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이 2020년 3분기 경영실적(별도기준)을 발표했다. 매출액은 2489억원, 영업이익은 7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대비 매출액은 2.7% 성장했으며 영업이익은 151% 증가했다. 항궤양제 알비스 재고자산 폐기와 ITC 소송 등 비경상적 비용에도 불구하고 양호한 실적을 지켜냈다. 전문의약품(ETC) 부문에서는 알비스 잠정판매중단에도 불구하고 역대 최고 분기매출을 경신했고, 보툴리눔톡신 ‘나보타’가 국내 매출에서 지속성장했을 뿐만 아니라 새로 진출한 국가들에서도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일반의약품(OTC) 부문 역시 견고한 성장세를 보였다. ETC 부문은 전년 동기 1749억원에서 8% 성장한 1889억의 매출을 기록했다. 특히 크레젯이 전년 동기대비 66.4% 성장했고 기존 주력 제품인 우루사·올메텍·가스모틴·루피어데포 등도 매출 성장에 기여했다. 포시가·릭시아나·넥시움 등 주요 도입품목의 판매량도 증가했다. 나보타 매출의 경우 전년 동기 82억원에서 37.2% 성장한 113 억원을 달성했다. 전년 동기 대비 국내와 동남아 매출이 성장했고 캐나다·브라질 등 신규 발매 국가들에서도 매출이 발생해 큰 성장을 견인했다. OTC 부문 역시 전년
한독의 3분기 실적이 잠정공시됐다.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모든 부문에서 실적이 상승했다. 3분기 실적 중 매출액은 1311억으로지난 2분기 1210억보다 8.41% 성장했다. 영업이익은 지난 2분기 80억에서 30.7% 성장한105억이었으며, 당기순이익은 2분기 61억에서 23.98% 성장해75억을 달성했다. 한편 작년 3분기 실적은 매출액 1173억, 영업이익 80억, 당기순이익41억이었다. 이를 올해 3분기와비교하면 작년에 비해 각각 11.76%, 31.02%, 81.62%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올바이오파마 3분기 실적이 잠정 공시됐다.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모두 하락세를 보였다. 올해 3분기 실적은 매출액 221억, 영업이익 9억, 당기순이익 36억이었다. 지난 2분기 매출 226억에서 2.2%, 영업이익 16억에서 40.8%, 당기순이익 59억에서 38.3% 감소했다. 작년 동일 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액이 279억에서 21%, 영업이익이 45억에서 78.6%, 당기순이익이 54억에서 33% 하락했다. 제품 대부분이 항생제나 수액 등인 만큼, 코로나19로 위생을 철저히 유지함에 따라 환자가 감소하면서 한올바이오파마의 실적 또한 줄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재)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단(사업단장 김법민, 이하 사업단)이 한국의료기기안전정보원(원장 조양하, 이하 정보원)과 의료기기 산업 육성·지원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11월 4일(수) 사업단 대회의실에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은 양 기관의 상호 교류를 활발히 함으로써 국산 의료기기의 경쟁력 확보를 통한 의료기기 산업의 혁신 성장과 의료기기 분야에 특화된 인재 양성 등 인적·제도적 기반 강화를 목적으로 추진됐다. 이에 사업단과 정보원은 의료기기 분야의 정책, 기술심사, 인증, 교육 등 전반을 협력하며 전주기 R&D 과제의 성공적인 수행과 관리를 지원해 나갈 수 있게 됐다. 업무협약 주요 내용은 ▲의료기기 맞춤형 지원을 통한 의료기기 산업 육성 ▲국내외 규제 및 정책·동향 등 정보제공 협력 ▲의료기기 전문 인재 양성 등 교육에 관한 협력 ▲해외시장 진출 방안 협력 등이다. 양 기관은 전주기 의료기기 R&D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부분에 적극 협력해 대한민국 의료기기 산업의 도약과 발전에 공동 협력을 추진해나갈 예정이다. 사업단 김법민 단장은 “이번 업무협력을 통해 교육을 지원받아 과제 추진기관의
한미약품과 한미사이언스의 3분기 실적이 공시됐다. 2분기와 작년 3분기 대비 두 회사 모두 매출액은 상승했지만 영업이익과당기순이익은 하락했다. ◆한미약품, 3분기 매출 2669억 달성…2분기대비 9.7% 성장 한미약품의 3분기 실적은 매출액 2669억, 영업이익 -322억, 당기순이익 -312억으로 확인됐다. 지난 지난 2분기에 비하면 매출액은 2434억에서 9.7% 증가했고,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106억, 57억이었으나 3분기에적자로 전환했다. 한편 작년 3분기에는 매출이 2657억으로올해 0.5% 가량 실적이 상승했다. 그러나 영업이익 249억, 당기순이익 88억의실적도 올해 3분기에는 적자로 전환돼 아쉬움을 남겼다. ◆한미사이언스, 3분기 매출 2158억…작년 대비 5.7% 성장 한미사이언스의 3분기 실적도 한미약품과 비슷했다. 한미사이언스의 3분기 실적은 매출액 2158억, 영업이익은 -35억, 당기순이익은-74억으로 나타났다. 지난 2분기 실적은 매출액 2084억으로 올해 3.5% 증가했으며,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94억과 79억이었으나 적자로 전환됐다. 작년 3분기의 실적에 비하면 매출액 2041억에서 5.7% 증가했으며, 영업이
GC녹십자의 3분기 매출이 4천200억원에 육박하면서 분기 실적으로 역대 최대치를 달성했다. 주력인 백신 부분이 선전한 덕이다. 영업이익도 6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하면서 코로나19의 위기 상황을 기회로 만들었다. GC녹십자는 연결재무제표 기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507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37.1%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일 공시했다. GC녹십자의 분기 영업이익이 500억원을 넘는 것은 2014년 3분기(516억원) 이후 24분기 만에 처음이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4천196억원 전년 동기 대비 14.5% 증가했다. 이는 종전 분기 최고치인 2019년 3분기의 3천665억원을 뛰어넘는 역대 최대 실적이다. 올해 3분기까지 누적 기준으로도 봐도 매출액 1조 874억원, 영업이익 725억원, 세전이익 959억원을 기록하는 등 모든 수익 지표가 순성장했다. 3분기 호실적은 코로나19 영향에도 불구하고 전 부문에서 고르게 양호한 실적을 낸 덕이다. 부문별로 백신 사업의 매출은 1천270억원, 혈액제제 1천34억원, 일반제제는 737억원, 소비자헬스케어는 391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북반구 지역 수요 증가로 인해 백신 부문의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영진약품의 3분기 실적에 빨간불이 켜졌다. 영진약품의 3분기 실적이 4일 공시됐다. 지난 2분기와 작년 3분기에 비해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이 모두 하락했다. 영진약품의 2분기 실적은 매출액 508억, 영업이익 13억, 당기순이익 7억이었다. 그러나 3분기에 매출액이 499억에 그치면서 1.7% 실적이 줄어들었고,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541억, -296억으로 적자전환했다. 한편 작년 3분기 실적은 매출 551억, 영업이익 36억, 당기순이익은 28억으로, 올해 3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액은 9.3% 하락했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도 36억, 28억이었으나 올해 3분기에 마이너스로 실적으로 하락하면서 적자로 전환했다.
한국화이자제약(대표이사 사장 오동욱)은 지난 10월 21일~23일에 대한류마티스학회가 주최한 'KCR 2020(제40차 대한류마티스학회 춘계학술대회 및 제14차 국제심포지엄)'에서 ‘소아 류마티스질환의 치료에서 엔브렐이 지니는 가치’를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둘째날 진행된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소아 특발성 관절염의 치료에서 TNF-α 억제제의 역할과 소아 류마티스 질환의 양상 및 엔브렐이 지니는 의료적 혜택에 대한 지견이 공유됐다. 심포지엄 연자로 나선 얼 실버맨(Earl Silverman, 토론토대학교 식키즈병원) 소아과∙류마티스과 명예 교수는 해당 질환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엔브렐이 축적해온 다양한 임상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엔브렐의 임상적 혜택 및 가치를 강조했다. 소아 특발성 관절염(Juvenile Idiopathic Arthritis, JIA)은 소아에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류마티스 질환으로 16세 미만에서 발병하며, 유병률은 1만명당 1명으로 추정된다. 2019년 업데이트된 미국류미티스학회 소아 특발성 관절염 치료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소아 특발성 관절염의 치료제로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NSAIDs), 항류마티스제제(DMARDs), 스테이로이
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이 지난 30일 당뇨병 치료 신약으로 개발 중인 ‘이나보글리플로진’과 메트포르민(Metformin), DPP-4 억제제의 3제 병용 요법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3상 임상시험을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이나보글리플로진’은 대웅제약이 국내 기업 중 최초로 개발 중인 SGLT-2 당뇨병 치료 신약이다. 이번 3상 임상시험에서는 메트포르민과 DPP-4 억제제를 병용 투여해도 혈당 조절이 충분히 되지 않는 제 2형 당뇨병 환자 250명을 대상으로 메트포르민, DPP-4 억제제와 함께 이나보글리플로진를 병용 투여하였을 때 기존 약물 대비 혈당강하효과 및 안전성을 확인한다. 임상시험은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을 포함한 전국 20여개 대형병원에서 진행된다. 대웅제약이 ‘이나보글리플로진’의 단독 요법, 메트포르민과의 병용 요법에 이어 3제 요법까지 세 번째 임상시험을 승인받으면서, ‘이나보글리플로진’은 기존 당뇨병 치료제와 병용투여에도 혈당이 조절되지 않는 환자들에게 치료제로 사용될 예정이다. 글로벌 주요 국가 당뇨병 치료제 시장규모는 2019년 17조원에서 2024년 약 20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고, 한국 당뇨병 치료제 시장에서 3제
지난 3일 GC녹십자웰빙 3분기실적이 잠정고시됐다. 지난 분기 대비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상승곡선을 그렸다. 이번 3분기 매출액은 219억, 영업이익은 14억, 당기순이익은12억이다. 지난 2분기 실적이 173억, 11억, 15억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매출액은 26.3%, 영업이익은 30.2% 상승했지만, 당기순이익은 20.2% 하락한 셈이다. 작년 3분기의 매출과 비교하면 160억에서219억으로 36.4% 상승했다. 그러나 영업이익은 21억에서 14억, 당기순이이익은 13억에서 12억으로각각 34%, 12.4% 줄어들었다.
전자공시시스템에 환인제약의 3분기 실적이 공시됐다. 환인제약은 코로나19 등 어려운 상황 속에서 지난 분기와 작년 동기 대비 3분기에 높은 성장률을 이끌어내는데 성공했다. 환인제약의 3분기 실적은 매출액 433억, 영업이익 83억, 당기순이익 74억이다. 저번 2분기에 비하면 매출액은 421억에서 2.9%, 영업이익 56억에서 48.8%, 당기순이익 47억에서 56.6%나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3분기와 비교해보아도 성장률이 두드러진다. 매출액은 407억에서 6.3%, 영업이익은 63억에서 30.8%, 당기순이익은 51억에서 43.1% 증가한 모습을 보였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는 국내 개발 코로나19 치료제 ‘뉴젠나파모스타트정(뉴젠테라퓨틱스)’에 대해 1상 임상시험을 11월 3일 승인했다. 이로써 현재 국내에서 코로나19 관련해 임상시험이 진행 중인 치료제 및 백신은 총 21건(치료제 19건, 백신 2건)이다. ‘뉴젠나파모스타트정’은 현재 항응고제로 사용되는 성분(나파모스타트메실산염)으로, 주사제 대비 복용 편의성 개선을 위해 정제로 투여경로를 변경해 개발했다. 이번 임상시험은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내약성과 안전성 등을 평가하기 위한 1상 임상시험이다. 치료원리는 바이러스의 세포 진입을 억제해 항바이러스 효능을 나타내는 방식이다. 현재 국내에서 같은 성분의 주사제가 임상시험을 승인받아 진행되고 있으며, 해외에서도 미국 E社(정제)가 건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세네갈 P연구소(주사제)가 코로나19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식약처는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은 만큼 앞으로도 개발 제품의 임상시험 현황에 대해서 신속하게 정보를 전달하겠다”며, “안전하고 효과 있는 코로나19 치료제·백신이 신속히 개발될 수 있도록 필요한 사항을 지원하고 우리 국민의 치료 기회를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산하 K-BD Group(제약∙바이오 사업개발연구회)가 본격적인 활동을 위해 시동을 걸었다.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이 K-BD Group 현판식을 3일 가졌다. 이로써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산하 연구회 4곳(한국원료의약품연구회, 한국의약분석연구회, 한국천연물개발 연구회 포함)이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입구를 빛내게 됐다. 이날 현판식에는 여재천 전무이사와 이재현 연구회장, 정윤택 정책자문위원, 조헌제 상무이사가 참석했다. K-BD group은 제약∙바이오헬스분야 혁신생산성 제고와 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 역량 강화를 위해 글로벌 수준의 사업 개발 인재 양성, 업개발 분야 정보 교류와 유망 사업기회 발굴, 유망스타트업 발굴 및 육성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고자 2017년 12월 설립됐다. K-DB group은 설립 이후 국내외 산∙학∙연∙벤처∙스타트업 연계 협력사업을 추진하는가 하면, 제약∙바이오기업 오픈이노베이션 포럼을 개최하거나 국내외 BD 전문가 그룹 커뮤니케이션 및 정보공유 플랫폼, 기술이전, 사업화 정보 플랫폼을 구축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이날 현판식을 기념하며 개최된 신약개발 비전 간담회에서는 여재천 전무이사가 “신약 개발 집중을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가 11월 3일 코로나19-인플루엔자 동시진단 시약 1개 제품을 정식 허가했다. 이번에 허가받은 동시진단 시약은 코젠바이오텍의 ‘PowerChek™ SARS-CoV-2, Influenza A&B Multiplex Real-time PCR Kit’로, 기침이나 인후통 및 발열 등 증상이 비슷해 구분이 쉽지 않은 코로나19와 인플루엔자를 동시에 진단할 수 있는 제품이다. 이 제품으로 의심 환자의 검체를 검사하는 경우 한 번의 검사로 3~6시간 이내에 진단결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어, 검사시간을 단축시키고 빠른 시간 내에 적절하게 처치할 수 있게 되는 등 환자의 편의성을 제고하고 의료인의 부담을 덜 수 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이로써 식약처는 코로나 19 유전자 진단시약 5개를 허가했다. 11월 3일 기준으로 정식허가를 신청한 진단시약은 유전자 진단시약 14개, 항원 진단시약 5개, 항체 진단시약 11개로 총 30개 제품이 심사 중이다. 한편, 코로나19 진단시약 수출 현황은 11월 3일까지 197개 제품(유전자 100, 항원 27, 항체 70)이 수출용 제품으로 허가돼 인도, 미국, 브라질, 이탈리아, 인도네시아, 네덜란드
한국MSD (대표: 케빈 피터스)가 2020년 11월 1일자로 항암제사업부 총괄 부서장에 김성필 전무(43)를 선임했다고 밝혔다. 김성필 신임 전무는 2018년 12월 한국MSD 항암제사업부 ‘커머셜 오퍼레이션 리드(Commercial Operations Lead)’로 합류해 MSD 항암제사업부 영업 활동을 성공적으로 리드했다. 특히, 항암제사업부 영업 조직 혁신 및 역량 강화를 주도했으며, 이를 통해 두 자릿수의 성장을 이끌어낸 바 있다. 또한 회사의 항암제 포트폴리오가 필요한 환자들에게 쓰일 수 있도록 바이오마커 전략 실행에도 크게 기여했다. 한국MSD 입사 전에는 한국엘랑코동물약품에서 대표이사로 재직했으며, 그 전에는 한국릴리에서 항암제사업부 영업부, 심혈관계사업부와 당뇨병사업부 영업마케팅을 총괄하는 등 다양한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바 있다. 김성필 전무는 고려대 경영학과를 졸업, 미국 노스웨스턴대학 켈로그 경영대학원에서 MBA를 취득했다. 김성필 전무는 “MSD의 항암제사업부는 남다른 열정과 비전을 가진 직원들이 모여 MSD가 빠른 시간 안에 항암제 분야에서 리딩기업으로 성장하는 기틀을 마련했다”며, “뛰어난 조직역량을 바탕으로, 앞으로도 한국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