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톡892jms~➡️상조내구제 후기'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824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동성제약(대표이사 이양구)이 출시한 국내 최초 겔 타입 록소프로펜 소염진통제 ‘록소앤겔’이 배우 남궁민과 함께한 TV광고 온에어 4개월만에 누적 판매량 25만개를 돌파했다. 록소앤겔은 TV광고 시작 후 폭발적인 문의와 함께 월 5만개 이상 판매가 이뤄졌다. 수요가 급격히 증가해 약국 내 일시 품절이 반복되기도 했다. 누적 거래 약국 또한 1만여곳을 돌파했는데, 특히 약국 대상 자사 B2B 온라인 쇼핑몰인 ‘DSPMALL’을 통한 신규 거래가 증가했다. 동성제약은 테니스, 골프 동호회는 물론, 엘보 통증을 자주 겪는 주부와 직장인 사이에서 제품력에 대한 입소문이 퍼져 판매량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판매량뿐만 아니라 실제로 엘보 통증이 발생했을 때 제품을 사용하고 효과를 봤다는 긍정적인 후기도 이어지고 있다. 테니스∙골프 엘보 통증이 완화된 것은 물론, ‘겔 제형이라 부드럽게 발려서 사용하기 편하다’, ‘흡수되고 나서 끈적이거나 냄새가 없어 편리하다’ 등 사용감에 대한 리뷰가 많았다. 동성제약 관계자는 “록소앤겔과 모델 남궁민의 케미가 좋았고, 제품력이 뒷받침돼 좋은 성과가 있었던 것으로 분석한다”며 “테니스∙골프 엘보 통증이 있을 때 고객들이 먼
여전히 탈모치료제 ‘프로페시아’를 비롯한 의약품들을 온라인을 통해 인도와 태국 등 외국으로부터 직구 형태로 구매할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12일 환자단체에 따르면 탈모치료제, 여드름 치료제, 발기부전치료제, 구충제, 항생제, 다이어트약 등 다양한 의약품을 구매할 수 있는 사이트가 아직도 운영되고 있다. 본 지가 A환우회 등으로부터 입수한 의약품 판매 사이트만 해도 L사이트, D사이트, S사이트 등 3곳이나 됐으며, 해당 사이트에서는 구충제부터 항생제나 정신질환 관련 의약품과 같은 의사의 처방이 필수적인 의약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의약품들을 보여주면서 판매하고 있었다. 특히 사이트 3곳 모두 각 의약품의 효과가 어떠하고 주문 시 배송이 걸리는 시간은 얼마나 되는지 등 의약품이 아닌 일반 상품을 판매하는 사이트처럼 소비자 리뷰로 소비자들을 유혹하고 있었으며, D사이트의 경우 의약품 구매 관련 상담을 진행할 수 있는 ‘카카오톡 상담’ 기능을 활용하고 있었다. 이뿐만 아니라 포인트 및 일정 금액 적립을 미끼로 기존 회원이 신규 회원을 유치하게 하는 이벤트는 물론이고, 의약품 사용 후기를 등록해 회원들이 의약품 선택 시 도움을 주도록 하는 ‘리뷰 이벤트’ 등 다양
국내 제약바이오기업의 글로벌신약 개발 전략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가 마련된다. 재단법인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대표 허경화, 이하 KIMCo)은 제약바이오분야 통합 솔루션 제공 기업인 시네오스헬스(Syneos Health)와 오는 10월 11일 오후 2시부터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글로벌신약 개발 전략 워크숍’을 개최한다고 1일 밝혔다. 국내 제약바이오산업은 기업들의 지속적인 연구개발(R&D) 투자 확대를 통해 국가 경제성장을 견인하는 신성장동력으로 거듭났다. 2020년 기준 의약품 수출실적은 9조 9648억원을 기록했으며, 지난해 약 10조원 이상 규모의 기술수출 성과를 달성했다. 그러나 글로벌 빅파마 대비 열세인 R&D 투자 규모와, 글로벌신약 개발 전과정 완주에 대한 경험 부족 등으로 인해 아직까지 글로벌 블록버스터 신약개발 사례는 나오지 않고 있다. 이에 KIMCo는 국내 제약바이오기업 R&D·임상·사업개발 부서 임원 및 관계자 등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이번 워크숍을 통해 후보물질 발굴부터 후기 임상, 사업화까지 글로벌 신약개발 단계별 전략을 제시하고, 성공사례를 공유하며 글로벌 블록버스터 신약개발 가능성을
-- 헬스케어 전문경영인 이희열 (영문명: Chris Lee) 대표이사는 VentureBlick 펀딩 플랫폼과 전문 커뮤니티를 통해 헬스케어 생태계에 혁신적인 솔루션 제공 목표 (싱가포르 2022년 9월 1일 PRNewswire=모던뉴스) 메드트로닉(Medtronic) 아태지역 총괄사장과 바이엘 헬스케어(Bayer Healthcare) 아태지역 총괄사장 등 최고 경영자직을 역임한 헬스케어 분야의 최고 전문가인 이희열 대표이사는 헬스케어 스타트업과 메디컬 전문 투자자를 연결해 헬스케어 부문 펀딩에 혁신 솔루션을 제공할 VentureBlick의 설립자 겸 대표이사를 맡게 됐다고 발표했다. 기존 투자자와 달리, 이 플랫폼에는 헬스케어 업계에 대한 깊이 있는 전문 지식과 사용자 경험을 갖춘 의사, 임상의, 병원관리자 및 헬스케어 업계 전문가들이 투자자로 참여할 예정이다. 이들은 투자뿐만 아니라 자문제공 및 미래 고객으로서 헬스케어 스타트업들에게 탁월한 가치를 제공할 전망이다. VentureBlick 이희열 Founder 및 대표이사 IPO를 목표로 초기 단계 스타트업인 VentureBlick의 펀딩 플랫폼과 전문 커뮤니티를 통해서 메디컬 전문 투자자들이 초기단계 헬
20여 개의 시민단체들이 모여 시민단체 연합체를 결성, 임신중지 권리보장을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 등을 촉구했다. 8월 17일 오전 11시 서울 보신각에서 ‘모두의 안전한 임신중지를 위한 권리 보장 네트워크’ 출범식이 개최됐다. 임신중지 권리보장 네트워크는 ‘임신중지, 비범죄화부터 권리보장까지’를 주제로 결성된 시민단체 연합체로 총 24개의 시민단체가 8월 11일 기준 참여했다. 참여 시민단체로는 건강권 실현을 위한 약사회, 건강권 실현을 위한 치과의사회, 건강권 실현을 위한 행동하는 간호사회, 노동건강연대, 인도주의 실천 의사협의회, 참의료 실현 청년 한의사회 등으로 구성된 건강권 실현을 위한 보건의료단체연합이 있다. 또한, 건강세상네트워크, 노동당, 녹색당, 반성매매인권행동 이룸, 사회진보연대, 성노동자해방행동 주홍빛 연대 차차, 성적 권리와 재생산 정의를 위한 센터 셰어 SHARE, 시민건강연구소, 여성환경연대, 인권운동사랑방, 인권운동네트워크 바람, 장애여성공감, 트랜스젠더 인권단체 조각보, 플랫폼C, 한국여성단체연합, 한국여성민우회, 한국여성의전화, 한국성폭력상담소 등도 참여했다. 이날 출범식에서 임신중지 권리보장 네트워크는 2019년 4월 11
- 코로나바이러스주요프로테아제(Mpro) 저분자억제제후보물질(FB2001)에대한 1상시험결과발표…코로나바이러스에대한급성및장기치료의토대마련 - FB2001,전반적으로안전하고내약성우수…중국인및미국인집단간유의한차이없어 - 마우스모델의폐와뇌에서코로나바이러스의바이러스양유의하게감소시켜 (애틀랜타 2022년 8월16일 PRNewswire=모던뉴스) 환자건강개선을위한혁신의약품의발견, 개발및보급에집중하는생물약제기업프론티어바이오테크놀로지(Frontier Biotechnologies)가건강한성인지원자를대상으로진행한코로나바이러스주요프로테아제(Mpro)저분자억제제신약후보 FB2001의 1상임상시험에서나온긍정적인결과를발표했다. 제11회신종감염병국제회의(ICEI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포스터세션에서발표된이번데이터에따르면, FB2001은시험참가자사이에서높은내약성과안전성을보였다. 보고된이상반응의대부분은경증이거나중등도에머물렀고, 중국과미국연구센터참가자사이에유의한차이는관찰되지않았다. 프론티어바이오테크놀로지의 CEO CJ 왕(CJ Wang)은 "FB2001 1상시험에서나온긍정적인결과에만족하며, 이는자사와의학계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지난 12일 공시를 통해 올해 상반기 누적 결산 실적 및 신약개발 사업 진행 현황에 대해 발표했다.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의 2022년 상반기 기준 누적 결산 실적은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 8억원, ▲당기순손실 230억원으로 집계됐다고 전했다. 한편, 회사의 핵심 사업인 혁신 신약 후보물질 발굴 및 개발에 따른 ▲경상연구개발비는 전년 동기 대비 92% 증가한 173억원으로 집계 돼 약 두 배 가까이 대폭 늘었다. 지난해 대비 연구개발비가 대폭 증가한 것은 최근 글로벌 임상 2a상의 마지막 환자 투약을 마무리한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 후보물질 BBT-401을 포함해, 글로벌 다국가 임상 2상 진입을 앞둔 BBT-877 및 BBT-176 등 회사의 핵심 과제가 후기 개발 단계로 진입해 고도화 됨에 따른 투자로 풀이된다. 뿐만 아니라, 글로벌 미충족 의료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암 질환 및 섬유화 질환 영역을 전략적인 발판으로 삼아 신규 파이프라인을 강화하는 것과 맞물려 사업이 공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회사의 주요 파이프라인 진전 상황을 살펴보면, 차세대 비소세포폐암 표적치료제 후보물질로 개발 중인 ▲BBT-176(C797S 양성 삼중 돌연변이
갑상선은 우리 몸의 가장 큰 내분비기관이다. 무게는 10~15g, 목의 앞부분 가운데에 위치한다. 갑상선의 역할은 갑상선호르몬을 만드는 것이다. 갑상선호르몬은 우리 몸의 기능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고 신진대사를 조절한다. 심장을 뛰게 하고 장(腸)을 움직이게 하며 몸의 대사에 관여한다. 갑상선이 우리 몸의 지휘자 또는 보일러로 통하는 이유다. 또 태아의 신경과 근골격계의 성장을 도와 엄마한테도, 태아에게도 꼭 필요한 호르몬으로 알려진다. 갑상선호르몬이 필요한 양보다 많거나 적게 되면 그에 따른 증상이 나타난다. 갑상선 중독증(Thyrotoxicosis)은 갑상선호르몬이 체내에 많아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조관훈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는 “쉽게 갑상선중독증은 갑상선이 일을 많이 하는 게 아니라 호르몬 자체가 몸 안에 많은 상태로 갑상선기능항진증으로도 불리지만 중독증이 항진증보다 큰 개념으로 이해하면 된다”라며 “갑상선중독증이 나타나면 갑상선의 크기는 전반적으로 커질 수 있고 다양한 신체 대사 관련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라고 설명했다. ◆갑상선호르몬 과다로 발생…체중감소, 피로감 등으로 증상 나타나갑상선중독증의 원인은 다양하다. 가장 흔한 원인
5000억원 규모의 ‘K-바이오·백신 펀드’가 조성되며, 향후 총 1조원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는 신약 개발 및 백신 분야 투자 활성화를 위해 K-바이오·백신 펀드 조성방안을 지난 7월 27일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보고·확정하고, 후속조치로 펀드 결성을 위한 운용사 공모 등에 착수한다고 4일 밝혔다. 보건복지부는 펀드 결성을 위해 8월 4일부터 8월 26일 오후 2시까지 한국벤처투자를 통해 해당 펀드를 운용할 운용사 선정 공고를 진행하고, 8월 9일 펀드 14시 한국벤처투자에서 운용사 대상 설명회를 온·오프라인으로 개최해 펀드의 조성목적과 출자사업계획 등을 상세하게 안내할 예정이다. 공고 상세내용은 한국벤처투자 누리집(www.k-vic.co.kr)에서 확인 가능하다. K-바이오·백신 펀드는 제약·바이오 산업 육성을 위한 마중물로서 국내 제약사의 글로벌 혁신 신약을 개발하고 백신산업 경쟁력을 제고하고 글로벌 제약·바이오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성된다. 특히 최근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의 시장규모, 신약개발 파이프라인 및 기술수출 규모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현장에서는 이에 필요한 자금 부족 등을 호소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CDC의 신규 진단 코드, 미국 PADS 환자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치료와 연구 노력을 지원할 것으로 기대 라이덴, 네덜란드, 2022년 8월 2일 PRNewswire=모던뉴스 -- Pharming Group N.V.("Pharming" 또는 "회사")(유로넥스트 암스테르담: PHARM/나스닥: PHAR)의 발표에 따르면,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가 제10차 국제질병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ICD)의 임상 수정(ICD-10-CM) 부문에 희귀 원발성 면역결핍증인 활성화된 phosphoinositide 3-kinase 델타 증후군(Activated phosphoinositide 3-kinase delta syndrome, APDS) 사례를 보고하기 위한 새로운 진단 코드를 추가할 예정이라고 한다. 'D81.82'라는 APDS의 진단 코드는 2022년 10월 1일부터 발효된다. Pharming 최고 의료
EMA의 신속심사로 인해 레니올리십 심사 기간이 기본 210일에서 150일로 단축될 전망 Pharming, 2022년 하반기 레니올리십에 대한 MAA 제출 예정 라이덴, 네덜란드, 2022년 8월 1일 /PRNewswire/ -- Pharming Group N.V.("Pharming" 또는 "회사")(유로넥스트 암스테르담: PHARM)(나스닥: PHAR)의 발표에 따르면, 자사의 레니올리십(Leniolisib)에 대한 판매승인신청(Marketing Authorisation Application, MAA)이 유럽의약품청(European Medicines Agency, EMA) 산하 약물사용자문위원회(Committee for Medicinal Products for Human Use[https://www.ema.europa.eu/en/glossary/committee-medicinal-products-human-use ], CHMP[https://www.ema.europa.eu/en/glossary/chmp ])로부터 신속심사 대상에 지정됐다고 한다. 레니올리십은
거버넌스 구축·개선과 정부의 예산 지원 등 백신·치료제 연구개발(R&D) 지원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들이 제기됐다. 국민의힘 안철수 의원실이 주최·주관하는 ‘위기를 넘어 미래로, 민·당·정 토론회’가 26일 개최됐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반복되는 팬데믹 시대의 과학적 방역과 백신주권’에 대해 다양한 제언들이 쏟아졌다. 먼저 이종구 前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장은 한국형 지원 거버넌스 구축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영국과 일본 등은 R&D를 예비비에서 사용할 수 있지만, 우리나라는 R&D를 예비비로 할 수 없다”라면서 백신 및 치료제 연구개발은 예비비 등과 같은 유연한 예산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사례를 소개했다. 이어 우리나라의 경우 작년 말 기준 보건의료(바이오) R&D 예산이 1조4000억원 정도가 소요된 것으로 집계된 점을 전하면서 거버넌스 개선을 통한 연구 지원 개선이 필요한 상황임을 알렸고, “미국 NIH 내에 임상시험센터가 있는 것처럼 임상병원을 만들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이 본부장은 백신·치료제 관련 연구를 조정하는 ‘컨트럴타워’와 질병에 대한 대응 법률체계의 필요성도 호소했으며, 건강보험 등 우
㈜큐라티스는 개발 중인 청소년 및 성인용 결핵백신 신약 QTP101의 후기 임상시험에 착수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는 QTP101 결핵백신의 다국가 2b/3상 IND(임상시험계획)을 2022년 7월 21일자로 승인했다. ㈜큐라티스는 국내 최초로 진행한 성인 대상 2a상 임상시험 및 청소년 대상 1상 임상시험에서 임상적으로 우수한 내약성과 안전성 프로파일을 확인했고, QTP101 결핵백신이 위약 대비 강력한 면역원성을 형성하고 지속 유지했음을 이미 확인한 바 있다. QTP101 결핵백신은 결핵 항원과 합성 면역증강제로 구성됐으며, 결핵 항원의 경우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에서 유래한 4종의 병독성 및 잠복성 단백질을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만든 재조합 융합 단백질 항원이다. 면역증강제는 백신 효능 강화와 함께 적은 양의 항원으로도 충분한 면역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Adjuvant 역할을 한다. 이번 2b/3상 후기 임상시험은, 1단계(2b상)의 중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속적으로 2단계(3상) 임상시험을 수행하게 된다. 1단계 및 2단계의 베이스라인 시점에서 잠복결핵감염검사(QFT) 결과가 양성 및 음성 또는
사노피의 한국법인(이하 사노피)은 6월 30일, 지난 해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추진한 ‘대스타 해결사 플랫폼’ 선정 기업인 엠디스퀘어와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 추진을 위한 양해각서(MOU) 체결식을 진행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사노피는 만성질환 관리와 예방 정보를 제공하고, 엠디스퀘어는 프리미엄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만성질환 환자들이 효과적으로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협력한다. 향후 론칭될 디지털 헬스케어 제품과의 연계 및 양사 제품의 공동 프로모션 등으로 협력 방안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신규 사업 발굴 및 추진을 위한 첫 단계로 엠디스퀘어는 사노피 임직원을 대상으로 프리미엄 건강관리 서비스인 엠디케어를 제공한다. 엠디케어는 고령의 만성질환자 질환관리를 돕는 비대면 진료서비스로 전문 의료진을 통해 주기적 건강관리 및 건강상담 등을 받을 수 있다. 사노피 임직원들이 엠디케어를 직접 체험 한 후 전달하는 의견과 후기들은 서비스 고도화 및 접근성 향상을 위해 반영될 예정이다. 사노피-아벤티스 코리아 배경은 대표는 “이번 협약을 통해 디지털 및 데이터를 접목한 과학적 혁신으로 환자들의 건강을 증진하고자 하는 회사의 목표에 가까워질 수 있을 것”이라며 “202
뉴욕, 2022년 6월 30일 /PRNewswire/ -- MSQ 벤처스(M.S.Q. Ventures, 이하 'MSQ')는 자사 고객인 바이오라인Rx(BioLineRx Ltd., NASDAQ/TASE: BLRX, 이하'바이오라인Rx')가 중국 상하이에 기반을 두고 면역항암제에 주력하는 생물 제약회사 젠플릿테라퓨틱스(GenFleet Therapeutics, Inc.)와 췌관 선암종(이하 'PDAC')에서 Motixafortide를 개발하기 위해 성공적으로 공동 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 계약의 조건에 따라, 젠플릿은 중국에서 약 200명의 1차 전이성 PDAC 환자를 등록할 무작위 2b 임상시험을 설계하고 실행할 계획이다. 이 무작위 대조 연구는 현재 표준 치료인 화학요법 단독 치료와 비교하여 항PD-1 및 화학요법과 Motixafortide 병용 치료의 우수성을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바이오라인Rx의 CEO인 필립 설린(Philip Serlin)은 "이번 협력은 다루기 어려운 이 질병 치료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강력한 지원을 제공하는 항PD-1 및 화학요법과 결합된 Motixafortide의 2a상 COMBAT/KEYNOTE-202 임상시험
유럽에서 Obicetrapib 상업화 추진 NewAmsterdam의 주요 임상 프로그램인 Obicetrapib과 Menarini의 심혈관 질환에 대한 심층적인 전문성 및 지역 전문지식 결합 1억4천250만 유로의 선지급금과 약정 연구개발(R&D) 자금을 비롯해 잠재적 이정표 및 유럽에서의 순 제품 판매에 대한 두 자릿수 로열티를 포함해 총 10억 유로 이상의 거래 가치 발생 Obicetrapib, 차세대 경구용 저선량 및 1일 1회 CETP 억제제로, 2b상을 통해 이상지질혈증 환자에서 유망한 안전성 및 강력한 LDL 저하 효능이 관찰됨 미국 마이애미주, 이탈리아 피렌체, 네덜란드 나르덴, 2022년 6월 29일 /PRNewswire/ -- 주요 대사질환에 대한 변형 경구 요법의 연구 및 개발에 주력하는 임상 단계 회사인 NewAmsterdam Pharma(NewAmsterdam)와 이탈리아 기반의 비상장 국제 제약회사 Menarini Group(Menarini)이 Obicetrapib이 심혈관 질환에 대한 단일 요법 또는 에제티미브(Ezetimibe)와의 고정 선량 병용요법의 일부로 승인
ER+/HER2- 진행성 또는 전이성 유방암 환자의 잠재적인 치료 위해 개발 우선심사 청구 - 승인될 경우, FDA 심사에 8개월 소요 예정 2021년 10월 20일에 긍정적인 EMERALD 연구 데이터 발표 긍정적인 일차 결과가 나온 최초이자 현재까지 유일한 구강 복용용 신약 SERD SABCS (2021년 12월)와 ASCO (2022년 6월)에 추가 데이터 발표 2022년 하반기 EU에 Elacestrant 마케팅 승인 신청서 제출 예정 이탈리아 피렌체 및 보스턴, 2022년 6월 24일 /PRNewswire/ -- Menarini 그룹("Menarini")과 Radius Health, Inc.("Radius")(나스닥: RDUS)(이하 "양사")의 발표에 따르면, Menarini가 Radius의 지원을 받아 ER+/HER2- 진행성 또는 전이성 유방암 환자를 치료하는 Elacestrant에 대한 신약승인신청서(New Drug Application, NDA)를 미국 FDA에 제출했다고 한다. 신청서 제출의 일환으로, 양사
제약사들이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소통 도구를 확장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에는 의사 대상 커뮤니티뿐만 아니라 여러 대상을 겨냥한 플랫폼들이 생겨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약사들을 대상으로 한 플랫폼은 물론 일반인을 대상으로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유튜브 채널, 실버 요양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도 등장해 보다 다양한 대상으로 한 접근이 가능해졌다. ◆ GC녹십자웰빙 ‘닥터매거진’·헥톤프로젝트 ‘또하나의 가족’ GC녹십자웰빙은 최근 건강 정보 유튜브 채널 ‘닥터매거진’을 리뉴얼 공개했다. 이번 리뉴얼에서는 ‘닥터그린’이라는 채널명이 ‘닥터매거진’으로 변경됐으며, 콘텐츠 업로드 주기는 주1회에서 2회로 늘어났다. 카테고리도 2가지에서 3가지로 확대돼 다양성이 확보됐다. ‘닥터매거진’은 스트레스, 갱년기와 같은 건강 문제를 쉽게 다루는 ‘건강의학칼럼’과 김상만 GC녹십자아이메드 원장이 올바른 다이어트 정보를 제공하는 ‘똑다정’, 김동환 신경외과 전문의 박사가 의학적 지식을 전달하는 ‘메디컬토크’ 등으로 구성된다. 녹십자 그룹의 또다른 계열사인 헥톤프로젝트는 실버케어 플랫폼 ‘또하나의가족’ 어플을 런칭했다. ‘또하나의가족’은 지역 별 요양시설의 상세 정보를 제공하고,
한국존슨앤드존슨(대표 백준혁)은 자사의 금연보조제 브랜드 니코레트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금연의 중요성 및 금연보조제의 금연 효과 등을 알리는 활동의 일환으로 진행한 ‘금연습관 만들기, 금연챌린지’ 이벤트를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30일 밝혔다. ‘금연챌린지’는 지난 4월 18일부터 약 2주간 진행됐다. 한국존슨앤드존슨 임직원을 비롯해 총 102명이 챌린지에 참여했으며, 최종적으로 43명의 참여자가 금연 인증에 성공했다. 참여자들은 물 마시기, 명상하기, 산책하기, 금연 껌 씹기 등 언제 어디서든 쉽게 실천할 수 있는 자신만의 금연 노하우를 각자의 SNS에 공유하며 금연 실천을 인증했다. 금연 인증에 성공한 참여자들에게는 유명 일러스트레이터 온초람 작가와 협업하여 제작한 금연인증서 발급을 통해 향후 지속적으로 금연을 실천할 수 있도록 독려했다. 더불어 참여자 3명의 금연 성공담을 재해석한 웹툰도 제작한다. ▲ 첫 번째 참여자는 이미 실천 중이었던 금연에 더욱 박차를 가하기 위해 금연챌린지에 참여, 금연으로 인해 숨이 덜 차게 되고 후각이 좋아진 것 같다는 긍정적인 신체 변화 후기를 공유했고, ▲두 번째 참여자는 자녀를 위해 금연을 결심하게 되었고, 평소 물 마시기
한독(대표이사 김영진, 백진기)과 제넥신(대표이사 우정원, 닐와마)이 서울시 강서구 마곡지구에 연구소와 신사옥을 준공해 글로벌 신약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 한독과 제넥신, 프로젠은 5월 24일 ‘한독 퓨쳐 콤플렉스와 제넥신 프로젠 바이오 이노베이션 파크 준공식’을 개최했다. 한독 퓨쳐 콤플렉스와 제넥신 프로젠 바이오 이노베이션 파크는 연구원들이 최적의 환경에서 신약개발에 몰입할 뿐 아니라 혁신적인 협업 모델이 구현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한독 퓨쳐 콤플렉스(Handok Future Complex)’는 연면적 약 2만 1837m2에 지상 8층, 지하 3층으로 구성돼 있으며 한독 중앙연구소와 한독의 자회사 이노큐브가 입주한다. 한독은 중화동과 판교으로 분리돼 있었던 제품개발연구소와 신약개발연구소를 한독 퓨쳐 콤플렉스로 통합해 R&D 역량과 인프라를 강화했다. 또, 한독 퓨쳐 콤플렉스 준공으로 관계사인 제넥신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이노큐브를 통해 신약 개발을 위한 이노베이션 플랫폼을 확장한다. 지금까지 주로 임상 단계에서 협업이 이뤄졌다면, 이노큐브는 초기 단계의 바이오 헬스케어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육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새롭고 건전한 바이오벤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