.05g’으로, 비강 내에 스프레이 형태로 분무하기 쉬운 디바이스 형태로 돼있으며 120회 분무 가능한 용량이다. 한번 투여 시 개선 효과가 24시간 지속되는 점도 높은 편의성으로 꼽힌다. 광동제약 관계자는 “2015년 GSK와 백신 판촉 및 유통 협력을 시작한 이후 이어온 양사간 높은 신뢰를 바탕으로 거래 관계를 확대하게 됐다”며, “아바미스를 통해 알레르기 비염으로 고생하는 환자분들과 더불어 의료진들에 기여할
환인제약(대표이사 이원범)이 함께 일할 신입 및 경력직 인재를 상시 채용한다고 27일 밝혔다. 공장 증설 및 연구소 이전 등 사업 확장에 따른 채용으로 ▲생산, ▲품질관리, ▲물류, ▲연구기획, ▲제제연구, ▲임상, ▲전략기획, ▲사업개발, ▲영업, ▲마케팅 등 전 분야에서 핵심 인재를 모집하며, 입사 희망 지원자는 특정 분야나 직무 선택 없이도 ‘상시 인재 풀(POOL)’에 등록이 가능하다. 환인제약은 1978년 설립 이래 조현병 치료제, 신경안정제, 항우울제 등 특화된 정신건강의학과 영역 치료제를 비롯해 순환계 치료제, 소화성궤양 치료제 등 다양한 의약품을 생산하는 헬스케어 전문 기업이다. 최근에는 향남공장 인수로 대규모 생산설비를 확보했으며, 지속적인 R&D 투자와 연구개발을 통해 글로벌 제약사로 도약해가고 있다. 환인제약 채용담당자는 “‘상시 인재 풀(POOL)’은 공개 채용과 달리 언제나 입사 지원이 가능하고, 지원자의 직무, 자격요건 등 적합 여부에 따라 즉시 선발 과정을 진행한다”며 “환인제약과 함께 전문성을 키워가고 싶은 역량 있는 인재들의 많은 관심과 지원이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자세한 채용 공고 확인 및 인재 풀(POOL) 등
㈜한국로슈(대표이사 닉 호리지)는 새로운 근무 형태 도입에 맞춰 사내 교류 증진 및 활기찬 업무 환경 조성을 위한 ‘WoW(Welcoming & Well-being) 프로젝트’를 6월부터 실시했다고 27일 밝혔다. 대면 근무 확대에 따라 임직원들이 환자를 위해 다시 사무실에서 만나게 된 것을 환영(Welcoming)하고, 일터에서 보다 즐겁고 활기차게 일할 수 있도록 돕는 것(Well-being)이 WoW 프로젝트의 주된 목적이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로슈 구성원 간 긴밀한 교류와 협력을 통해 환자와 고객에게 더욱 의미있는 혜택을 전달하겠다는 의지가 담겨있다. ‘함께할 때 멋진 일들이 생긴다(Great things happen when we gather)’는 로슈그룹 글로벌 CEO 메시지에 따라, 한국로슈도 더 많은 직원들이 사내에서 긴밀하게 연결되고 결속력을 다질 수 있는 행사를 마련한 것이다.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사내 카페테리아에서 빵, 과일 등 간단한 아침식사를 제공해 임직원이 삼삼오오 모여 담소를 나눌 수 있도록 했으며, 임직원의 웰빙을 위해 사내 및 외부 전문가를 초청해 미니 클래스를 진행했다. 또한 부서간 협업 증진을 위해 각 팀의 주요 업무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SK바이오사이언스사(社)가 국내에서 개발·제조하는 코로나19 백신 ‘스카이코비원멀티주’(개발명, GBP510)의 품목허가 진행 상황에 대해 다음과이 설명했다. 식약처는 SK바이오사이언스사(社)의 ‘스카이코비원멀티주’의 안전성과 효과성 등에 대해 자문하고자 ‘중앙약사심의위원회’ 회의를 6월 26일(일) 오후 4시 서울 회의실에서 개최했다. 이번 중앙약사심의위원회 회의에는 백신의 안전성‧효과성 심의를 위한 전문 분과위원회인 생물의약품분과위원회 상임위원 11인, 코로나19 백신 안전성·효과성 검증 자문단 4인, 대한의사협회 추천 전문가 1인 등 외부 전문가 16인과 식약처 내부 ‘코로나19 위기대응 지원본부’ 백신심사반의 총괄검토팀, 임상심사팀, 비임상심사팀, 품질심사팀 등 7인이 참석했다. 새롭게 사용되는 의약품은 ‘약사법’ 제18조에 따라 ‘중앙약사심의위원회’를 운영해 안전성·효과성에 관한 사항에 대한 자문을 구하는 절차를 거치고 있으며, 코로나19 백신·치료제의 경우 ‘코로나19 백신 안전성·효과성 검증 자문단’과 ‘최종점검위원회’를 추가로 구성해 3중의 자문 절차를 거치도록 하고 있다. 이번 중앙약사심의위원회 회의에서는 ‘
한국다이이찌산쿄주식회사(대표이사: 김대중)는 릭시아나 (성분명: 에독사반 토실산염수화물)가 고령 심방세동 환자를 고려한 임상적 근거를 확보하고 치료 옵션을 확대한 결과, 대한부정맥학회의 NOAC 사용지침에 반영됐다고 밝혔다. 대한부정맥학회는 올해 6월 발간된 ‘심방세동환자에서 비타민K 비의존성 경구용 항응고제(Non-vitamin K antagonist oral anticoagulant, NOAC) 사용지침’을 통해 고령 심방세동 환자에서 뇌졸중의 예방이 매우 중요한 문제이며, NOAC 도입 이후 항응고 치료의 처방률이 높아졌음에도 항응고 치료의 처방률은 30%를 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표준 항응고제 치료에 적합하지 않다고 분류되던 초고령의 심방세동 환자들 대상으로 한 ELDERCARE-AF 연구에서 에독사반 15mg을 사용했을 때 위약 대비 뇌졸중 절대위험도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 주요 출혈 위험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증가를 보였다. 이어서 에독사반 15mg 치료전략은 출혈 위험성이 높아 허가된 NOAC 상용량으로 적합하지 않거나 매우 취약한 초고령 환자에서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권고했다. 이번 지침에서 언급된 에독사
셀트리온이 개발한 아바스틴(Avastin, 성분명 베바시주맙) 바이오시밀러 CT-P16이 유럽의약품청(EMA, European Medicines Agency) 산하 약물사용자문위원회(CHMP, Committee for Medicinal Products for Human Use)로부터 현지 시간 24일 ‘판매승인 권고’ 의견을 받았다. 셀트리온은 CT-P16이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 European Commission)의 최종 판매 허가를 획득하면 ‘베그젤마(Vegzelma)’라는 브랜드명으로 글로벌 시장에 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셀트리온은 앞서 지난해 10월 전이성 직결장암, 비소세포폐암 등 아바스틴에 승인된 전체 적응증(Full Label)에 대해 EMA에 허가를 신청했다. 비슷한 시기에 미국 식품의약국(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이하 FDA)에도 판매 허가를 신청한 상태로 연내 승인을 기대하고 있다. 글로벌의약품 시장조사 기관인 아이큐비아(IQVIA)에 따르면 2021년 글로벌 베바시주맙 시장 규모는 64억 1300만달러(한화 약 8조 3300억원)로, 그 중 유럽과 미국시장이 각각 16억 1400만달러(한화 약
길리어드가 제조해 유한양행이 판매하던 ‘소발디’가 올해 1월을 끝으로 더 이상 모습을 찾아볼 수 없게 되면서, C형간염 치료제 시장은 애브비의 ‘마비렛’, 길리어드의 ‘하보니’ 두 제품으로 구도가 재편됐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가 제공한 5월까지의 원외처방 실적 분석 결과마비렛의 독주는 여전했지만 점유율에서는 소폭 변동이 생겼다. 4, 5월 누계와 이번 1분기를 비교한 결과 마비렛의 점유율은 감소하고 하보니의 점유율은 증가했다. 먼저 C형간염 시장 전체를 보면 4월 24억원, 5월 28억원으로 총 53억원을 기록했으며 1분기에는 98억원을 달성한 것을 감안하면 달성률은 절반을 살짝 넘긴 수준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마비렛의 실적은 4월 20억원, 5월 23억원으로 두 달 합계는 총 44억원 이상으로 확인됐으며 점유율은 83.9%로 나타났다. 1분기 실적인 84억에 비하면 감소세는 더 악화됐으나 1분기 점유율인 85.8%에 비해서는 감소했다. 반대로 길리어드가 제조하고 유한양행이 판매를 담당하고 있는 하보니느 4월 3억원, 5월 5억원으로 총 8억원을 기록했으며 1분기 13억원보다는 달성액이 적은 편이지만 점유율은 1분기 14.2%에서 4, 5월 합계
우리나라 의학의 학술적 명예를 드높인 보건의료관계자들 외에도 지역사회와 국가의 보건 안전, 그리고 언론과 예술 측면 등 여러 분야에서 이름을 빛낸 의약 관게자들을 격려하기 위한 시상식도 개최됐다. 2022녀 상반기 동안 서울시약사대상, 약연상, 보경의료봉사상 등 제약사가 함께한 9개 시상식들의 현황이 확인됐다. 대부분의 수상자들이 국내 및 일부 아프리카 지역 등 소외계층을 위해 힘써온 공로가 인정받았다. 학술상을 제외한 여러 시상식 중에서는 JW중외제약과 서울시약사회가 제정한 ‘제29회 서울시약사대상’ 시상식이 가장 빠른 1월 27일에 개최했다. 서울시약사대상은 약사 회원의 권익 신장과 약사회 발전에 공헌한 인사에 대해 시상된다. 수상자는 이진순 서울시약사회 부회장, 김화명 서울시약사회 부회장, 박근희 서울시약사회 감사, 박규동 서울시약사회 대의원, 김영진 서울시약사회 이사 등 5명이 선정됐다.’ 한독과 대한약사회가 주최하는 ‘제51회 약연상’ 시상식은 3월 15일 개최됐다. 약연상은 약사윤리강령을 준수하고 국민건강 증진과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한 약사들을 대상으로 주어지며, 수상자에게는 약연탑 트로피와 상금 500만원도 수여된다. 부산시약사회 대의원∙여약사회
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이창재)은 지난 23일 서울 여의도 파크원에서 ‘인베스터 R&D 데이(Investor R&D Day)’를 열고 주요 기관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자사 글로벌 사업 성과, R&D 역량 및 전략을 소개했다고 금일(24일) 밝혔다. 대웅제약은 자체 개발 보툴리눔 톡신 제제 나보타의 수출 증대, 고수익성 제품 위주의 전문의약품 매출 상승에 힘입어 작년부터 사상 최대 연간 및 분기 영업이익을 경신해오고 있으며, 특히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펙수클루, SGLT-2 억제제 계열의 당뇨병 치료제 이나보글리플로진 등 다양한 신약 파이프라인과 R&D 성과로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아오고 있다. 대웅제약은 이에 기관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회사의 미래 가치, R&D 현황 및 비전 등을 알리는 이번 행사를 마련했다. 전승호 대웅제약 대표는 “펙수클루정 신약 허가 및 기술 수출, 나보타 해외 매출 성장 및 판로 확대 등 끊임없는 신약 투자와 결실로 시장의 기대에 부응해 기쁘게 생각한다”며 “대웅제약은 앞으로도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전승호 대웅제약 대표는 ‘R&D 혁신기반 글로벌 제약사로의 도약’을
지멘스 헬시니어스 (https://www.siemens-healthineers.com/kr/)가 오는 6월 26일부터 30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제24회 세계임상화학회 IFCC Worldlab Seoul 2022(이하 IFCC 2022)에 골드 스폰서로 참가한다. 세계임상화학회 국제학술대회는 3년마다 대륙을 돌며 개최하는 국제대회로 약 100개국에서 3000명 이상의 진단검사의학과 임상화학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최신 분야의 지식을 발표하고 논의하는 세계 최고 권위의 학회이다. 한국에서 처음으로 개최되는 이번 학회는 전 세계의 약 50개 기업이 참여할 예정이며, 코로나가 종식되지 않은 상황을 고려하여 하이브리드 형식으로 개최된다. 지멘스 헬시니어스는 이번 학회에서 면역, 임상화학 자동화 솔루션인 Atellica ScI (아텔리카 ScI) 등을 포함해 POC(Point of Care, 현장검사), 혈액학 검사 및 IT 솔루션에 이르기까지 전방위적인 제품 포트폴리오를 전시 부스 내에 소개함으로써 지멘스 헬시니어스만의 뛰어난 진단검사의 기술 역량을 선보일 계획이다. 특히, 신제품으로 최신 혈액학 분석 시스템인 Atellica Hema 580과 면역분석기
한국릴리(대표: 알베르토 리바)는 자사의 JAK 억제제 올루미언트(성분명: 바리시티닙)의 아토피 피부염 적응증 국내 출시 1주년을 기념해 개최한 심포지엄을 성황리에 마쳤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지난해 5월 JAK 억제제 중 국내 최초로 아토피 피부염 적응증을 획득한 올루미언트의 국내 출시 1주년을 맞아 마련됐으며, 서울과 부산 지역에서 아토피 피부염 전문의들을 초청해 지난 1년간 축적된 다양한 올루미언트 처방 경험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서울 지역에서 진행된 심포지엄은 손상욱 교수(고려대학교 안산병원 피부과)를 좌장으로 지난 22일 진행됐다. 연자로는 경희대학교병원 피부과 신민경 교수와 충남대학교병원 피부과 서영준 교수가 참여했다. 먼저 첫 연자로 나선 신민경 교수(경희대학교병원 피부과)는 ‘리얼 월드 경험에 기반한 JAK 억제제 선택 시 고려사항(Practical considerations of JAK inhibitors in real-world experience)’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신 교수는 “최근 유럽, 일본 등에서 발표된 올루미언트의 리얼 월드(real world) 연구에 따르면 아토피 피부염 치료 효과를 평가하는 기준인
모더나는 지난 22일 오미크론 하위 변이를 포함한 자사의 ‘오미크론 코로나19 2가 부스터 백신 후보 물질’ mRNA-1273.214에 대한 새로운 추가 임상 데이터를 발표했다. 이번 임상 시험에서는 코로나19 백신의 추가접종까지 모두 마친 참가자들에게 50μg의 mRNA-1273.214를 접종 후 한달이 지나 중화항체 반응을 측정했다. 그 결과 이전의 코로나19 감염 여부와 상관 없이 모든 참가자에서 오미크론 하위변이체 BA.4와 BA.5에 대한 강력한 중화항체반응을 이끌어냈다. 모더나는 이번 임상 데이터와 이전 데이터를 기반으로, mRNA-1273.214를 코로나19 추가 접종 백신으로 사용하기 위한 허가 신청을 몇 주 안에 완료할 예정이다. 이번 임상 데이터에서 mRNA-1273.214는 오미크론 하위 변이체 BA.4/BA.5에 대한 중화역가를 이전 감염에 관계없이 모든 참가자에서 기준치보다 5.4배(95% CI: 5.0, 5.9), 혈청 음성 참가자 하위 그룹에서 6.3배(95% CI : 5.7, 6.9) 증가시켰다. BA.4/BA.5변이에 대한 중화역가는 이전에 보고된 BA.1변이 보다 약 3배 낮았다. mRNA-1273.214 투여 1개월 후,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