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정형외과 장기모 교수 연구팀이 지난 10월 1일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진행된 ‘2022년 대한관절경학회 42차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에서 최우수구연상을 수상했다. 장기모 교수팀의 이번 연구는 연세의료원 산하 3개 병원의 정형외과 연구팀(김성환, 박상훈, 정민, 정광호 교수)등 총 4개의 기관이 함께 참여하고 있는 다기관 전향적 연구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장기모 교수팀은 이번 연구에서 ‘무릎 관절에 발생된 연골 손상 재생을 위해 개발중인 새로운 치료제(Particulated Costal Hyaline Cartilage Allograft with Microfracture)’의 효과와 안전성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여 이번 수상의 주인공이 됐다. 장기모 교수는 “이번 연구는 무릎연골 손상부위에 직접 주입돼 원천적이고 적극적인 재건을 목적으로 하는 치료제의 효과와 안전성을 확인하고자 한 것”이라고 설명하며 “노령인구의 증가 등으로 무릎연골 손상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효과적인 무릎연골 치료제가 개발되면 경제적인 부담과 건강보험 재정 부담을 낮출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장기모 교수는 대한정형외과학회, 대한슬관절학회, 대한
*일반직 고위공무원(국장급) 승진▲건강위해대응관 권병기 ▲국립보건연구원 연구기획조정부장 김국일
인하대병원 송숙녀 간호사가 연명의료 결정제도 발전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아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을 받았다. 복지부는 지난 7일 존엄하고 편안한 생애 말기를 위한 ‘제10회 호스피스의 날’ 기념식을 개최했다. 이 기념식에서 호스피스와 연명의료 분야에 헌신적으로 기여하고 있는 유공자 40인을 선정해 표창했으며, 송 간호사가 그 대상자가 됐다. 그는 2018년 2월부터 인하대병원의 연명의료 코디네이터로 근무하면서 제도 정착과 활성화, 올바른 법적 절차 이행에 기여했다. 또한 복지부 지정 인천권역 공용윤리위원회 담당자로서 중소병원을 대상으로 제도를 알리고, 간담회와 설명회 개최 등으로 관련 교육에 힘썼다. 송숙녀 간호사는 “연명의료 중단을 결정한 환자의 편안하고 아름다운 삶의 마무리를 위해 호스피스 완화의료 기관들이 확대됐으면 좋겠다”며 “의료진이 연명의료 결정제도의 의미를 올바로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돕고, 환자들이 자기결정을 존중받을 수 있는 문화가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앞으로도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순천향대학교 부속 천안병원 최성준 교수가 대구 엑스코에서 열린 ‘2022년 범부처 재난안전 연구개발 성과 대상’ 시상식에서 행정안전부장관 표창을 받았다. 표창은 정부가 주관한 ‘제1차 감염병 방역기술 개발 사업’에서 우수한 성과를 보인 연구책임자에게 주는 상이다. 최 교수는 사업에서 코로나19 환자 중에서 폐렴 환자를 선별해내는 ‘포터블 호흡기 진단통합 시스템 방역기기’를 개발했다. 개발된 기기는 AI 기술을 활용한 것으로 체온측정, 흉부 엑스레이 촬영 및 판독, 산소포화도 측정 등의 기능을 모두 갖춘 ‘포터블 저선량 엑스레이 기기’다. 최성준 교수는 “의료진 접촉 없이도 검사와 결과판독을 원스톱으로 시행하는 기기”라면서 “요양병원과 생활치료센터, 공항, 항만 등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국가 방역시스템 역량강화에 보탬이 돼 큰 보람을 느낀다”며, “앞으로도 환자들에게 필요한 새로운 방역장비 개발에 연구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빈소 전북대학교병원 장례식장 2호실, *발인 10월 15일, *063-250-1439 / 010-5112-2051 (유석열 약사)
*빈소 중앙대학교병원 장례식장 3호실, *발인 10월 15일
성균관대학교 삼성창원병원은 외과 방윤주 교수가 지난 6일 삼성메디슨 주최로 열린 라이브 웨비나(온라인 세미나)에 초청받아 강연을 진행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날 라이브 웨비나는 세계 각국의 유방 방사선 및 외과 전문의 등 770여 명이 온라인으로 접속한 가운데, 연자로 나선 한국과 영국 의사 3명이 각자의 나라에서 ‘유방질환 진단을 위한 유방 초음파 영상의 역할(The Role of Breast Ultrasound Imaging for Various Breast Diseases: Breast Radilologists’ & Surgeons’ Expectations)’을 주제로 발표와 토론을 진행했다. 특히 ‘유방 초음파 영상 활용 수술 사례 소개(Cases of Breast Ultrasound Imaging)’를 발표한 방윤주 교수에게 이목이 집중됐는데, 방윤주 교수는 ▲유방 수술 전중후 초음파 영상 판독 이해를 돕기 위한 사례 소개, ▲검사 부위에 대한 해부학적 지식, ▲초음파 검사에 대한 노하우 등 유의미한 정보를 공유했다. 방윤주 교수는 “이번 웨비나 발표가 전 세계 전문가들의 유방 초음파 영상 지식 및 기술 확장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앞으로 더
계명대학교 동산병원은 바이오브레인융합연구팀이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단’이 주관하는 연구개발 사업에 선정돼, 향후 4년간 연구개발을 진행한다고 13일 밝혔다. 4년간 총 28억 규모의 사업비가 투입되고, 단국대학교병원과 원텍이 참여한다. 연구개발 목표는 ‘유니버설 디자인이 적용된 영상기반 비대면 진료용 의료기기 개발’ 사업으로, 이번 연구개발을 통해 생체징후(Vital sign) 측정을 위한 체온계, 혈압계 등의 필수 의료기기를 사용하는데 있어 많은 어려움을 겪어 온 시각·청각 장애인이나 디지털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자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병원 측은 기대하고 있다. 또한, 누구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니버설 디자인이 적용되어 모든 사람이 차별 없이 의료서비스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를 위해, 롱 디스턴스 리모트 비전 센싱기술을 기반으로 한 다차원 바이오신호 측정기기를 개발하고 식약처 2등급 승인을 목표로 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다.김창현·이종하 교수는 “스마트 병원 구축 방향에 맞춰 외래 진료 및 입원 환경 모두에서 활용할 수 있는 롱 디스턴스 리모트 비전 센싱 기술과 컴퓨터 보조 진단 시스템을 구축할 것이다”라며, “보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내분비내과 김경진, 김남훈 교수 연구팀이 지난 10월 6일부터 8일까지 개최된 ‘대한당뇨병학회 국제학술대회(ICDM 2022)’에서 2022년 당뇨병학회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연구팀은 대한당뇨병학회지를 통해 발표한 논문 ‘Time to Reach Target Glycosylated Hemoglobin Is Associated with Long-Term Durable Glycemic Control and Risk of Diabetic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Type 2 Diabetes Mellitus: A 6-Year Observational Study’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제 1저자 김경진 교수, 교신저자 김남훈 교수)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이번 수상의 주인공이 됐다.김경진, 김남훈 교수팀은 해당 논문을 통해, 새로이 당뇨를 진단받은 당뇨병환자에게 진단받은 후 조기에 당화혈색소 수치를 목표 수준(당화혈색소 7% 이내)까지 조절하는 것이 장기간 안정적인 혈당 관리뿐 아니라, 당뇨합병증의 위험이 감소함을 확인해, 이를 통해 당뇨병 관련 임상 지침에 있어 조기 적극적 치료가 여전히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비뇨의학과 하유신 교수가 최근 서울 SC컨벤션 강남센터에서 개최된 ‘2022 대한전립선학회 KPS(Korea Prostate Society)-아시아태평양 비뇨종양학회 APSU(Asia Pacific Society Uro-Onclology) 공동 국제 심포지엄’에서 ‘KPS BLUE’ 학술상을 수상했다. ‘KPS Blue’ 학술상은 최근 3년간 전립선암의 대표 연구 논문 5편을 심사하여, 연구업적이 제일 우수한 연구자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하유신 교수는 ‘전립선암의 수술 치료 성과’, ‘전립선암의 병리학적 결과’ 그리고 ‘전립선암 약물치료의 합병증 발생’에 관한 연구 등을 해왔고, 해당 논문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하유신 교수는 “그동안의 전립선암 치료와 진단 관련 연구가 성과를 인정받아 기쁘다.” 며, “이번 연구는 실제 환자의 진단과 치료의 결과를 분석한 것으로 임상 적용시 전립선암 환자 치료에 근간이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밝혔다.한편, 대한전립선학회는 전립선 질환의 임상 및 연구 발전을 1997년 위해 발족되어 24년간 학술 연구 및 신의술 교류의 장으로서 역할을 해오고 있다.
*빈소 강남성모병원 장례식장 10호실, *발인 10월 14일
*12일, *빈소 이대목동병원장례식장 8호실, * 발인 10월14일
*빈소 경희의료원 장례식장 101호 , *발인 10월14일, * 02-958-9721
이복희 동남보건대 간호학과 명예교수 남편상, 이혜연 연세의대 해부학 교수 부친상이현숙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시부상*12일, *빈소 신촌세브란스병원, *발인 10월14일, *(02)2227-7597
*12일, *빈소 부산시민장례식장, *발인 10월14일, *(051)636-44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