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근당(대표 김영주)은 캄토테신계 항암제 신약 ‘캄토벨’의 임상 논문이 SCI(Science Citation Index, 과학기술논문 인용색인)급 국제학술지 ‘영국암저널(BJC, British Journal of Cancer)’에 게재됐다고 17일 밝혔다. 이번에 게재된 논문은 국립암센터를 비롯한 전국 13개 기관에서 소세포폐암 재발 환자 164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후기 2상 임상시험의 결과다. 캄토벨(성분명 벨로테칸)과 토포테칸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비교평가한 결과와 예후인자에 대한 분석내용이 포함됐다. 임상시험 결과 암세포의 완전관해(Complete Response)는 캄토벨 투여군에서만 1명이 나타났다. 객관적 반응률은 캄토벨이 33%, 토포테칸 21%로 확인돼 캄토벨의 비열등성이 입증됐다. 무진행생존기간(Progression Free Survival)은 캄토벨 4.8개월, 토포테칸 3.8개월이었으며, 전체생존기간(Overall Survival)은 캄토벨과 토포테칸이 각각 13.2개월, 8.2개월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1년 전체생존률에서 캄토벨이 58%로 토포테칸 27% 대비 2배 이상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투여군 모두
JW신약이 전국의 의료진을 대상으로 손 습진 치료제 ‘유니톡’ 웹 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오는 11월 19일 오후 1시에 시작되며 분당서울대병원 피부과 나정임 교수가 연자로 나서 ‘중증 손 습진 치료 및 관리-Alitretinoin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강연을 진행할 예정이다. ‘유니톡’은 알리트레티노인(Alitretinoin)을 주성분으로 최소 4주간의 강력한 국소 스테로이드 치료에도 반응하지 않는 성인의 재발성 만성 중증 손 습진에 적응증을 가지고 있는 제품이다. 이 제품은 비타민 A 유도체로서 염증을 억제하고 면역기능을 조절하며, 1일 1회 1캡슐의 경구 투여로 복용편의성을 높였다. 웹 심포지엄 참여 희망자는 JW신약 Academy 전용관(jws.livesympo.com)을 통해 사전 신청하면 된다. JW신약 관계자는 “이번 심포지엄은 만성 중증 손 습진 치료의 최신 지견과 함께 유니톡에 대해 집중 조명할 계획”이라며 “알리트레티노인 성분에 궁금한 점이 있었던 의료진 분들에게는 유익한 심포지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JW신약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언택트 흐름에 맞춰 웹 심포지엄, e카탈로그 등 비대면 활동을 통해
암젠이 지난 11월 13일부터 17일까지 온라인으로 개최된 미국심장협회 연례학술대회(AHA Scientific Sessions 2020, American Heart Association Scientific Sessions 2020: A Virtual Experience)에서 레파타TM(성분명 에볼로쿠맙) 심혈관질환 포트폴리오의 새로운 임상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에 발표된 연구들은 다양한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레파타TM를 통한 LDL 콜레스테롤 조절이 심혈관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PROFICIO(Program to Reduce LDL-C and Cardiovascular Outcomes Following Inhibition of PCSK9 In Different POpulations) 임상 포트폴리오하에서 진행됐다. PROFICIO 임상 포트폴리오는 50여개의 임상연구 및 8개의 리얼월드(real-world) 연구를 포함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전 세계 4만 3천여명 이상의 환자들이 참여했다. 먼저 암젠은 레파타TM의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 감소 관련 임상적 혜택에 대한 추가적인 근거를 제시하는 새로운 리얼월드 등록 연구인 GOULD의 결과를 발표했다
아이엔테라퓨틱스가 AI 신약개발 전문기업 디어젠과 손잡고 난청치료제 개발에 도전한다. 아이엔테라퓨틱스와 디어젠은 난청치료제 분야에서 새로운 구조를 가진 약물을 발굴하고 후보물질 도출을 가속시키기 위해 지난 22일 공동연구계약을 맺은 바 있다. 디어젠이 자체 개발한 AI플랫폼을 활용해 선도물질 최적화 구조를 제안하면 아이엔테라퓨틱스는 이를 합성하고 검증하는 역할을 한다. 디어젠은 AI 신약개발 전문기업으로, 유전자 데이터로 질병타깃 및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고 화합물과 단백질의 결합을 예측해 약물 후보물질을 도출하는 등의 AI플랫폼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아이엔테라퓨틱스는 자사의 이온채널 플랫폼 기술에 디어젠의 AI플랫폼을 접목시켜 신약후보물질 도출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신약 가치를 극대화한다는 계획이다. 박종덕 아이엔테라퓨틱스 대표는 “아이엔테라퓨틱스가 가진 글로벌 최고수준의 이온채널 플랫폼 기술과 디어젠의 AI플랫폼 기술이 만나 난청치료제 개발을 가속할 계획이다”라며 “이번 협업을 계기로 향후 각종 질환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까지 공동연구를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강길수 디어젠 대표는 “구조가 밝혀지지 않은 단백질을 대상으로 하는 탓에
동국제약의 3분기 실적이 공시됐다. 코로나19 여파에도 불구하고 모든 사업 부문에서 작년 3분기와 지난 2분기에 비해 탄탄하게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3분기 매출액은 1476억, 영업익은 252억, 당기순이익 178억으로 확인됐다. 2분기 매출액 1387억에서 6.4%, 영업이익 182억에서 38.4%, 당기순이익 10억에서 24.1% 성장한 결과다. 작년 3분기 실적은 매출액 1234억, 영업이익 181억, 당기순이익 158억이었다. 올해 3분기 실적과 비교한 결과 각각 19.6%, 39.4%, 12.8% 성장했다. 동국제약의 분기보고서 분석 결과, OTC, ETC, 헬스케어, 건강식품 등 모든 부문에서 골고루 성장했다. 수출 부문에서는 브라질에서 포폴주사와 글리코펩티드 계열 상생제 원료 의약품 ‘데이코플라닌’ 수출이 개선된 점, 아시아에서 히알루론산 피부 주름개선 필러 ‘벨라스트’ 수출이 증가한 점 등이 실적을 견인했다. OTC 부문에서는 탈모약 ‘판시딜’, 갱년기 치료제 ‘훼라민Q’ 등이, ETC 부문에서는 고지혈증 복합제 ‘로수탄젯’과 ‘피타론에프’ 등 내과영역 의약품이 성장을 이끌었다. 헬스케어 부문에서는 화장품 브랜드 '센텔리안24'가 신
일동홀딩스와 일동제약의 3분기 실적이 공시됐다. 모두 매출액은 상승했지만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적자로 확인됐다. ◆일동홀딩스, 매출액 1534억원 달성…전기 대비 4.2% 성장 3분기 실적은 매출액 1534억원, 영업이익 -62억원, 당기순이익 -53억원이다. 2분기 매출 1473억원에 비해서는 4.2% 올랐으나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3분기에 마이너스 실적으로 전환되면서 적자 전환을 면하지 못한 모습이다. 작년 3분기 실적은 매출액 1273억원, 영업이익 -103억원, 당기순이익 -31억원이었다. 작년과 비교하면 매출액은 20.5%, 영업이익은 40.0% 올랐으며 당기순이익은 67.8% 감소했다. ◆일동제약, 매출액 1465억원 달성…전기 대비 6.8% 성장 일동제약의 3분기 실적은 매출액 1465억원, 영업이익 55억원, 당기순이익 10억원으로 확인됐다. 지난 2분기 실적과 비교하면 매출액 1373억원에서 6.8% 상승했으며, 영업익 72억원에서 23.3%, 당기순이익 60억원에서는 82.6% 하락했다. 작년 3분기 매출액은 1296억원으로 올해 3분기에 13.1%나 상승했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도 각각 -4000만원, -49억원에서 올해 흑자 전환에
동성제약(대표 이양구)이 화장품 유통사 에스엔비디코리아(대표 이유진)와 중국 수출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을 통해 동성제약은 중국 시장 내에서 ‘이지엔(eZn)’ 브랜드의 입지를 더욱 확고히 다지게 됐다. 올해를 기점으로 60여억원 규모의 수출이 진행될 예정이다. 수출 품목에는 이지엔 브랜드의 염모제 라인과 헤어블리치 라인, 헤어케어 라인이 모두 포함됐다. 이외에도 동성제약은 여성용품 브랜드 ‘와우(WOW)’와 친환경 종이세제 ‘한장으로’를 함께 선보인다. 다양한 제품군이 소개되는 만큼, 향후 시장 반응과 전체 제품군의 판매 추이를 고려해 수출 규모는 확대될 수 있다. 이는 동성제약이 중국 타오바오 티몰(T-mall)과 샤오홍슈에 이지엔 국제 브랜드관을 런칭한 이래, 적극적인 마케팅과 꾸준한 소비자 커뮤니케이션으로 브랜드 파워를 키워온 결과여서 더욱 의미가 깊다. 수출된 제품들은 중국 온∙오프라인 채널을 통해 판매될 계획이다. 동성제약 관계자는 “이번 계약 체결을 통해 중국 소비자들이 더욱 다양한 유통 채널에서 이지엔 브랜드를 접할 수 있게 됐다"며 "수출과 동시에 중국 시장 내에서 이지엔 브랜드의 마케팅과 브랜딩에 집중해 매출을 대폭 확대하는 계기로 삼을
종근당(대표 김영주)은 캄토테신계 항암제 신약 ‘캄토벨’의 임상 논문이 SCI(Science Citation Index, 과학기술논문 인용색인)급 국제학술지인 ‘영국암저널(BJC, British Journal of Cancer)’에 게재됐다고 16일 밝혔다. 캄토벨은 종근당이 2003년 개발한 캄토테신(Camptothecin) 계열 항암제 신약으로 난소암, 소세포폐암을 치료하는 약물이다. 기존 동일계열의 항암제와 치료효과가 동등한 데 비해 세포독성 부작용이 현저히 적은 치료제로, 출시 이후에도 다양한 연구결과를 국제 유명 학회에 발표하며 약물의 우수성과 안전성을 입증하고 있다. 이번에 게재된 논문은 서울대학교병원을 비롯한 전국 9개 기관에서 저항성 또는 재발성 난소암 환자 141명을 대상으로 캄토벨(성분명 벨로테칸)과 토포테칸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비교 평가한 후기 2상 임상 결과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캄토벨을 투여받은 환자들의 전체 생존기간(Overall Survival)은 39.7개월로, 토포테칸 투여군(26.6개월)에 비해 약 13개월 가량 길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항암제 계열 중 하나인 백금계 약물에 저항성이 있는 환자와 비(非)
'제42회 유한결핵및호흡기학술상'의 영예는 김주옥 교수(충남대 의대 호흡기내과)와 박인원 교수(중앙대 의대 호흡기내과)에게 돌아갔다. 유한양행(대표이사 이정희)과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회장 이관호)는 지난 13일 오후 서울 잠실 롯데호텔월드에서 열린 '제 130차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석상에서 시상식을 갖고 김주옥 교수와 박인원 교수에게 각각 상패, 상금 및 메달을 수여했다.수상자인 김주옥 교수와 박인원 교수는 탁월한 연구성과로 호흡기분야 의학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지난 1979년 유한양행과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가 제정한 '유한결핵및호흡기학술상'은 매년 이 분야의 의학 발전에 공적이 두드러진 의학자에게 수여하는 시상제도로, 40여년이 넘게 호흡기 학술 발전에 큰 기여를 해왔다는 평가 속에 국내 호흡기 분야 최고 권위의 학술상으로 자리잡았다.
러시아 국부펀드(Russian Direct Investment Fund, 이하 RDIF)와 한국의 바이오테크 기업 지엘라파(GL Rapha)가 세계 최초로 코로나19 백신으로 등록된 스푸트니크 V(Sputnik V) 백신을 한국에서 연간 1억 5천만회분 이상 생산하는데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양사는 오는 12월 스푸트니크 V 백신 생산을 시작해 2021년 1월 스푸트니크 V를 출시, 전세계에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러시아에서 실시한 스푸트니크 V 백신 3상 임상의 1차 중간 분석에 따르면, 20건의 코로나 19 확진 사례 중 백신 접종을 받은 군과 위약을 투여 받은 군을 비교한 결과,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해 92%의 효과를 보였다. 러시아에서 현재 4만명의 지원자가 이중 눈가림, 무작위 분류, 플라시보 대조 시험으로 이루어진 3상 임상에 참여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2만명 이상이 스푸트니크 V 1차 접종을 마쳤고 1만 6천명 이상이 2차 접종까지 마쳤다. 전세계 50개 이상의 국가에서 약 12억 회분 이상의 스푸트니크 V 백신 공급 요청이 있었으며, 해당 백신은 한국, 인도, 브라질, 중국 등에서 RDIF 글로벌 파트너들이 생산할 예정이다. RDIF는 이들 파트
동아쏘시오홀딩스(대표이사 사장 한종현)는 최근 동아쏘시오그룹 2019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가마솥(GAMASOT)’이 ‘2020 LACP 스포트라이트 어워드(Spotlight Awards)’에서 대상을 수상했다고 16일 밝혔다. 동아쏘시오그룹 2019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가마솥(GAMASOT)’은 동아쏘시오그룹의 재무∙비재무적 성과와 사회적책임 이행을 위한 노력들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이해관계자들과 소통하기 위해 지난 7월 처음 발행됐다.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가마솥(GAMASOT)’은 국제 가이드라인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Standards’에 따라 작성됐으며, 조직문화, 사회, 환경분야 등의 내용이 담겼다. '스포트라이트 어워드(Spotlight Awards)'는 세계적인 홍보, 마케팅 조사기관인 LACP(League of American Communica-tion Professionals, 미국 커뮤니케이션 연맹)가 주관하는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제작물 경연대회다. 애뉴얼리포트, 브로슈어, 영상, 뉴스레터 등 기업에서 발행하는 각종 간행물을 대상으로 11개 분야에서 최고의 작품을 선정한다. 올해에는 500여 개의 출품작이
지놈앤컴퍼니의 면역항암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GEN-001)가 기업주도 1/1b상 임상시험(NCT04601402)에 대해서 미국 FDA에 이어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처(MFDS)로부터 임상시험계획(IND)를 승인받았다. 이로써 지놈앤컴퍼니는 국내에서 연구자주도 임상시험(GEN001 단독 요법)과 기업주도 임상시험(GEN001 병용요법)을 모두 승인받아, GEN-001 개발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이번 임상시험 승인으로 미국 임상시험사이트 외 국내 임상시험사이트가 추가되며 빠른 환자 모집을 통한 임상시험기간 단축과 국내 말기암 환자에게 임상시험 참여를 통한 치료의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올해 코로나19 여파로 글로벌 임상시험이 지연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지놈앤컴퍼니와 파트너사의 빠른 위기대응역량을 통해 예정된 임상시험 일정을 성공적으로 소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GEN-001’은 마이크로바이옴(Lactococcus lactis, 이하 L. lactis)의 단일 균주(single strain)를 주성분으로 하는 면역항암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로써, 면역항암제인 PD-L1 억제제와 병용투여를 통한 전임상 단계의 안전성 및 유효성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1
사노피-아벤티스 코리아(대표 배경은)는 심방세동 치료제 ‘멀택®정(성분명: 드로네다론염산염)’의 국내 허가 10주년을 기념해 11월 9일부터 13일까지 국내 심장질환 전문가를 초청해 온라인 심포지엄 ‘Online AFib Forum’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심방세동 환자에서 심방세동으로 인한 입원 위험성 감소 효과가 확인된 유일한 부정맥 치료제 인 멀택®정을 보유하고 있는 사노피가 전문가의 처방 경험과 지견을 토대로 심방세동 환자의 증상 및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진단과 치료, 관리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세션은 ▲심방세동의 검진 및 진단 평가(고대안암병원 심재민 교수) ▲심방세동 환자의 율동 조절을 위한 약물치료 적응증과 전략(세브란스병원 박희남 교수) ▲멀택®정의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RCT)과 실사용 증거(Real-world evidence) 및 10년 처방 경험(서울대병원 최의근 교수) ▲심방세동 환자에서 뇌졸중의 예방과 관리(중앙대병원 신승용 교수) ▲부정맥 분야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유망한 미래(원광대병원 고점석 교수)에 대한 강연으로 구성됐다. 이번 온라인 심포지엄 ‘Online AFib Forum’의 모든 세션 강연은 오는 1
베르티스(대표 한승만)는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에 선정됐다고 14일 밝혔다.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은 금융위원회가 정부 5개 부처(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해양수산부)와 함께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성장 가능성이 높은 혁신기업 1000개를 선정,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시키기 위해 여러 지원을 하는 사업이다. 베르티스는 보건복지부의 자체 심사를 통과해 성장 가능성이 높은 건강∙진단 기업으로 선정됐다. 이를 통해 향후 대출∙보증∙투자 등 적극적인 금융 지원과 경영, 재무관리, 컨설팅 등 비금융 지원을 받게 됐다. 베르티스는 프로테오믹스와 인공지능(AI)을 결합해 암 및 각종 주요 질병에 대한 조기 진단 마커를 개발하고 이를 진단 서비스로 제공하는 기업으로, 유방암을 92%(특허 기준)의 정확도로 조기 진단할 수 있는 혈액 검사법 ‘마스토체크(MASTOCHECK)’가 대표 서비스다. 마스토체크는 혈액으로 간편하게 진단할 수 있다는 장점뿐만 아니라, 대표 유방암 검진법인 X선 촬영에서 낮은 정확도를 보이는 치밀 유방의 경우에도 정확도가 유지돼 유방암 진단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단일 바이오마커를 이용한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권덕철, 이하 진흥원)과 한국토지주택공사(사장 변창흠, 이하 LH)는 11월 13일(금) LH공사 경기지역본부(성남시 분당)에서 ‘글로벌 선도형 스마트-헬스시티 해외진출 모델 공동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은 최근 코로나19 확산으로 안정적인 주거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시공간 제약을 벗어나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는 스마트헬스케어에 대한 수요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양 기관은 한국형 스마트시티와 보건의료 솔루션이 결합된 모델의 해외수출을 촉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와 관련, 양 기관은 지난 9월 쿠웨이트 보건부에 한국형 심혈관 전문병원을 ‘쿠웨이트 사우드 사드 알 압둘라 신도시 개발(이하 SSAC)사업’에 건립하는 모델을 우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경제발전경험공유사업(이하 KSP, Knowledge Sharing Program)을 통해 개발할 것을 제안하는 등 긴밀한 협업을 통해 '글로벌 선도형 스마트-헬스시티 모델 개발'을 추진 중에 있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스마트시티 보건·의료 분야 사업발굴, 계획, 개발 및 유지관리 △국내 기업의 해외진출 지원 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