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83,417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코로나19의 지역사회 감염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는 가운데 명지병원(병원장 김진구)이 안심외래진료와 폐렴안심병실(PSU) 등의 4단계 대응 진료 체계로 감염자의 병원내 유입의 선제적 차단에 나섰다. 3번, 17번, 28번 등 3명의 확진자를 입원시켜 모두 완치시킨 후 퇴원시킨 명지병원이 지난 11일부터 선별진료소와는 별도로 안심외래진료센터와 전체 폐렴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RT-PCR 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안심외래진료센터는 일반 외래 환자들이 안심하고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유증상자를 별도로 구분된 공간에서 진료하는 것으로 성인과 소아진료실을 별도로 운영된다. 37.5℃ 이상의 발열과 호흡기 증상이 있으나 14일 이내 해외여행력이나 중국에서 입국한 사람과의 접촉력이 없는 환자들이 안심외래진료 대상이다. 선별진료소는 발열, 호흡기 증상과 함께 해외여행력이나 중국에서 입국한 사람과의 접촉력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한다. 이와 함께 지난 10일 이후 입원한 폐렴환자 전원에 대한 코로나19 감염 검사를 위한 RT-PCR을 시행하고 있는데, 폐렴 환자의 경우 PCR 검사 결과 음성이 나오기 전까지는 음압시설이 되어 있는 폐렴안심병실(PSU ; Pneumonia Su
JW홀딩스(대표 한성권)는 미국특허청(USPTO)에 간단한 혈액검사로 췌장암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세계 최초 ‘다중 바이오마커 진단키트’ 원천기술에 대한 특허를 취득했다고 17일 밝혔다. 원천기술은 췌장암 초기와 말기 환자에게 발현되는 물질을 동시에 활용해 암의 진행 단계별 검사가 가능한 진단 플랫폼으로 2017년 연세대 백융기 교수팀으로부터 기술이전을 받았다. 회사 측은 “지금까지 췌장암 말기 환자에게 주로 반응하는 암 특이적 항원인 ‘CA19-9’를 검사하는 방법은 존재했었다”며 “초기 환자에서 나타나는 ‘CFB(보체인자B)’로 췌장암을 진단하는 원천기술을 보유한 회사는 세계에서 JW홀딩스가 유일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췌장암 조기진단 원천기술과 관련해 2016년 국내 특허, 일본(2018년), 중국∙유럽(2019년)에서 특허를 획득했으며 자회사 JW바이오사이언스를 통해 CFB와 CA19-9를 포함하는 다중바이오마커 측정 키트와 진단 알고리즘을 개발 중에 있다”며 “올해부터 신촌세브란스병원 강창무 연구팀과 함께 췌장암 환자를 포함한 총 500여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임상시험을 진행할 계획이다”라고 덧붙였다. JW홀딩스 관계자는 “세계적으로 특허심사 기
EU(유럽연합)의 최신 헬스케어 및 의료기기를 소개하는 ‘EU 게이트웨이 헬스케어 및 의료기술 전시상담회’가 3월 17일부터 18일까지 2일간 코엑스 인터컨티넨탈 호텔 하모니볼룸에서 개최된다. 전시회 관계자는 “전시회에는 EU 회원국의 헬스케어 및 의료기기 강소업체 약 50개사와 의료 ICT 기술업체, 보철∙임플란트 등 치과 관련업체들도 참가한다”며 “재활보조장비기술, 의료기기, 원격진료 및 원격 건강모니터링, 의료용 생명공학기술, 연구 및 개발기술과 서비스 등의 분야에서 EU의 엄격한 의료기기 규정을 통과한 안전하고 신뢰할만한 업체들도 소개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혁신적인 제품과 기술 중에는 유아, 어린이 및 임산부, 노인 및 장애인을 위한 건강관리 제품도 있으며 그 중에는 미숙아가 엄마의 심장 박동과 음성을 들을 수 있는 유아용 인큐베이터 용 특수 젤 매트리스, 유방 촬영 진단 솔루션, 노인 및 신체 재활을 위한 웨어러블 의료 기기, 장애인을 위한 안전하고 편리한 호이스트 시스템 등이 있다”며 “삶의 질을 향상시키도록 도움이 되는 가정 간호 솔루션을 갖춘 다양한 서비스가 전시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전시상담회는 EU 회원국의 기업과 한국 기업의 장
셀트리온은 지난 13일(현지시간) 캐나다 보건청(Health Canada)에 세계 최초 인플릭시맙 피하주사 제형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SC’의 허가 신청을 완료했다고 17일 밝혔다. 램시마SC는 TNF-α 억제제(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시장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기존 정맥주사(IV) 제형 램시마를 피하주사(SC)로 제형 변경하고 자체 개발한 항체 바이오의약품으로 지난해 11월 유럽의약품청(European Medicines Agency, EMA)으로부터 판매 승인을 획득했다. 캐나다 보건청은 셀트리온이 EMA에 제출한 임상 데이터를 인정해 ‘바이오베터(Biobetter)’ 형태로 약 1년간 허가 심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셀트리온은 램시마SC를 신약으로 판단한 미국 FDA(Food and Drugs Administration)와 긴밀한 협의 하에 1•2상 임상을 면제받고 지난해 7월부터 3상 임상에 본격 돌입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캐나다는 의료 재정 절감을 위해 바이오시밀러에 대한 지속적인 우호 정책을 펴는 국가로 최초의 인플릭시맙 SC 제형인 램시마SC 허가 후에는 순조로운 시장 진입이 예상된다”며 “캐나다 보건청과 적극 협력해 램시마
한국보건사회연구원(원장 조흥식, 이하 보사연) 50년 역사의 산증인인 역대 원장들이 연구원 설립 이래 처음으로 한 자리에 모였다. 보사연은 14일 역대 원장과 부원장, 선임연구위원들을 초청,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발전 전략 모색-후배가 묻고 선배가 답하다’라는 주제의 간담회를 서울 플라자호텔 오팔룸에서 가졌다. 오전 10시 간담회 시작에 맞춰 회의장에 속속 도착한 역대 원장들은 반갑게 인사를 나누며 서로의 안부를 묻고 과거 추억을 더듬었다. 세월과 함께 다수가 노령기로 접어든 탓에 자연스럽게 건강을 주제로 한 담소가 이뤄졌다. 제3대 한대우 원장이 등장했을 때는 좌중이 술렁였다. 보사연의 모태인 가족계획연구원 3대 원장(1976.02.21.~1978.11.07.)을 역임한 그는 1932년생으로 올해 88세다. 백발이 성성했지만 포마드를 발라 단정히 빗어 넘겼고, 자세는 꼿꼿했다. 몇 해 전부터 청력이 떨어져 보청기를 꼈다는 고백이 무색할 정도로 정정함을 과시했다. 한 전 원장은 “연락을 받고 몇 번을 주저했지만 역대 원장님들을 뵙는 기회가 될 것 같아 이 자리에 오게 됐다”며 “(재임 시절을 돌아보면)미련이 많이 남았는데 이렇게 여러분들을 뵙게 돼 기쁘다”고
◆국내 발생현황확진환자 30명확진환자 격리해제 9명검사진행 408명 ◆국외 발생현황감염 환자 71288명(사망 1775명) 보고 아시아: 중국 70548명(사망 1770)홍콩 56명(사망 1), 대만 20명(사망 1), 마카오 10명, 태국 34명, 싱가포르 72명, 일본 53명(사망 1), 베트남 16명, 네팔 1명, 말레이시아 22명, 캄보디아 1명, 스리랑카 1명, 아랍에미리트 8명, 인도 3명, 필리핀 3명(사망 1), 아메리카: 미국 15명, 캐나다 7명, 유럽: 프랑스 12명(사망 1), 독일 16명, 핀란드 1명, 이탈리아 3명, 영국 9명, 러시아 2명, 스웨덴 1명, 스페인 2명, 벨기에 1명 오세아니아: 호주 15명 아프리카: 이집트 1명 기타: 일본 크루즈 355명 [출처=질병관리본부]
대한검진의학회가 최근 발표된 의원급 의료기관용 감염증 감염 예방 관리지침에 대해 의견 수렴없이 일방적으로 발표된 실현불가능한 지침이라고 비판했다. 이밖에도 검진기관 현실에 떨어진 과도한 실사 및 가혹한 처벌, 검진 시범사업 시행 시 개원가의 의견 반영이 잘 되지 않고 있는 점 등을 지적했다. 대한검진의학회는 16일 밀레니엄 서울 힐튼 호텔에서 ‘창립11주년 기념 제23차 학술대회 및 제18차 초음파연수교육’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김원중 회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대응, 낮은 검진수가, 검진 착오 청구에 대한 가혹한 처벌 등을 이야기했다. 먼저 김 회장은 의원급 의료기관용 감염증 감염 예방관리지침이 지키기도 어렵고, 의료현장의 의견 수렴없이 발표된 일방적이고 부적절한 지침이라는 생각이다. 김원중 회장은 “감염증 확산 우려로 검진기관 운영에 어려움이 많은 상황이다. (지침을) 의원급 의료기관이 지킬 수 있는지, 장비 등 어떤 준비가 필요하고 이 과정에서 정부는 어떤 도움을 줘야하는 충분히 고민해야 했다”며 “의료기관들의 의견 수렴없이 일방적으로 발표된 지침은 부적절하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는 더 이상 의료계와 협조와 희생을 당연한 것으로 여기지
의약품 시장조사자료 유비스트(UBIST) 따르면 2019년 한해 원외처방 총액은 약 13조 3970억원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상위 50품목 총액이 2조 9072억원으로 전체 총액의 21.7%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018년과 비교해서는 원외처방 총액이 7.7% 상승한 것에 비해 상위 50품목 총액은 12.4% 성장할 정도로 원외처방 내에서 상위 50품목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이에 본지에서는 원외처방 상위 50품목을 중심으로 주목할 부분을 정리해 독자들에게 제공한다. [편집자 주] ◆상위 50품목 중 최다 품목 등록, 종근당2019년 원외처방 상위 50품목 중 가장 많이 이름을 올린 판매사는 종근당으로 조사됐다. 종근당은 총 5개의 품목을 올렸으며 뒤이어 다른 회사들도 4개 품목(대웅, 엠에스디, 화이자), 3개 품목(베링거인겔하임, 유한양행, 한미약품, LG화학), 2개 품목(노바티스, 다이이찌산쿄, 비엠에스, 아스텔라스), 1개 품목(글락소스미스클라인, 바이엘, 보령, 사노피, 삼진제약, 셀트리온제약, 애브비, 애자이, 유나이티드, 제일약품, 한림제약, JW중외제약, SK케미칼) 순으로 이름을 올렸다. ◆상위권 10 품목 성장
대한약사회(회장 김대업)∙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원희목)∙한국의약품유통협회(회장 조선혜)는 지난 12일 대한민국 약업대상 3개 주관단체장 회의를 개최하고 ‘제1회 대한민국 약업대상’ 수상자로 강신호 동아제약 명예회장(제약바이오부문), 김희중 대한약사회 명예회장(약사부문), 진종환 한신약품 회장(의약품유통부문)을 선정했다고 14일 밝혔다. 약업대상은 약업계(약국, 제약, 유통)가 2020년에 제정한 최고권위의 상으로 1953년 약사법 제정이후 비약적인 제약∙유통산업 발전을 통해 우리나라 경제 및 국민의 건강증진에 크게 이바지하며 신성장동력으로서 미래경제를 견인하는 약업계의 노력과 봉사에 대한 자긍심을 고취시키고 공적을 대내외에 알리고자 3개 단체장이 공동수여한다. 이날 회의에서 3개 주관단체장은 “수상자로 선정되신 분들은 약업계의 발전은 물론 우리나라 보건의료 발전을 위해 평생을 헌신하신 약업계의 큰 어른이다”라는 점을 강조하며 “우리 약업인들이 사랑과 존경의 마음을 담아 드릴 수 있어서 행복하고 축하와 감사의 뜻을 전해드린다”고 전했다. 이어 “대한민국 약업대상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포상 운영세칙을 제정하는 등 약업대상이 앞으로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약업계 최고
ABO 부적합 신장 이식이 활성화되면서 수술 시 혈액제제 사용량도 급증한 것으로 조사됐다. 신장 이식 수술 관련해 제한된 의료자원인 혈액제제가 적절하고 효율적으로 사용되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 마련이 필요해 보인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연구소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국내 신장 이식 수술 관련 혈액제제 사용량 및 혈장교환술 시행 현황 분석(박용정)’ 연구보고서를 공개했다. 연구는 2002년부터 2017년까지의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이용해 이 기간 국내에서 시행된 2만 1191건의 신장 이식 수술에서의 혈액제제의 사용량과 혈장교환술 시행 횟수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연구 결과 적혈구 제제는 2002년에 신장 이식 수술을 받은 총 509명의 환자 중 125명에게 총 771 단위가 수혈돼 수혈률은 24.6%였고, 2017년에는 신장 이식 환자 1865명 중 703명에게 총 3073 단위가 수혈돼 수혈률은 37.7%였고, 수혈 받은 환자 당 평균 4.4 단위가 사용돼 총 사용량은 16년간 4배 늘었다. 혈장 제제 사용은 더 많이 늘었다. 2002년 총 70명(13.8%)의 환자에게 748 단위의 혈장 제제가 사용됐는데 2017년에는 총 433명(23.2%)의
휴젤(대표집행임원 손지훈)은 2019년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액은 전년 대비 12.2% 증가한 2045억원, 영업이익은 13.1% 상승한 680억원, 당기순이익 516억원으로 사상 최대 연매출 2천억을 넘겼다고 14일 밝혔다. 회사측은 “최대 연매출 달성 배경으로는 국내외 시장 내 제품의 시장 확대이며 특히 HA필러 ‘더채움’의 약진이 가시적인 매출 성장을 견인했다”며 “지난해 더채움의 국내외 시장 전체 매출은 전년 대비 28.1% 증가했으며 국내 매출은 51.5% 증가해 국내 HA필러 시장 1위에 올라섰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 신규 라인 ‘더채움 스타일’ 론칭을 통한 제품 포트폴리오 확대가 주효해 해외 시장 확대도 속도가 붙었다”며 “영국을 비롯한 유럽 시장의 지난해 매출이 동기간 2.5배(152.2%)이상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이며, 전체 해외 시장 매출이 20.3% 늘었다”고 덧붙였다. 국내 출시 10주년을 맞은 보툴리눔 톡신 제제 ‘보툴렉스’도 견조한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보툴렉스의 국내 매출은 613억원으로 전년 대비 15.7% 증가해 4년 연속 국내 선도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보툴리눔 톡신 전체 해외 매출은 전년 대비 8.5% 증가했
이대목동병원(병원장 유재두) 마취통증의학과 김원중 교수팀은 통증성 당뇨병성 신경병증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연구 지원자를 모집한다. 이번 임상 연구는 '통증성 당뇨병성 신경병증에서 경피전극신경자극과 스크램블러치료의 진통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로 전향적, 무작위, 비교 연구로 진행된다. 모집 대상은 20세부터 70세까지의 양하지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 당화혈색소(HbA1c) < 9% 초과, 6개월 이상 약물 치료에도 불구하고 수치통증등급(NRS) 5점 이상인 사람이면 신청 가능하다. 단, 임산부, 심장 부정맥, 심장 박동기 또는 척수자극기 삽입, 정신 질환, 스테로이드 장기 복용자의 경우 제외된다. 총 50명을 선정하는 이번 연구의 대상자로 선정되면 이대목동병원 통증크리닉 외래에서 총 15회 진료를 통해 무작위로 경피전극 신경자극 혹은 스크램블러 치료를 받게 되고 1, 3, 6, 12개월 후 추적 조사가 진행되며 관련된 진료비 전액이 지원된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이대목동병원 통증크리닉(02-2650-2688, 2689)으로 문의하면 된다.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14일 최근 혈액수급 악화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280여개 주요 혈액사용 의료기관에 대해 ‘민·관합동 혈액 수급 위기대응 실무 매뉴얼’의 혈액 수급 위기대응 체계를 신속히 마련할 것을 공식 요청했다. 이는 최근 코로나19 국내 유입으로 인해 혈액수급이 악화되면서 혈액 보유량이 위기대응 매뉴얼의 ‘주의단계’ 기준인 3.0일분 수준까지 낮아짐에 따른 조치이다. 이번 조치는 범부처적인 헌혈증진 노력과 함께, 의료기관 차원에서 혈액수급 위기에 대응할 혈액사용 체계를 선제적으로 마련토록 한 것으로, 지난 1월 30일 의료기관 혈액 적정사용 요청에 이은 후속 조치이다. 이번 보건복지부의 요청으로 의료기관이 마련해야 할 ‘혈액수급 위기대응체계’의 주요 내용을 보면 대상은 혈액사용량이 연간 1000unit 이상인 의료기관 280여 개소로, 응급혈액관리위원회 구성, 혈액보유량 관리책임자 지정, 혈액보유량 위기단계에 따른 대처계획 수립 등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우선 의료기관은 혈액수급 위기상황을 대처하기 위한 주요 정책을 결정하는 ‘응급혈액관리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 응급혈액관리위원회는 부원장급 이상의 병원 운영진, 주요 임상 의료진 및 혈액
◆국내 발생현황확진환자 28명확진환자 격리해제 7명검사진행 692명 ◆국외 발생현황감염 환자 60300명(사망 1369명) 보고 아시아: 중국 59804명(사망 1367)홍콩 50명(사망 1), 대만 18명, 마카오 10명, 태국 33명, 싱가포르 50명, 일본 28명, 베트남 15명, 네팔 1명, 말레이시아 18명, 캄보디아 1명, 스리랑카 1명, 아랍에미리트 8명, 인도 3명, 필리핀 3명(사망 1), 아메리카: 미국 14명, 캐나다 7명, 유럽: 프랑스 11명, 독일 16명, 핀란드 1명, 이탈리아 3명, 영국 9명, 러시아 2명, 스웨덴 1명, 스페인 2명, 벨기에 1명 오세아니아: 호주 15명 기타: 일본 크루즈 175명 [출처=질병관리본부]
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은 2019년 경영 실적(별도 기준)을 통해 매출액은 전년 대비 6.5% 증가한 1조 52억원, 영업이익은 2.2% 증가한 314억원으로 별도기준 사상 첫 매출 1조를 넘었다고 13일 밝혔다. 회사측은 “전문의약품(ETC)과 일반의약품(OTC)의 고른 성장 및 보툴리눔 톡신 ‘나보타(미국 제품명: 주보, Jeuveau)’의 미국 수출 등으로 안정적인 매출 성장세가 나타났다”며 “나보타 소송비용 및 ‘라니티딘’ 식약처 잠정판매 중지 조치 등 비경상적 요인에도 불구하고 전년 대비 영업이익이 소폭 상향했다”고 설명했다. 전문의약품(ETC) 부문은 전년 대비 6.9% 성장한 7103억의 매출을 기록했다. 릭시아나, 포시가, 넥시움 등의 주요 도입품목과 우루사, 다이아벡스, 가스모틴 등 기존 주력 제품 실적 향상이 매출 상승에 기여했다. 나보타의 경우 미국 수출이 본격화 되며 전년 대비 256.4% 성장한 445억의 매출액을 달성했다. 일반의약품(OTC) 부문은 전년 대비 21.3% 성장한 1118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5년 연속두자릿 수 성장기조를 이어갔다. 주력 품목인 우루사와 전년 대비 매출이 34% 성장한 임팩타민 등으로 꾸준한 판매 증가
건보공단이 축적된 빅데이터 자료를 활용해 국가건강검진의 효과성을 분석한다. 이와 함께 1차·2차 국가검진을 받지 않거나 민간종합검진을 선택하는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 이유를 분석해 국가검진의 신뢰성도 제고한다는 계획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13일 이 같은 내용의 ‘국가건강검진의 효율적 실시를 위한 심층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용역을 발주 전 사전규격공개했다. 국회나 언론 등이 국가검진 효과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할 때마다 건보공단은 이에 대응할 마땅한 근거자료가 부족했다. 산발적으로 각 검진항목에 대한 성과평가 연구가 있긴 했지만 검진전반에 대한 효과성 연구는 2012년 일반건강검진 효과 평가 이후 없었기 때문. 제3차(2021~2025) 국가건강검진 종합계획 수립도 얼마남지 않았다. 건보공단은 검진실시 주체기관으로서 개선 방안에 대한 의견 제출(보건복지부)을 위해서도 이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는 검진(검사) 항목별 수검여부 및 판정여부에 따른 질환 발생률, 치료율, 사망률, 의료이용 현황 및 의료비 지출 등을 성별, 연령별, 직역별 등으로 분석해 국가검진의 효과성을 분석하게 된다. 아울러 국가검진 사후관리 서비스 전‧후 건강형태 변화 추이를 분석해 효
대한개원의협의회가 최근 질병관리본부에서 발표한 의원급 의료기관 감염예방 관리 지침에 경악한다는 입장을 13일 밝혔다. 대개협은 “최근 질병관리본부, 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 대한감염관리간호사회, 대한감염학회의 명의로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감염예방·관리(의원급 의료기관용)‘가 발표됐다”며 “이 지침은 새로운 전염병과 맞서 싸우며 감염위험의 최전선에 노출이 돼 있는 의원급 의료기관의 현실을 무시한 것으로 의사들에게 큰 충격과 함께 실망만을 안겨줬다”고 비판했다. 이번 지침은 의원급 의료기관의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도 않은 단체들이 만든 것임이 여실이 들어나는 면피성 탁상행정의 표본이라는 지적이다. 대개협은 “이번 지침은 의원급 의료기관이 지키고 싶어도 도저히 지킬 수 없는, 현실을 무시하고 만들어진 지침으로 추후 의료기관에서 감염이 발생하는 경우 지침을 지키지 않았다는 이유를 들어 그 책임을 의원급 의료기관에 전가시키기 위한 것이 아닌지 매우 의심스럽다”며 “지침의 목적이 전염을 막기 위함이라면서 의원급 의료기관이 지킬 수 없는 것을 규정하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고 비난했다. 의원급 의료기관은 대부분 원장 1인과 간호인력 직원이 1~3명이고 공간적으로도
지난 12일 본지에서는 2019년 원외처방액 관련 상위 10개 제약사를 정리해 독자들에게 제공했다. 이번에는 11위부터 20위까지의 원외처방 상위 제약사의 처방액과 품목수를 제공함으로 독보적 제품 등에 대해 소개한다. [편집자 주] ◆처방액의 균일화, 동아에스티동아에스티의 경우 5개 제품 중 1개 제품을 제외하고 처방액이 200억원대로 균일한 판매를 보여주고 있다. 2위를 차지한 ‘모티리톤(기능성 소화불량 치료제)’의 경우 천연물제제 중 가장 높은 250억원의 처방액으로 나타났다. 한편 123억원이 처방된 ‘스티렌 투엑스(위염 치료제)’의 경우 제형 크기 변화에 따라 ‘스티렌’ 처방액이 미포함돼 동아에스티의 발표액(스티렌 204억원)과 차이를 보이고 있다. ◆블록버스터 품목 모두 다케다 제조, 제일약품전체 2개 품목 중 블록버스터 제품 모두 다케다에서 제조했으며 1위는 ‘란스톤 엘에프디티(소화성궤양용제)’로 388억원의 처방액으로 조사됐다. 다음으로는 ‘덱실란트 디알(항궤양제)’이 175억원으로 뒤를 잇고 있다. ◆1위와 나머지 처방액 차이 압도적, 대웅바이오대웅바이오의 경우 3개의 블록버스터 제품 중 1위인 ‘글리아타민(인지개선 치료제)’이 다른 제품과 비
고려대학교의료원(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 김영훈)이 지난 2월 11일(화) 의과대학 3층 의무부총장 접견실에서 위촉식을 갖고 프로골퍼 김세영 선수를 홍보대사로 위촉했다. 김세영 선수는 앞으로 고려대의료원의 주요 기념행사와 사회공헌 활동 등 홍보활동에 함께 참여할 예정이다. 김영훈 의무부총장은 “김세영 선수의 경기 운영능력과 쉽게 흔들리지 않는 정신력은 우리 고대의료원의 정신과도 많이 닮아있다”면서 “국민들로부터 가장 신뢰받는 사회적 의료기관으로 거듭날 초일류 고대의료원을 알리는데 크게 일조해 주실 것으로 믿으며, 김세영 선수와 함께 하게 돼 매우 기쁘다”고 말했다. 김세영 선수는 “모교 병원의 홍보대사를 맡게 되어 기쁘고 영광스럽게 생각한다”며 “작게나마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어 “앞으로 고대의료원이 계속 발전하기를 기원하며, 저는 선수로서 성적으로 기대에 보답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1993년생 김세영 선수는 고려대 사회체육학부 11학번으로 2019 LPGA투어 CME그룹 투어 챔피언십 우승 등 다수 대회에서 입상했다. 특히 LPGA에 진출한 수많은 한국 여성골퍼들 가운데 통산 네 번째로 10승을 달성했으며,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승택)은 2019년 하반기 ‘의약품 출하시 일련번호 보고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제조·수입사는 평균 보고율 99.4%, 도매업체는 평균 보고율 92.1%로 나타났다. 제조·수입사 출하시 일련번호 보고율 95% 이상인 업체는 286개소(94.7%)이고, 95% 미만인 업체는 16개소(5.3%)이다. 또한 일련번호 보고율 100%인 업체는 259개소(85.8%)이고, 100%를 3회 이상 미달성한 업체는 8개소(2.6%)이다. 도매업체 출하시 일련번호 보고율 55% 이상인 업체는 2763개소(98.9%)이고, 55% 미만인 업체는 31개소(1.1%)이다. 의약품 출하시 일련번호 보고율이 행정처분 의뢰 기준에 미달한 업체는 제조·수입사 23개소, 도매업체 31개소이다. 심평원에서는 행정처분 의뢰 대상 업체에 대해 2월 26일까지 소명기회를 부여하며, 소명내역을 검토한 후 행정처분 의뢰 대상을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소명방법은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 홈페이지(https://biz.kpis.or.kr) 공지사항 내 ’이의신청서‘를 작성해 우편(강원도 원주시 혁신로 60,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 또는 팩스(033-811-7439)로 제출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