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정부 임기동안 민간의료보험가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병원 대외정책팀은 MB정부 5년 동안의 사회상, 주요정책동향, 대선공약이행 현황에 대해서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분석결과에 따르면 “비수급 빈곤층이 468만명에 이르게 되는 등 사회 양극화가 심화됐고 전체가구에 대한 소득 5분위 배율을 보면 2006년에 비해 뚜렷이 분배가 악화됐다”라고 밝혔다. 또 “가계 동향조사 결과 노인가구의 상대적 빈곤율은 2006년 기준 45%에 이르며 노인 1인 가구 빈곤율은 OECD국가 중 최고 수준으로 노인, 아동, 청소년의 삶이 악화됐다”고 덧붙였다.특히 “MB정부 들어와 의료급여 수급권자가 지난 2007년 1978명에서 2012년 1671명으로 줄어들었다”며 “저소득층의 의료비를 지원하기 위한 예산 상황이 악화됐다”고 강조했다. 분석에 따르면 민간의료보험가입이 급증하고 중복 복수 가입이 급증했으며 월보험료 증가로 가계부담이 증폭됐다고 지적하며 이에 대해 건강보험 보장이 부족해서(35.48%), 질병 및 사고로 인한 가계부담을 줄이기 위해(46.31%) 등이 주요 요인이라고 밝혔다.국민의료비 중 공공지출 비율 및 가계부담률을 국가간 비교한 결과에 대해서는 “공
이대 목동병원에서 오는 12월 1일 올해로 제정 25년을 맞는 세계 에이즈의 날을 맞이해 ‘에이즈에 대한 5가지 오해와 진실’을 발표했다.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아직도 34.6%의 사람들이 에이즈(AIDS)라는 말에서 죽음, 사망, 무섭다, 불치병 등의 부정적인 단어를 떠올린다고 답변한 만큼, 에이즈에 대한 인식 개선에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대목동병원이 세계 에이즈의 날을 앞두고 에이즈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위해 일반인이 궁금해 하는 다섯 가지 오해와 진실을 정리해 발표했다.오해 1. HIV와 AIDS는 같은 말?결론적으로 HIV와 AIDS는 같은 말이 아니다. HIV는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uman Immunodeficiency Virus)로 AIDS(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를 일으키는 원인 병원체다. HIV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초기에는 면역이 일정 수준 이상 유지되고 에이즈를 추정할 만한 질환(주폐포자충폐렴, 카포시육종 등)이 발견되지 않는다. 이후 면역 체계가 손상되면 세균, 바이러스, 진균 등에 의한 감염증, 암 등의 질병이 나타나는데 이때의 증상을 에이즈라고 한다. 따
전국의사총연합은 보건복지부가 DUR분석을 통해 개원가들의 토요휴진참가율이 30%정도이며 평소에도 10%정도는 토요휴무를 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20%만 참가한 것이나 다름없다는 주장에 반박성명을 냈다. 대한의사협회는 대정부 투쟁에 따라 지난주부터 주40시간 주5일 근무 및 토요 휴무에 들어갔고 첫 토요휴무 참여율을 51.8%로 집계했다. 그러나 보건복지부 고위 관계자는 이에 대해 처방전 사전점검 시스템인 DUR 가동여부로 봤을 때 약 30%정도에 지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전의총은 이와 같은 복지부 관계자 발언에 대해 “의료계의 요구 사항에 대한 전향적 검토를 해야함에도 불구하고 의료계의 토요휴무 참여율을 시비삼고 불법적으로 취득한 자료를 통해 반박의 근거로 삼았다는 것은 평소 의료계를 동등한 협상의 파트너가 아닌 통제와 감시의 대상인 산하기구 정도로 생각하는 몰염치함”이라고 밝혔다. 이어 “정부기관이 DUR을 통해 의료기관의 정보를 임의로 수집하여 특정의도로 사용하였다는 것은 범죄이며, 언제든 DUR을 통해 국민의 개인 정보도 동의 없이 불법적으로 유용할 수도 있다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또 “관료가 이에 대한 문제의식 없이 스스로 밝히는 행위는 전체주의적 발
보건복지부는 28일 브리핑에서 보건의료직능발전위원회를 법적기구화 시키겠다고 밝혔다.복지부는 이같은 계획을 밝히면서 위원회가 “정권에 관계없이 계속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이는 보건의료직능발전위원회가 현재 심의·의결을 할 수 없고 복지부 장관에 권고만 할 수 있는 한계를 벗어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복지부는 이와 같은 계획에 따라 내년 보건의료관계법을 개정해 보건의료직능발전위원회를 법적기구화 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수순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현재 복지부는 위원회 구성을 위해 송진현 변호사를 위원장으로 보건의료전문가, 법조계, 언론계, 공익대표 등 8인의 공익위원을 구성한 상태다. 오는 29일까지 대한의사협회, 대한치과의사협회, 대한한의사협회, 대한약사회, 대한간호협회, 대한의료기사총연합회, 대한간호조무사협회 등 7개 직능단체에서 추천을 받을 계획이다. 복지부는 공익위원 구성에 직능단체만이 포함되고 병원협회 등이 포함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참여단체가 너무 많아지면 혼란을 초래해 논의가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한편 보건의료직능발전위원회는 오는 12월 7일 공익위원들 간 협의를 거쳐 의제를 결정할 것이다. 특히 천연물신약 등 문제에
강북삼성병원에서 국내최초로 온라인 힐링카페를 개설했다.현대사회에서 복잡한 인간관계와 업무스트레스에 시달리다가 결국 정신건강까지 해치게 되는 직장인들을 위해서다. 강북삼성병원은 “정신건강은 악화되기 전 치료를 받아야 하지만 정신건강의학과 진료에 대한 잘못된 선입관과 자신의 정신건강 정보가 회사 등에 알려지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으로 정신건강이 방치되고 있는 현실”이라며 힐링카페 개설의 취지를 알렸다.국내최초 정신건강을 위한 온라인 힐링카페 개설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원장 신호철)은 2012년 12월 1일, HRD 전문기업 크레듀(대표이사 임영휘)와 함께 '힐링카페, 직장인 마음치유(이하 힐링카페)'를 개설하여 개인의 정신건강 수준을 진단하고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와 임상심리사를 통해 마음 치유 컨텐츠를 제공하는 힐링 서비스를 시작했다. 힐링카페는 PC와 스마트폰에서 접속 가능하며 접근성은 높이고 개인의 진단 기록은 철저히 비밀 보장한다. 또한 언제 병원을 찾아야 하고 전문가 집단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지 정신건강 가이드라인도 제시한다.교육을 신청하면 설문을 통해 정신건강과 대인관계 성향을 확인하고, 결과에 따라 연령별로 맞춤화된 힐링 컨텐츠를 제공 받는다. 보고, 느
의료윤리를 연구하는 한 개원의가 대한의사협회의 최근 행보에 대해 ‘전문직업성 바로 세우기를 통한 의료개혁 작업’이라며 의사들을 독려하고 나섰다.이명진 전 의료윤리연구회 회장은 자신의 SNS를 통해 먼저 의사가 갖추어야 할 3가지 요소에 대해 설명했다. 이 회장에 따르면 그 3요소는 전문의학지식, 의학기술, 그리고 전문직업성(professionalism)이다. 이중 의사들의 직업전문성에 대해 우리말로 쉽게 이해하자면 ‘의사다움’이라고 할 수 있다. 이 회장에 따르면 ‘의사다움’이란 의사로서 갖춰야 할 자질과 행동양식이며 구체적 요소로 이타심(altruism), 책임감(accountability), 우월성(excell...ence), 의무(duty), 봉사정신(service), 명예(honor), 청렴성(integrity), 타인에 대한 존중(respect for others) 등을 들 수 있다. 이 회장은 ‘의사다움’이 위협받는 이유를 내적요인과 외적요인으로 나눴다. 내적요인은 의사들 스스로 전문직업성이 결여되었을 때 의사답지 못하다는 판단을 받게 되는 것이고 외적요인은 외부로부터 전문직업성이 손상을 입을 때, 의사로서의 역할을 위협받게 되는 것이다. 또 “그
가톨릭 서울성모병원 신경외과 전신수 교수팀이 줄기세포를 이용한 유전자 치료와 항암 치료제를 병행한 악성 뇌종양 치료법을 개발했다.연구팀은 뇌종양을 유도한 동물(쥐)에게 간엽줄기세포를 이용한 유전자 치료와 항암 치료제 중 하나인 지질대사 억제제 MK886를 병행하여 치료할 때, 종양 크기가 감소(그림1)하고 생존률이 증가(그림2) 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암연구분야 국제 학술지 ‘Cancer Research (IF: 7.856)’지의 2012년 9월 15일자에 게재됐다.뇌종양은 우리나라 암 중 1%를 차지하며, 외과적 수술치료와 항암 및 방사선 치료로 이뤄진다. 하지만 악성 뇌종양은 수술로 완전히 제거하기가 어려워 재발의 위험이 높고, 항암 및 방사선 치료를해도 예후가 불량하다. 생존기간 역시 매우 짧아 2년 생존율이 20% 정도이며, 2년 내에 10명 중 8명이 사망할 정도로 치명적이다.최근 간엽줄기세포를 치료유전자의 운반체로 이용하여 침윤하는 암세포를 파괴하려는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연구팀도 뇌종양을 유도한 실험용 쥐에 먼저 방사선을 조사한 후 암세포만을 골라서 죽일 수 있는 세포사멸 유도물질 유전자인 TRAIL(이하, 트레일)
고려대학교병원 산부인과 의료진이 가을 학회에서 수상소식을 전했다. 먼저 산부인과 송재윤 교수는 지난 10월 26~27일 양일간 제주 해비치 호텔에서 열린 ‘대한산부인과내시경 최소침습수술학회 제23차 추계학술대회’에서 ‘우수 필름연제상’을 수상했다. 송 교수는 이번 학회에서 ‘병기 설정 수술을 받은 후 재발한 자궁 내막암 환자에게서 시행한 복강경하 대동맥 주위 림프절 절제술(Laparoscopic pelvic and paraaortic remnant lymph node dissection in the patient with a metastatic lymph node in left paraartic area, who had underwent staging surgery for the endometrial cancer)’ 수술 영상을 편집해 발표했고, 우수연제상을 수상했다. 대동맥 주위 림프절 제거술은 부인과 영역에서 난이도가 높은 편에 속하는 수술이다. 특히 재수술은 해부학적으로 변형이 있을 수 있고, 암 병변이 있으면 대동맥을 손상시킬 위험이 높아 수술이 더 어려워진다. 송 교수는 이러한 고난이도의 수술을 복강경으로 성공적으로 시행했다고 인정받고 있다. 송 교
삼성서울병원(원장 송재훈)과JW중외제약(대표 이경하)은 27일 연구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에서명했다.이번 협약을 통해 양기관은난치성 암 치료를 위한 혁신적인 표적항암제의 연구와 개발에 있어 상호 협력할계획이다.
이대목동병원 소아청소년과 홍영미 교수는 지난 11월 16일 개최된 대한심장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우수 논문상’을 수상했다.홍영미 교수는 ‘모노크로탈린으로 유도된 폐동맥고혈압 백서(실험용 흰쥐)에서 보젠탄 투여 후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와 MMP-2 유전자 발현 변화’ 라는 주제의 논문으로 대한심장학회에서 발표된 논문 중 우수한 논문에 주어지는 ‘우수 논문상’을 수상하게 됐다.한병 이대목동병원 관계자에 따르면 홍 교수는 소아심장질환의 권위자로 소아과, 소아심장학회, 심장학회, 소아고혈압연구회, 가와사키병 연구회 등 관련 학회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지난 10월에 개최된 대한소아과학회에서 ‘한국심장재단 우수논문상’을 수상하는 등 탁월한 연구 성과를 인정받고 있다.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의 10명 중 3명은 발병 후 진단까지 1년 이상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단이 지연된 환자가 일상생활의 기능장애도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대한류마티스학회(이사장 유대현, 한양대병원 류마티스내과)는 류마티스관절염 임상연구센터(센터장 배상철 교수)를 통해 한국인 류마티스관절염 환자들의 진단 지연이 질병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류마티스관절염 환자, 10명 중 3명은 발병 후 진단까지 1년 이상 걸려한국인 류마티스관절염 코호트(KORONA)의 환자 5376명 중 분석이 가능한 4540명(남자668명/여자3,872명)를 대상으로 진단 시기를 조사한 결과, 72%(3,267명)는 발병 후 1년 이내 진단을 받아 치료한 반면, 28%(1273명)는 1년 이상 지연된 것으로 나타났다. 즉 10명 중 3명 정도는 1년 이상 진단이 지연된 것. 진단 지연 시기에 따른 환자군을 비교한 결과, 1년 이상 진단이 지연된 환자들이 1년 이내에 진단 받은 환자와 비교하여 연령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년 이내 진단 받은 환자의 연령은 52.7±12.1, 1년 이상 지연된 환자의 연령은 55.6±12.1년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p
대한의사협회의 ‘대정부투쟁’에 대해 법률적인 관점에서 분석한 연구결과물이 나와 주목을 받고 있다. 김재연 대한산부인과의사회 법제이사는 의사들의 휴진행위에 대해 “필수업무유지 범위에 해당하지 않고 특정사업자가 아닌 일반 불특정인들을 대상으로 한 사업중단행위이기 때문에 위법행위로 볼 수 없다”라고 주장했다.필수 유지 업무의 법률 규정이 준수돼야김 이사는 “파업을 하더라도 필수 유지 업무의 법률 규정은 준수돼야 한다”라고 밝혔다. 필수유지 업무는 파업을 하더라도 최소한의 인원을 유지해 업무가 중단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제도로 유지 수준과 대상 직무, 인원 등 구체적인 사항은 노사가 자율적으로 정하되 노사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노동위원회가 결정한다. 노동조합이 필수유지업무 유지의무를 지키지 않을 때는 3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하 벌금이 부과된다. 필수유지업무에 대해 헌법재판소는 “업무가 멈출 경우 공중의 생명, 건강, 신체의 안전을 현저히 위태롭게 하는 업무”라고 결론내렸다. 김 이사는 “이에 따라 의료계의 필수 유지 업무는 해석에 따라 논란이 되겠지만 응급실, 분만실, 중환자실이 해당 된다고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다만 헌법재판소에 따르면
서초구의사회(회장·강원경)는 지난 21일 제153차 긴급상임이사회를 개최해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회의 대정부투쟁 로드맵과 뜻을 함께 하기로 하는 한편, 각반 반장을 통해 일선회원들의 참여를 적극 독려해 나가기로 했다.이날 오후 7시 30분 참예우에서 열린 긴급상임이사회에서는 “현시점에서 의협비대위의 방침을 따르고 안 따르고의 문제가 아니라, 얼마나 많은 회원이 동참하여 일치단결된 모습을 보여주느냐가 관건”이라고 의견을 모았다.이어 상임이사회에서는 24일 휴진투쟁과 관련, 의협의 방침과 내용을 최대한 모든 회원들이 알 수 있도록 전달하는데 최선을 다하기로 하는 한편 오는 29일 예정된 송년회를 비상총회 겸 송년회로 변경해 참석회원들에게 의협비대위의 투쟁로드맵을 상기시키고 참여율을 높여 나가기로 했다. 비상총회 이후에도 회원참여율이 저조하다고 판단되면 총회까지도 개최, 전회원이 동참할 수 있도록 독려해 나가기로 뜻을 모았다.한편 이날 긴급상임이사회에는 강원경 회장을 비롯, 구현남·이경상·손욱현·박세근 부회장, 오현애 법제이사, 김상욱 보험이사, 임지연 재무이사, 고석주·허기훈 학술이사, 김갑수 공보이사, 최인석 정보이사가 참석했다.
전국시도의사회장협의회(이하 시도협의회)는 26일 정부와 국회에 대해 의협과 협상에 즉각 나설 것을 촉구했다.시도협의회는 지난 24일 시작된 대한의사협회의 투쟁에 시도의사회장으로 선출해 준 회원들의 뜻을 받들어 책임 있게 행동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또 “개원 의사들은 업종전환을 생각하고 있고, 봉직의사들은 자본의 노예가 되어가고 있으며, 전공의들은 불안한 미래에 떨며 수련을 받고 있는 현재의 시기를 ‘한국의료의 최대 고비’라고 규정한다”고 강조했다. 시도협의회는 “왜곡된 현 의료계 상황이 단순히 수가인상을 통해 해결 될 것으로 인식한다면 큰 오산이며 지금까지 의료발전이 의료계의 희생으로 이루어졌다면 향후 한국 보건의료 발전은 정부와 국민의 책임이 훨씬 더 클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한국의료의 미래를 위해 충정어린 마음으로 의료전문가가 의료 현장을 떠나고자 하는 의료 현실을 직시하고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와 국회는 진지한 대화의 장을 마련할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고 강조했다.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의료원장 서현숙)은 오는 30일까지 이대여성암병원 4층 다목적실에서 '몽골 의료봉사단 활동 및 몽골 자연·문화경관 사진전'을 개최한다.이번 사진전에 전시된 작품들은 백남선 이대여성암병원장을 단장으로 문혜성 부인종양센터 교수, 조수진 국제협력실장(소아청소년과) 등 8명으로 구성된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 몽골 의료봉사단이 지난 8월 24일부터 9월 3일까지 어믄 고비아이막 촉도체치 솜(Umnugovi Tsogttsetsii som) 일대에서 펼친 의료봉사 활동 모습과 함께 몽골의 아름다운 자연·문화경관을 담고 있다.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 몽골 의료봉사단은 이러한 현지 의료 환경과 요구도를 고려해 산부인과와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를 파견해 지역 주민과 근로자, 유목민 1,200 여명에게 인술을 펼쳤다. 특히 백남선 병원장은 울란바타르 송도병원 의료진들과 7명의 유방암, 갑상선암 환자 수술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또한 지역 학교와 육아 시설을 방문해 보건의료 교육도 진행했다. 몽골 의료봉사단 몽골의 수도인 울란바타르에서 540km 떨어진 어믄 고비아이막 촉도체치 솜은 인구의 60%가 여성으로 구성돼 있으며 몽골 내에서도 의료 환경이 열악한 곳으로 알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