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과] 뇌졸중 치료의 최신 지견
권순억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Sun U. Kwon, M.D.& Ph.D.
Dept. of Neurology,
Asan Medical Center,
Ulsa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E-mail: sukwon@amc.seoul.kr
뇌졸중의 정의와 유형
뇌졸중은 급작스런 신경학적 장애가 뇌혈관 질환에 기인할 경우를 일컫는 말로 출혈성 뇌졸중(뇌출혈)과 허혈성 뇌졸중(뇌경색과 일과성 뇌허혈발작)으로 크게 구분된다. 출혈성과 허혈성 뇌졸중은 임상증상만으로 구분이 어려우며 CT나 MRI와 같은 영상진단을 통해서 진단할 수 있다. 이런 뇌졸중의 치료 원칙은 급성기 치료와 재활 치료 및 이차예방으로 구성된다.
뇌졸중의 급성기에는 여러가지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뇌졸중의 진행이나 재발 가능성도 높다. 또한 급성기 뇌경색의 경우에는 혈전용해술을 통해서 막혔던 혈관을 재개통 시켜 줌으로써 뇌졸중의 증상을 개선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