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의사 및 제약업계 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2024년 임상시험용의약품 치료목적사용 제도 상담 및 안내 설명회’를 10월 29일 프레지던트 호텔(서울시 중구)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설명회의 주요 내용은 ▲치료목적사용 제도 절차 설명 및 실제 적용 사례 소개 ▲국내 미허가 의약품에 대한 치료 접근성 ▲치료목적사용 관련 글로벌 규제 동향 등이며, 참가를 원하는 분은 누구나 포스터 정보무늬(큐알코드)를 이용해 사전등록할 수 있다. 참고로 한국희귀·난치성질환연합회에서 임상시험용의약품 치료목적사용 관련 상담 및 안내를 진행하고 있으므로, 치료목적사용과 관련해서 궁금한 점이 있는 경우 상담처(02-714-5522), 홈페이지(www.kord.or.kr)에서 상담을 신청할 수 있다. 식약처는 이번 설명회가 임상시험용의약품 치료목적사용 제도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환자 치료기회 확대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현장에서 소통하며 국민 안전과 건강을 확보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지난 8일 2024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서영석 의원(경기 부천시갑)의 ‘남녀 청소년 HPV 백신 무료접종 시행’이 내년에도 어려운 것 아니냐는 질의에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이 어렵다는 답을 전했다고 15일 의원실은 밝혔다. 서영석 의원이 질병관리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5 년 질병관리청 전체 예산은 2024년 1조 6303억원에서 2025년 1조 2698억원으로 올해보다 22.1% 감액됐다. 그 중 국가예방접종 (NIP) 사업 예산은 2024년 8010억 2200만원에서 2025년 6018억 3100 만원으로 24.9% 감소했다. 한편, 서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2020년~2024년 8월 자궁경부암, 두경부암, 구인두암, 환자 수 현황을 분석한 결과 ,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여성에게 발병하는 자궁경부암의 경우 2020 년 61,892에서 2023 년 70,109명으로 매년 증가해왔다. 올해 8 월까지 자궁경부암 환자수는 60,186 명을 기록하며 산술적으로 90,279명의 환자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여성보다 남성에게서 더 높은 발병률을 보이는 두경부암과 구인두암도 2020 년 397
압타머사이언스(대표이사 한동일)는 코오롱제약과 췌장암 신약 후보물질 ‘AST-203’의 공동연구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AST-203을 췌장암 치료제로 개발하기 위한 연구개발 협력을 수행하고, 글로벌 기술이전(License-out)을 위한 비즈니스 협력까지 나아갈 예정이다. 코오롱제약은 신약개발과 임상시험·상용화 부문에서 많은 경험을 보유한 만큼, 글로벌 스탠다드에 부합하는 AST-203의 비임상·임상 전략을 수립해 가치를 극대화할 계획이다. 특히 코오롱제약 신약개발연구소의 ‘동소이식모델(orthotropic model, 임상 상황과 동일한 기관에 암세포를 주입하는 전임상 기법)’과 췌장암 동물시험에 대한 축적된 노하우가 빛을 발할 것으로 기대된다. 압타머사이언스는 차세대 약물전달 기술로 꼽히는 ApDC®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 생성 및 시료 생산을 담당하게 된다. 양사는 비임상 데이터를 확보한 다음 글로벌 임상시험 계획 수립 및 IND 신청 및 기술수출을 포함한 사업개발도 공동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압타머사이언스의 한동일 대표는 “신약 개발 경험이 풍부한 코오롱제약과의 MOU
환자의 통증을 완화하고 관절 기능을 유지하는 데 중점을 두는골관절염 치료에 있어서비약물치료부터 수술까지, 각 환자의 상태에 맞는 맞춤형 치료가 중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대한노인병학회가 10월 12일부터 13일까지 서울의대 융합관에서 개최한 제74차 추계학술대회에서 동탄성심병원 류마티스내과 손경민 교수가 노인 골관절염의 진단과 약물 치료에 대해 발표했다. 손경민 교수는 골관절염이 관절 연골의 손상으로 인해 통증과 운동 장애를 유발하는 만성 질환이라고 설명하며, 주로 40세 이후, 특히 노인들에게서 많이 발생한다고 밝혔다. 시간이 지나면서 증상이 악화될 수 있으며, 다양한 신체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어 일상생활에 불편을 초래하고, 삶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골관절염의 주요 증상으로 통증, 관절의 뻣뻣함, 아침에 관절이 잘 움직이지 않는 현상, 무릎을 구부리거나 펼 때 나는 바스락거리는 소리, 관절 운동 범위 감소, 그리고 관절의 변형을 언급하며, 이러한 증상이 손, 척추, 고관절, 엄지발가락 등 다양한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 따라서 각 환자의 상황에 맞춘 맞춤형 치료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특히 손관절염은 여성에게 흔하게 발
2024년 3분기 주요의약품들이 상승곡선을 그리는 모습이다. 이번 분기 원외처방 상위 50위를기록한 제품들 중 35개 제품의 원외처방액이 증가했다. 적응증별로 보면, 많은 이상지질혈증 치료제들과 감기약 등이 각 제약사들의효자품목으로 활약한 가운데, 당뇨약 부문 등에서보다 아쉬운 모습을 보였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상위 50개의 원외처방액은 3조9740억원 규모로, 2023년 3분기 2조 8855억원대비 7.3% 상승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혜성처럼 등장한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이 한동안 3위에 머물렀으나 이번 3분기에2위로 치고 올라왔다는 점이 눈여겨볼만하다. 1위 제품은 올해 새롭게 순위교체를 이뤄낸 한미약품의 이상지질혈증치료제 ‘로수젯’으로 2023년3분기 1308억원에서 2024년1535억원으로 17.3% 확대됐다. 특히 최근 여러 학술대회에서 로수젯의 긍정적인 임상적혜택이 주목되면서 향후,더 큰 성장이 기대되는 제품이기도 하다. 2위로 올라오게 된 HK이노엔의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케이캡’은 2023년 3분기에는 1141억원대였다. 그러나 2024년 3분기1421억원으로 24.6% 성장하며 제품 영
삼성바이오로직스(대표이사 존 림)가 고농도 제형 개발 플랫폼인 ‘에스-하이콘(S-HiConTM)’을 론칭했다고 14일(월) 밝혔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10월 9일(수)부터 11일(금)까지 일본 요코하마에서 열린 바이오 재팬(BIO JAPAN 2024)에서 에스-하이콘을 공식적으로 처음 공개했다. 이 행사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고객사 및 관람객들을 대상으로, 브로슈어 및 배너 등의 홍보물을 통해 에스-하이콘을 알렸다. 14일(월)에는 이 플랫폼에 대해 설명하는 웨비나 영상을 삼성바이오로직스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하며 출시 소식을 알렸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최근 증가하는 고농도 의약품 시장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에스-하이콘을 출시했다. 고농도 제형 의약품은 저농도 제형 의약품 대비 동일한 약효를 내는 데에 필요한 약물 투여 부피가 적어 피하주사제 및 안구투여 주사제 개발 시 활용된다. 보관 및 운반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도 있어 최근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고농도 제형을 개발하는 과정에서는 점도가 증가하고 수소이온 농도가 변하는 문제가 발생하지만,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점도 및 수소이온 농도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올바른 부형제 선택을 통해
GC녹십자웰빙(대표 김상현)은 지난 12일 노보텔 앰배서더 용산에서 ‘NICE(Nutrition Therapy Insight and Care Enhancement) 심포지엄’을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2명의 전문가가 의료진을 대상으로 영양 치료 임상 경험에 대해 발표하는 시간으로 200여명의 의료진이 참여해 최신 지견을 공유했다. 세부 발표로는 ▲골다공증, 심혈관 질환 위험 환자군에게 꼭 필요한 영양치료 - 비타민D&K2 중심 (GC녹십자아이메드 강북의원 최범희 원장), ▲일차 진료에서 허가사항에 맞는 IVNT 처방하기(더맑은클리닉 박춘묵 원장)를 주제로 최신 트렌드가 반영된 영양 치료 사례를 공유했다. 이날 행사에서 GC녹십자웰빙 IP본부 김재왕 본부장은 “이번 심포지엄은 GC녹십자웰빙의 신제품을 비롯하여 다양한 제품들을 적용한 치료법을 공유하고, 영양 치료의 최신 지견을 의료진에게 알릴 수 있는 유익한 시간이었다”며 “앞으로도 영양 치료와 관련된 제품 라인업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전문성을 확보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GC녹십자웰빙은 라이넥주(자하거가수분해물)를 중심으로 한 영양 주사제와 병·의원 내 건강기능식품 매장 전
동화약품(대표이사 유준하)이 치약형 잇몸치료제 잇치의 신규 TV-CF를 런칭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신규 TV-CF는 ‘잇치, My Life’라는 주제로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에서 사람들이 잇치로 즐겁게 양치하는 모습을 통해 ‘잇치는 나의 생활(My life) 속 잇몸치료제’라는 메시지를 각인시키고자 했다. 배경음악으로는 미국 록 밴드 본조비의 대표곡인 ‘It’s My Life’를 사용했다. 곡의 중독성 강한 후렴 가사와 발음이 유사한 ‘잇치, My Life’를 자연스럽게 연결해 뮤직비디오의 한 장면처럼 묘사했다. 동화약품 관계자는 “이번 TV-CF에는 닦으면서 치료하는 잇몸치료제 잇치로 영원하지 않은 잇몸 건강을 손쉽고 효과적으로 관리하자는 의미를 담았다”며 “잇치가 잇몸치료제 시장의 리딩 브랜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잇치는 구강 내 유해균을 선택적으로 억제해 구강 내 미생물 관리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제품으로 2011년 출시 이후 성장을 거듭해 2023년 매출 333억원을 달성했다. 잇치는 현재 치약형 잇몸치료제 시장 내 95% 점유율을 기록 중이며, 연간 판매량 300만 개를 돌파해 잇몸약 판매금액 및판매수량에서 1
노을 주식회사(대표 임찬양, 이하 ‘노을’)는 인도네시아 의료기기 유통업체와 인도네시아 내 종합병원 및 검진센터 등에 노을의 AI 기반 혈액 분석 솔루션(이하 miLab™ BCM)을 향후 3년간 독점으로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노을 임찬양 대표는 “노을의 miLab™ BCM은 전세계적으로 약 6.8억건 이상 시행되는 말초혈액도말검사(PBS)를 대체할 수 있는 혁신 제품으로, 대형 및 중소형 진단검사실을 모두 커버하는 First-in-Class 제품이다. 현재 아시아뿐만 아니라 선진국에서도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FDA 승인 획득을 위한 절차를 진행 중”이라며, “향후 백혈병을 비롯한 각종 혈액암 진단 영역으로 연구 개발 및 제품 포트폴리오 확장에 힘쓸 것”이라며 계획을 밝혔다. 노을의 miLab™ BCM은 형태학적으로 비정상적인 혈액 세포를 구별해 각 세포의 디지털 이미지를 제공한다. 혈액 검사의 전 과정이 자동화돼 있어 진단검사실의 규모에 상관없이 정확도 높은 검사 결과를 일관되게 제공하며, 장비의 크기가 작아 설치와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디지털 병리 환경 구축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숙련된 인력이 많이 필요한
에피바이오텍(대표 성종혁)은 9~11일 일본 요코하마에서 열린 2024 바이오 재팬(BIO JAPAN)에 참가해 탈모 신약 파이프라인을 소개하고 협력 논의를 위한 파트너링 미팅을 진행했다고 14일 밝혔다. 바이오 재팬은 제약·바이오 분야의 아시아 최대 규모 전시·세미나 행사로, 제약사를 비롯한 해외 관련 기업들의 비즈니스 파트너링 및 오픈 이노베이션 활동 등을 지원하고 있다. 에피바이오텍은 이번 행사에서 CXCL12 항체 파이프라인에 관심을 가지는 해외 유수의 업체들과 미팅을 진행했다. 전세계 탈모 치료제 시장 확대, 기존 경구용 약물 특허기간 만료 등에 따라 글로벌 제약사의 신약 후보물질을 도입하려는 수요가 활발한 가운데 에피바이오텍은 호르몬 억제가 아닌 혁신 기전으로 안드로겐성 탈모, 원형탈모 등을 치료하는 다양한 모달리티의 탈모 신약 후보물질들을 보유하고 있고, EPI-005 항체 치료제의 경우 안드로겐성 탈모를 치료할 수 있다는 혁신성에서 주목을 받았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에피바이오텍 성종혁 대표는 “이번 행사 미팅에서 다양한 모달리티의 탈모 신약 개발 역량을 어필하여 기업 가치를 제고할 수 있었다. 글로벌 제약사와 파트너쉽을 강화하고 기술 이전,
유한양행(대표이사 조욱제)이 독서의 계절을 맞아 임직원을 대상으로 ‘도서 기증 캠페인’을 진행해 모은 도서를 동작구 가족센터에 지난 11일 기부했다. 유한양행은 동작구 가족센터가 신축 이전하면서 1층에 서가를 조성한다는 소식을 듣고, 9월 한달간 임직원을 대상으로 ‘도서 기증 캠페인’을 진행하여 총 608권의 도서를 모아 가족센터에 전달했다. 유한양행 직원들은 지역 주민들이 읽으면 좋을 자기계발서, 동화, 소설, 아동 전집 등 다양한 책을 기증했다. 기증된 도서들은 동작구 가족센터 서가를 통해 주민들이 이용하게 될 계획이다. 동작구 가족센터는 동작구에 거주하는 다문화·한부모·맞벌이·재혼 가족 등을 위해 교육, 상담, 아이 돌봄 등을 지원해 가족 내 발생하는 문제 예방 및 해결에 도움을 주는 곳이다. 유한양행도 동작구 가족센터의 아이들을 위해 자체 봉사단을 꾸려 동화책 낭독 및 음원 도서 제작 등의 활동도 진행하고 있다. 유한양행 관계자는 “앞으로도 다문화 가정과 지역주민이 함께하는 사회, 다양한 문화가 어우러져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많은 활동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주요 제약사들의 2024년 3분기 원외처방액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하며 순항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4년 3분기 상위 50위를 기록한 제약사들의 원외처방 누계는 10조 3201억원으로, 2023년 3분기 9조 7991억원 대비 5.3% 증가했다. 또 전년도 원외처방 누계인 13조 2548억원에 비해서도 77.9%를 달성하며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는 모습이다. 이번 3분기 원외처방액이 확인된 271개사 전체를 기준으로 보아도, 2023년 3분기 14조 3012억원에서 2024년 3분기 15조 309억원으로 5.1% 확대됐다. 작년 대비 달성률 또한 19조 3096억원의 77.8%로 준수한 편이었다. 2024년 3분기 가장 실적이 우수했던 한미약품은 2023년 3분기 6793억원에서 2024년 3분기 7304억원으로 원외처방액이 7.5% 증가했다. 전년 연간 대비 실적을 비교하더라도 9294억원의 78.6%를 달성하며 원외처방 시장을 이끌고 있다. 또 종근당의 원외처방액은 2023년 3분기 5246억원에서 2024년 3분기 5408억원으로 3.1% 확대됐다. 해당 원외처방은 2023년 연간 실적인 713
에스티젠바이오(대표이사 사장 최경은)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DMB-3115 BLA(Biologics License Application) 허가 및 판매 승인을 받아 송도바이오공장 DS(Drug Substance, 원료의약품)와 PFS(Prefilled Syringe, 무균주사제) 제조시설에 대해 cGMP승인을 받았다고 14일 밝혔다. 지난 9월 유럽 EMA 허가까지 획득하면서 에스티젠바이오는 미국과 유럽에 DMB-3115에 대한 상업화 물량 생산이 가능하게 됐다. 올해 6월 미국 FDA, 7월 유럽 EMA 두 글로벌 규제기관으로부터 cGMP PAI/PLI 실사 수검을 진행한 에스티젠바이오는 지속적인 투자와 글로벌 규제기관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cGMP 내재화 및 고도화를 통해 첫 번째 미국과 유럽 실사임에도 불구하고 FDA 및 EMA 승인을 한 번에 획득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를 통해 에스티젠바이오는 글로벌 수준의 차별화된 생산 및 품질 경쟁력을 갖추고 있음을 입증하게 됐다. 최경은 에스티젠바이오 사장은 “이번 EMA 및 FDA cGMP승인을 통해 글로벌 트랙레코드를 확보함에 따라 바이오의약품 3대 시장인 미국, 유럽, 일본 시장에 고품질의 바이오
다임바이오(대표이사 김정민)가 2024년도 제2차 국가신약개발사업(KDDF)에서 임상1상 지원 기업으로 선정됐다고 14일 밝혔다. 이에따라 다임바이오는 2세대 Parp-1 선택적 저해제(DM5167)의 임상 연구 개발비를 지원 받아 약물의 안전성과 내약성을 평가하고 최대 내약 용량(MTD) 등을 확인한다는 계획이다. ‘DM5167’은 PARP-1을 선택적으로 저해하는 2세대 PARP-1 (Poly ADP-ribose polymerase) 저해제다. 기존 1세대 PARP 저해제의 한계였던 혈액독성을 극복했고 특히 탁월한 뇌전이 투과성(Blood to brain)을 보유하고 있어 기존 치료법으로 접근이 어려웠던 BRCA 전이성 뇌종양(metastatic brain tumor) 환자에게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회사측은 기대하고 있다. 이번 정부지원 임상 1상은 2개의 파트로 나뉘어 진행된다. 파트 1에서는 BRCA 변이를 포함한 HRD 변이 환자를 주 대상으로 하여 약물의 안전성과 내약성을 평가하고, 파트 2에서는 HRD 변이 전이성 뇌종양 환자군이 추가돼 DM5167의 효과와 안전성에 대한 확장된 평가가 진행될 계획이다. 임상 연구는 서울대학교병원 본원, 분당 서
더블유닷에아이(대표 김재홍)는 오는 22일부터 25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제55회 한국전자전(KES 2024)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더블유닷에이아이는 한국전자전 서울 AI 허브 공동관에서 초음파 이미지 기반 인공 유방 보형물 진단 AI 솔루션 더블유 엑스퍼트(W Expert)를 선보일 예정이다. 더블유 엑스퍼트(W Expert)는 세계 최초 인공유방 보형물 진단 인공지능 프로그램이며 의사들이 초음파 이미지를 활용해 빠르고 정확하게 보형물 관련 부작용을 진단할 수 있게 보조한다. 기존에는 수술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던 악성림프종과 관련된 검진 역시, 프로그램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유방암 검진을 시행하는 영상의학과 및 유방외과와 가슴 확대 및 재건수술을 집도하는 성형외과 의사들에게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전망이다. 김재홍 더블유닷에아이이 대표는 “이번 한국전자전(KES 2024) 참가를 통해 더블유 엑스퍼트(W Expert) 제품을 전 세계에 선보이고, 글로벌 네트워킹을 통해 기술 정보를 교류하며 비즈니스 협력의 기회를 확대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한편, 제55회 한국전자전(KES 2024)은 ‘Hybrid AI, 지속가능한 세상을 그리다’라는 주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