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예산정책처가 코로나19 유행 가능성에 대비한 병상 확보 계획을 마련하라고 보건복지위원회에 주문했다. 예산정책처는 16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2년도 제2차 추가경정예산안 분석을 발간했다. 보건복지부 소관 추경예산안은 17일(오늘) 복지위 전체회의에 상정돼 심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의료기관 등 손실보상 사업의 2022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은 1조 5400억원이나 제2회 추가경정 예산안에서는 오미크론 변이로 인한 확진자 증가에 따라 병상 확보를 위한 의료기관의 손실이 증가함에 따라 이에 대한 예상 소요액이 증가해 1조 7186억 600만원이 증액된 총 3조 2586억 600만원이 편성됐다. 보건복지부는 2021년까지는 예비비와 추경예산, 이·전용 등의 방법을 활용해 재원을 조달했으나, 2022년에는 의료기관 등 손실보상 예산을 처음으로 본예산에 편성했고, 제1회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증액했으며, 이번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에도 오미크론 변이로 인한 확진자 증가로 인해 의료기관 개산급이 증가함에 따라 해당 예산을 증액 편성해 제출했다. 이번 추가경정예산안에는 의료기간 손실보상을 위한 3/4분기 소요액까지 편성이 돼 있는 상황이다. 추경안에 대해 예산정책처
20세 이상 인구의 고혈압 유병환자가 2007년 708만명에서 2021년 1374만명으로 667만명이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강도태)과 대한고혈압학회(이사장 임상현)는 5월 17일 ‘세계 고혈압의 날’을 맞아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 2007년부터 2021년까지 전 국민의 고혈압 유병률과 유병 환자의 적정 투약 관리율 및 2021년 주요 합병증 발생률을 발표했다. 성별로는 2018년부터 전체 고혈압 환자에서 남성 유병환자의 비율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2021년 기준 남성 51.1%, 여성 48.9%). 남성은 2007년 324만명에서 2021년 703만명으로 증가했고, 여성은 2007년 384만명에서 2021년 672만명으로 증가했다. 20세 이상 고혈압 환자의 연령 표준화 유병률 27.7%(‘07년 대비 4.8%p 증가) 인구구조의 노령화에 따른 자연증가율을 보정할 목적으로 산출한 연령 표준화 유병률은 2007년 22.9%에서 2021년 27.7%로 증가했다. 남성의 연령 표준화 유병률은 2007년 21.2%에서 2021년 28.6%로 지난 14년간 7.4%p 증가했으며, 여성의 경우에는 2007년 24.4%에서 2021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선민)은 지난 12일 ESG경영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MZ세대로 구성된 ESG변화관리자 워크숍을 개최했다. 심사평가원은 2021년 9월부터 변화에 유연한 MZ세대가 모여 ESG경영에 직접 참여하는 ‘MSG’를 구성‧운영해 왔다. ‘MSG’는 ‘Mz-ESG’의 약칭으로, 조직문화 및 기관경영에 대한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실행방안을 고민하며 ESG경영을 전파‧내재화하기 위해 캠페인 등에 앞장서고 있다. 이번 워크숍은 ▲플로깅 실천 ▲건강한 커뮤니티 형성 특강 ▲2021년 심사평가원의 ESG경영 사례와 평가 공유 ▲ESG경영 아이디어 공모전 우수제안의 실행방안 논의 등으로 진행됐다. 심사평가원은 지난 달 전 직원 대상으로 ESG경영 아이디어 공모전을 실시했고, 총 87건의 제안서 중 15건의 우수 아이디어를 선정했다. MSG는 워크숍에서 ESG경영 우수 아이디어에 대한 구체적 실행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E(환경), S(사회), G(거버넌스) 분야로 나뉘어 자유토론을 진행하고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다. 직원들의 아이디어와 MSG의 의견은 ESG경영추진단에서 내부검토 및 부서 간 협의를 거친 뒤 ESG경영에 적극 반영해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심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04일만에 1만명대로 감소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5월 16일 0시 기준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345명, 사망자는 35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만 3744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만 3268명, 해외유입 사례는 28명이 확인돼 신규 확진자는 총 1만 3296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779만 5357명 (해외유입 3만 2342명)이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5월 16일 0시 기준 1차접종자 9명, 2차접종자 7명, 3차접종자 61명, 4차접종자 410명으로, 누적 1차접종자수는 4504만 4097명, 2차접종자수는 4456만 2798명, 3차접종자수는 3322만 6299명, 4차접종자수는 346만 6846명이라고 밝혔다.
간호법 저지를 위해 전국 의사 대표자들이 한자리 모여 간호법이 국회에서 최종 통과될 경우 전국 의사들이 총궐기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대한의사협회 15일 오후 2시 30분부터 서울특별시의사회관 5층 동아홀에서 간호법 제정 저지를 위한 ‘간호법 규탄 전국 의사 대표자 궐기대회’를 개최했다. 이하 참석 대표자들의 주요 발언 정리. 대한의사협회 이필수 회장=간호단독법은 코로나19기간동안 간호사들의 수고를 보상한다는 미명 하에 간호를 의료에서 분리시켜 분절적, 독자적인 업무영역으로 존재하게 함으로써 국민건강을 해치고 보건의료체계를 무너뜨리는 비합리적인 법입니다. 비록 완전하지 못하고 개선할 부분이 많지만, 의료법과 면허체계를 근간으로 우리나라 의료가 현재 수준으로 발전해 왔고, 국민건강을 책임지는 기초가 되고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간호법은 우리가 지금까지 정비와 보완을 거듭하며 갈고 다듬어온 의료법과 면허체계를 부정하고 이탈하려는 잘못된 시도가 아닐 수 없습니다. 코로나19 헌신과 희생의 주역들이 누구입니까. 간호사들만 있는 게 아닙니다. 14만 의사가 있고, 83만 간호조무사들과 120만 요양보호사들이 있습니다. 응급구조사 4만여명도 있습니다. 모두가 환자 곁을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감소세를 보이며 일요일 기준 15주만에 2만명대로 집계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5월 15일 0시 기준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338명, 사망자는 48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만 3709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2만 5.408명, 해외유입 사례는 26명이 확인돼 신규 확진자는 총 2만 5434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778만 2061명(해외유입 3만 2314명)이다. 한편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5월 15일 0시 기준 1차접종자 702명, 2차접종자 733명, 3차접종자 3571명, 4차접종자 3만 1613명으로, 누적 1차접종자수는 4504만 4084명, 2차접종자수는 4456만 2789명, 3차접종자수는 3322만 6231명, 4차접종자수는 346만 6342명이라고 밝혔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토요일 기준 15주만에 3만명 아래로 집계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5월 14일 0시 기준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341명, 사망자는 55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만 3661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2만 9556명, 해외유입 사례는 25명이 확인돼 신규 확진자는 총 2만 9581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775만 6627명(해외유입 3만 2288명)이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5월 14일 0시 기준 1차접종자 1263명, 2차접종자 1751명, 3차접종자 9547명, 4차접종자 14만 4484명으로, 누적 1차접종자수는 4504만 3167명, 2차접종자수는 4456만 1847명, 3차접종자수는 3322만 1694명, 4차접종자수는 342만 9689명이라고 밝혔다.
지난 9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제1법안심사소위에서 간호법 제정안이 일방적으로 의결된 이후 폐기를 위한 보건의료인들의 1인시위가 한층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11일부터 13일까지 대한의사협회 정재원 정책이사, 이정근 상근부회장, 김이연 홍보이사 등이 “궁극적으로 이 간호악법을 막으려는 이유는 국민의 안전과 건강 보호에 있다. 국민 생명에 직결된 사안을 보건의료계와 충분한 상의 없이 기습 의결한 행태에 강한 유감을 표한다”라고 한목소리를 내며 릴레이 시위를 이어나갔다. 먼저 11일 1인시위에 참여한 정재원 정책이사는 “의료법은 업무 분장을 명확히 해 의료인이 원팀으로 협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각 직역이 맡은 바 역할을 다해 유기적인 조화 속에 돌아가는 시스템”이라면서, “팀플레이를 통해서 환자의 안전과 생명을 보호해야 하는데, 특정 직역의 이기심으로 팀플레이를 깨뜨린다면 전체 의료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하고, 국민에게 큰 피해가 돌아갈 것”이라며 강한 우려를 드러냈다. 다음날인 12일에는 이정근 상근부회장이 1인시위에 나서 “간호법 제정이 간호사들의 처우를 개선하기 위함이라며 주장하고 있지만, 현행 의료법, 보건의료인력지원법과 다를 바가 없다. 간호법 제
병원계가 코로나19 손실보상을 의료기관 수익증가로 바라보는 가입자 단체의 시각에 일침을 가했다. 대한병원협회 2023년도 요양급여비용 계약 송재찬 수가협상단장은 13일 당산 스마트워크센터에서 열린 1차 수가협상 후 이 같은 생각을 밝혔다. 송재찬 단장은 “지난해 진료비가 조금 증가하기는 했지만 그동안 코로나19에 대응하는 치료 의료기관의 노력, 그에 투입되는 비용 등에 대해 충분한 보상이 있길 기대한다고 말씀드렸다”며 “SGR모형에서 진료비 기준연도를 조정한 것이라던지 의료비용에 대한 구조를 개선한 것 등을 감사드린다고 말씀드렸고, 앞으로도 수가협상에 기본적인 데이터가 되는 것에 대한 개선을 열심히 해나가자는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말했다. 전반적인 수가협상 전망에 대해서는 앞서 1차 협상을 마친 타 유형과 비슷한 반응을 보였다. 코로나19 손실보상은 수가협상과 무관하다는 것이다. 송 단장은 “공단은 가입자가 여러 가지를 요구하시고 질문하신다고 하더라. (수가인상 요인에 대한) 적절한, 충분한 근거자료가 필요한 것 아니냐는 것”이라며 “치료병원의 경우 손실보상이란 것이 있으니 일정부분 진료비 수입이 있었던 것 아니냐고 하는데 이는 바람직 하지 않다”고 잘라말했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강도태)은 공단에 직접 결제대금을 받는 1차기업 뿐만 아니라, 2·3차 기업도 대금지급을 보장받고 현금유동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상생결제제도를 본격적으로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상생결제제도는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대금지급 안정성 확대를 통해 협력사의 현금 유동성을 지원하며, 전 부서에서 진행하는 각종 물품, 공사, 용역 등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협력기업이 결제일에 현금 지급을 보장받아 계약 상대자에 대한 현금 지급 보장은 물론 계약 상대자의 하위 협력기업에도 안정적 대금 지급을 보장하고, 자금 운용 등의 이점을 제공, 기업의 성장에 기여하는 공익적 순기능을 갖고 있다. 공단은 작년 12월 기업은행과 상생결제제도를 도입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올해 1월 상생결제 사이트(MP사)를 통해 상생결제시스템 운영을 본격화 했다. 상생결제 이용으로 공단은 ▲ 대금 지급 모니터링 ▲ 동반성장 평가 시 실적 반영과, 거래기업은 ▲ 대금회수 안정성 확보 ▲ 금융비용 절감 ▲ 환출이자, 장려금 수익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 건보공단 구자춘 경영지원실장은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협력사들의 자금 유동성 확보와 동반성장에
대한의사협회(회장 이필수)는 오는 15일 오후 2시 30분부터 서울특별시의사회관 5층 동아홀에서 간호법 제정 저지를 위한 ‘간호법 규탄 전국 의사 대표자 궐기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궐기대회는 9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제1법안심사소위에서 간호법 제정안이 보건의료계와의 충분한 논의와 사회적 합의 없이 졸속으로 의결되는 등 무리하게 추진되는 것과 관련해, 간호법 제정안에 대한 이해와 문제의식을 상호 공유하고, 전국 의사 대표자의 단합으로 간호법을 폐기하자는 뜻을 모으기 위해 마련됐다. 좌훈정 비대위 홍보위원장이 사회를 맡아 진행되는 이번 궐기대회에서는 이필수 대한의사협회장의 대회사와 박성민 대한의사협회 대의원회 의장의 격려사를 시작으로, 국회의 잘못된 입법 시도를 강력히 규탄할 예정이다. 이어 이광래 전국광역시도의사회장협의회장, 김동석 대한개원의협의회장, 백현욱 한국여자의사회 회장 등 의료계 대표들이 연대사를 낭독하고, 김택우 간호단독법 저지 비대위 공동위원장의 결의문 낭독 등의 순서로 궐기대회가 진행된다. 궐기대회에 참여한 전국 의사 대표자들은 결의문 낭독 후 서울특별시의사회관에서 출발해 국회 앞까지 가두시위를 진행할 예정이다. 의협은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나흘째 감소세를 유지한 가운데 이틀 연속 3만명대를 유지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5월 13일 0시 기준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347명, 사망자는 52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만 3606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만 2436명, 해외유입 사례는 15명이 확인돼 신규 확진자는 총 3만 2451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772만 7086명 (해외유입 3만 2264명)이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5월 13일 0시 기준 1차접종자 690명, 2차접종자 920명, 3차접종자 7490명, 4차접종자 9만 4444명으로, 누적 1차접종자수는 4504만 1745명, 2차접종자수는 4455만 9923명, 3차접종자수는 3321만 1795명, 4차접종자수는 328만 4042명이라고 밝혔다.
“여야 모두가 합의한 간호법조정안이 보건복지위원회 제1법안심사소위를 통과한 것이 졸속으로 날치기 통과한 법안이냐, 의사와 간호조무사단체는 간호법에 대한 가짜뉴스와 허위사실 유포를 즉각 중단하라!” 12일 제51회 국제간호사의 날을 맞아 서울 광화문 동화면세점 앞에서 대규모로 운집한 전국 간호사와 간호대학생 5000여명은 한목소리로 의사와 간호조무사단체를 규탄하며 “국민 건강과 환자 안전을 위해 간호법을 제정하라”고 국회를 압박했다. 대한간호협회(회장 신경림)와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위원장 나순자)은 이날 국제간호사의 날을 맞아 공동 결의대회를 열고 ▲보편적 건강보장을 위한 간호법 제정 ▲환자 안전을 위한 간호사 1인당 적정환자 수 ▲의대 정원 확대와 업무 범위 명확화를 통한 불법진료(의료) 근절 등 3대 요구안을 정부와 국회에 제시했다. 국제간호사의 날은 국제간호협의회(ICN)가 1972년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리고자 나이팅게일이 태어난 날인 5월 12일을 기념일로 제정한 날이다. 이에 국제간호협의회는 매년 국제간호사의 날마다 세계 간호사들이 함께 인식하고 실천해야 할 주제를 발표하고 있다. 올해 국제간호협의회가 내놓은 국제간호사의 날
2023년도 요양급여비용계약 의원급 수가협상단 김동석 단장이 코로나19 요양기관 손실보상지원금과 수가협상은 전혀 관계가 없다고 강조했다. 김동석 단장은 12일 당산 스마트워크센터에서 열린 건보공단과의 1차 수가협상 후 이 같은 생각을 밝혔다. 김 단장은 “가입자측의 생각을 전해들었다. 코로나19 요양기관 손실보상지원금을 받아 수익이 보전됐다고 하는데 수가협상과 무슨 상관인가”라며 “말그대로 코로나19라는 특별한 상황에서 입은 피해다. 건보재정과 전혀 상관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이어 “지금 분위기를 보니 가입자는 건보료 인상이 어려운 시기라며 부담을 느끼는 것 같다. 협상자체는 어려울 것”이라며 “손실보상이라던지 신속항원검사 등을 이야기하는데 다시 말하지만 수가협상과는 무관하다. 법과 제도에 따른 것들일 뿐이다”고 재차 강조했다. 2021년도 급여비 증가율이 2020년도 대비 높아진 것도 요양기관 수익증가와 연계되지 않는다는 의견이다. 김동석 단장은 “진료비가 오르긴 했지만 재원일수 입내원일수 등은 다 감소했다. 의료기관에 오지 못하다가 한번 오셔서 다 받으셔서 그렇다”며 “특히 초음파 같이 비급여가 급여화되면서 급여비가 증가한 부분도 있다. 이와 관련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선민)은 5월부터 병의원 및 약국 등의 개인정보보호법 자율준수 활동을 돕기 위해 의약단체와 공동으로 2022년도 요양기관 개인정보보호 현장지원컨설팅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12일 밝혔다. 요양기관 개인정보보호 현장지원컨설팅은 신규개설, 전문 인력 부족 등으로 개인정보보호 자율점검활동에 어려움을 겪는 요양기관을 위한 맞춤형 방문컨설팅이다. 심사평가원과 의약단체가 공동으로 컨설팅 신청기관에 방문해 46개의 의약분야 표준 점검항목에 따라 ▲개인정보보호 관리수준 진단 ▲취약점 보완․조치 사항 가이드 ▲관련 처분 및 우수조치 사례 설명 ▲각종 관련 서식 및 샘플 제공 등을 지원한다. 컨설팅은 심사평가원 지원별로 31개 요양기관을 목표로 9월말까지 제공할 예정이며, 지원 및 의약단체 상황에 따라 목표 기관수 및 제공기간이 달라질 수 있다. 컨설팅을 원하는 요양기관은 심사평가원 요양기관업무포털(http://biz.hira.or.kr)에 로그인 후 해당 메뉴(정보화지원>개인정보보호 현장지원 컨설팅서비스>컨설팅 신청)로 이동해 원하는 시간대로 예약신청을 할 수 있다. 심사평가원은 신청내용에 따라 필요시 해당 요양기관 및 의약단체와의 일정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