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83,319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휴런(대표 신동훈)이 싱가포르 종합병원의 파킨슨병 권위자 찬링링(Chan Ling Ling) 교수를 의학 자문위원(Clinical Advisor)으로 영입했다. 찬링링 교수는 신경두경부영상의학의 세계적 석학으로 특히 파킨슨병 연구에 있어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현재 ▲싱가포르 종합병원 선임 컨설턴트 겸 임상과학자 ▲듀크-NUS 의과대학 교수 ▲싱헬스(SingHealth) 듀크-NUS 학술 의료센터 연구 부위원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찬링링 교수는 그간 200편 이상의 연구 논문을 발표했으며 연구자의 학문적 성과와 영향력을 나타내는 H지수(H-index)가 37에 달하는 등 학술계에서 탁월한 연구 역량을 인정받고 있는 연구자 겸 의사다. 찬링링 교수는 자문위원으로 합류하기 전부터 휴런의 파킨슨병 솔루션 휴런IPD(Heuron IPD)와 휴런NI(Heuron NI)를 직접 사용하고 경험하며 그 가치를 인정해왔다. 또한 그간 휴런의 솔루션을 활용한 연구를 다수 진행하며 휴런의 연구개발을 돕고 솔루션의 임상적 가능성을 지원해왔다. 지난 13일에는 조선팰리스에서 진행된 휴런의 ‘파킨슨 리더스 포럼’에서는 연자로 참여해 국내 신경과 및 영상의학과 의료진을 대상으로 ‘싱
암젠코리아(대표 신수희, 이하 암젠)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차순도, 이하 진흥원)은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의 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오픈 이노베이션 프로그램인 ‘2025 보산진-암젠 골든티켓(Golden Ticket)’의 온라인 참가 신청 접수를 시작한다. 참여 신청은 3월 19일부터 4월 16일까지로,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진행된다. 올해는 ▲차세대 기술 신약(Next-generation therapeutics), ▲종양, 염증 질환, 심혈관 질환, 희귀질환 대상 새로운 표적 발굴(Novel targets and biology), ▲AI 기반 신약 후보물질 발굴 기술(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data science enabled drug discovery) 등 총 3가지 암젠의 관심 분야를 연구 중인 기업이 모집 대상이다. 서류평가를 통해 선정된 기업들은 ‘바이오코리아 2025’ 기간 중 진행되는 ‘골든티켓 피칭 이벤트(Pitching event)’에서 암젠 글로벌 임원에게 직접 기술을 발표하게 된다. 우승 기업은 ‘보산진-암젠 골든티켓’ 프로그램을 통해 1년간 글로벌 연계 멘토링, 보산진의 전문 컨설팅, 사무·네트워킹
대한민국 대표 파스 ‘신신파스 아렉스’가 올해도 국민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파스의 명가 신신제약의 신신파스 아렉스가 ‘2025 한국산업의 브랜드파워(K-BPI)’에서 소염진통제 부문 7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고 25일 밝혔다. 지난 2019년 첫 1위에 오른 이후 7년간 최고의 자리를 지키며 명실상부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파스 브랜드임을 입증했다. 한국산업의 브랜드파워(K-BPI)는 1999년부터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가 진행해 온 국내 대표 브랜드 진단 평가 제도로, 매년 3월 소비자 조사를 통해 소비 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국내 주요 산업 브랜드의 경쟁력을 측정한다. 신신파스 아렉스는 올해 역대 최고 점수를 기록하며 2위 브랜드와 총점 163점 이상의 압도적인 격차로 1위의 영광을 안았다. 신신파스 아렉스는 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 충성도의 모든 세부 항목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브랜드 인지도 부분의 ▲최초인지 ▲비보조인지 ▲보조인지 모두 2위 브랜드와 10% 이상의 격차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소비자들의 제품 평가 기준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경쟁이 치열한 소염진통제 시장에서 이뤄낸 성과로 더욱 의미가 크다. 신신제약은
케이원메드글로벌(K1MEDGLOBAL)은 3월20일부터 23일까지 개최된 이탈리아 볼로냐 코스모프로프 2025에 참가했다고 밝혔다. Bologna Fiere에서 열린 이번 뷰티 박람회는 3000여 업체와 25만여명의 업계 관계자가 참관했다. 코스모프로프는 1967년 이탈리아를 시작으로 매년 세계 주요 도시에서 개최되고 있으며, 뷰티 트렌드와 혁신적인 기술을 선보이는 주요 행사로 알려져 있다. 케이원메드글로벌(K1MEDGLOBAL)은 이번 전시회에서 Thermal Wave, Mtight, Vmax Pencilbeam 등 다양한 신제품을 선보였다. 특히, 방사형 체외충격파와 석션고주파가 동시작동이 가능한 ‘Thermal Wave’, 패치 부착형 리프팅 장비인 ‘Mtight’가 바이어들의 이목을 끌었다고 전했다. 회사 관계자는 “코스모프로프는 관련 분야의 모든 기업들이 뷰티 산업의 최신 기술과 제품을 선보이는 중요한 무대다.”라며, “이번 박람회를 통해 교류한 바이어들과의 네트워크를 확장하여 글로벌 시장에서의 자사 브랜드 입지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케이원메드글로벌(K1MEDGLOBAL)은 국내 최대 규모의 의료 전시회인 KIMES 2025를 성공
*24일, *빈소 음성농협장례식장 101호실, *발인 3월 26일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대장암팀(배성욱 교수, 백성규 교수)이 고위험 2기 대장암 환자의 수술 후 보조항암치료(Adjuvant Chemotherapy)를 통한 생존율 향상 효과를 입증하는 연구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연구진은 2010년부터 2017년까지 1,801명의 2기 대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보조항암치료 시행 여부에 따른 생존율을 비교 분석했다. 연구 결과, 미세부수체 불안정성(microsatellites instability, MSI) 상태와 무관하게 고위험 요인을 가진 환자들에게 보조항암치료가 전체 생존율 및 무병 생존율을 유의미하게 향상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위험 요인이 있는 MSI-고환자 그룹에서 수술 후 보조항암치료를 시행한 경우, 전체 생존율이 72.2%에서 97.8%로 증가했으며, 무병 생존율 또한 67.1%에서 88.9%로 상승했다. 또한, MSI-저/미세위성 안정성(MSS) 그룹에서도 수술 후 보조항암치료 시행 시 전체 생존율은 86.9%에서 95.6%로, 무병 생존율은 76.7%에서 90.4%로 개선되었다. 반면, 고위험 요인이 없는 환자들의 경우 수술 후 보조항암치료의 유의미한 생존율 향상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배성욱 교
세종충남대학교병원(원장 권계철) 심장내과 김태석, 김민수 교수팀이 지역 최초로 3차원 펄스장 절제술(3D Pulsed Field Ablation)로 심방세동 치료에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 심방세동 치료는 우선 뇌졸중 위험이 큰 환자들에서 경구 항응고제를 복약하고 항부정맥제 약물치료를 시작하는데 약물에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경우 시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그동안 고주파 에너지를 통해 좌심방의 폐정맥을 전기적으로 차단시키는 전극도자절제술이 주로 시행됐지만 좌심방의 폐정맥 주변을 한 점씩 연속적으로 이어서 치료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뇌줄중 및 혈심낭 등 시술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는 냉각풍선절제술은 심방세동의 주요 원인이 되는 페정맥 주변의 전기적 신호를 냉각 에너지를 통해 심방으로부터 차단시켜 심방세동을 치료한다. 풍선을 폐정맥에 밀착시킨 뒤 액체질소를 이용해 풍선을 급격히 냉각시켜 폐정맥 주위를 한 번에 치료할 수 있어 시술 시간을 줄이고 위험한 합병증이 적게 발생한다. 김태석, 김민수 교수팀이 성공한 3차원 펄스장 절제술은 더욱 진전된 시술 방법으로 방사선 노출을 최소화할뿐더러 고주파 대신 전기장을 사용
GE헬스케어 코리아(대표: 김용덕)는 GE헬스케어의 인공지능 기반 기술을 탑재한 CT 장비인 ‘레볼루션 어센드 CT’가 한국의료기기안전정보원으로부터 디지털의료제품법에 따른 디지털의료기기 1호 수입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디지털의료제품법은 지능정보기술(AI 등), 로봇기술, 정보통신기술(ITC) 등 첨단기술이 적용된 디지털의료기기 등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보하고 품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올해 초 시행됐다. 해당 법률의 시행 이후 국내에 수입되는 AI 기술이 적용된 수입 디지털의료기기 중 GE헬스케어의 CT 장비가 국내 최초로 인증을 받았다. GE헬스케어의 ‘레볼루션 어센드 CT’는 인공지능 기반 기술을 탑재한 CT 장비로써 CT 진단의 안전과 정확도를 높여 환자를 보다 안전하고 신속·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레볼루션 어센드 CT는 인공지능 기반의 자동환자 포지셔닝 카메라를 이용해 CT 검사를 위한 환자 위치를 자동으로 포지셔닝 한다. 또한 촬영 이후 획득된 CT 영상은 딥러닝 기반의 영상재구성 기법(TrueFidelity) 기술이 적용돼 보다 향상된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저선량의 CT검사가 가능하다. GE 헬스케어 코리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이비인후과 이승원 교수가 최근 열린 제62회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제20대 회장으로 취임했다고 25일 전했다. 임기는 2027년 3월까지 2년간이다.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는 약 46년의 역사를 지닌 학회로, 600명 이상의 이비인후과 전문의와 음성언어치료사가 소속된 국내 대표적인 이비인후과 관련 학회 중 하나다. 본 학회는 음성 질환, 삼킴 곤란, 후두 질환 등 국민의 후두 및 음성 건강 증진을 위한 학문적·임상적 연구를 선도하며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하고 있다. 이승원 신임 회장은 향후 2년간 전국 주요 대학의 후두음성언어의학회 이사진과 함께 학회를 이끌며, 학문적 발전과 임상 진료의 질 향상을 도모할 예정이다. 이 교수는 음성 수술 및 갑상선 수술 분야의 전문가로, 미국 기관식도학회(American Bronchoesophagological Association, ABEA) 및 미국 후두음성학회(American Laryngological Association, ALA) 정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지난 20여 년간 난치성 음성 질환인 성대반흔, 성대 재건 등에 대한 치료와 함께, 국소마취하 성대 레이저 수술 등의 분야에서
국내 연구진이 레보노르게스트렐 자궁내장치(LNG-IUS) 사용과 유방암 발생 위험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한국 여성의 대규모 건강보험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행된 이번 연구는 LNG-IUS 사용이 유방암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산부인과 육진성 교수와 노지현 교수 연구팀은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자궁내막증, 자궁근종, 또는 이상 자궁출혈로 진단받은 30~49세 여성 61,010명을 대상으로 LNG-IUS 사용과 유방암 발생 위험을 비교 분석했다. 연구 결과, LNG-IUS를 사용한 여성의 유방암 발생률은 10만 명당 223건으로, 비사용자(10만 명당 154건)에 비해 높았으며, 유방암 위험이 3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위험비 HR 1.38, 95% 신뢰구간 1.192-1.585). 이는 덴마크 연구자인 Mørch 등(2017,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이 LNG-IUS 사용으로 유방암 위험이 21% 증가(상대위험도 1.21, 95% 신뢰구간 1.11-1.33)한다고 보고한 결과와 일정 부분 일치한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LNG-IUS 사용 초기 3년 미만
지난 3월 21일(금)부터 22일(토)까지 서울 강남 힐튼 가든 인에서 제6회 KTTM 아카데미(Neuro TTM Teaching Course)가 성황리에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목표체온유지치료(TTM, Targeted Temperature Management) 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 2019년부터 지속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한문구 교수가 좌장을 맡았고, 약 50여명의 의료진이 참석했다. 이번 KTTM아카데미에는 국내외 신경과, 신경외과, 응급의학과, 외상외과, 심장내과 등 목표체온유지치료와 관련된 전문의들이 참석해 최신 지견과 연구 결과를 공유했다. 특히 미국 로버트 우드 존슨 외과대학병원 신경과장 이기원 교수를 비롯한 권위 있는 의료진이 연자로 나서 목표체온유지치료의 필요성과 적용 방법, 해외 신경 중환자실 사례 등 다양한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이번 KTTM 아카데미에서는 ▲체온 조절의 필요성과 방법 ▲다양한 체온 유지 장치 및 기술 ▲심정지 환자 대상 TTM 전략(응급실 및 중환자실) ▲뇌지주막하출혈(SAH) 및 중증 신경계 환자 대상 TTM 적용 사례 등이 주요 강의 주제로 다뤄졌다. 목표체온유지치료는 환자의 체온을 낮춰 신
화순전남대학교병원(병원장 민정준)이 인공지능(AI)기술을 탑재한 최신의 3.0T MRI ‘마그네톰 비다(MAGNETOM Vida)’ 장비를 도입해 최근 가동식 행사를 가졌다고 24일 밝혔다. ‘마그네톰 비다’는 바이오매트릭스 신기술을 포함한 MRI 모델이며, 환자의 생체 신호를 자동 인식해 호흡과 심장박동 등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영상을 구현하는 기능을 갖췄다. 호흡이 불규칙하거나 심장박동 파형이 원활하게 잡히지 않은 환자들의 검사가 가능해 기존 MR의 한계점을 극복했다는 평가다. 특히 MRI에 탑재된 실시간 감지 센서가 호흡으로 인해 발생하는 움직임을 자동으로 보정해 의식이 없는 중증 응급환자 등 의사소통이 원활치 않은 환자, 숨을 오래 참지 못하는 소아 및 고령 환자의 복부 MRI 검사도 가능해졌다. 인공지능(AI) 자동화 기능은 머리, 척추, 고관절, 근골격계, 심장 부위 등 여러 부위에 적용이 가능하며, 복잡한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자동 설계가 가능해 사전 준비시간이 감소했다는 장점도 있다. 또 짧은 시간에 고해상도 3D 영상 획득이 가능해 질적·시간적 검사 워크플로우가 향상됐다. 민정준 병원장은 “최신 MRI 장비는 고화질의 영상 획득으로 임상 진
대한심부전학회는 공식적으로 올해부터 3월 네 번째 주를 심부전 주간으로 선정한 가운데,심부전 주간을 맞아 24일 HF Awareness Week 선포식을 개최했다. 박성미 홍보이사는 이 날 심부전 주간에 대해서 소개했다. 박 홍보이사에 따르면 이번 심부전 주간 동안 ‘심부전 주간’ 선포식과 함께 홍보대사가 위촉된다. 또 유튜브 채널인 ‘심봤다 심부전 TV’도 개편, 런칭하며 의료진 및 심부전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와 심부전 주간 시민 강좌 등이 진행된다. 이번 심부전 주간 행사 중 가장 주목할만한 것은 의료진 및 심부전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 결과다. 먼저 심부전 전문가∙의료진이 별도로 존재하냐는 질문에는 절반 가까이가 없다고 응답했지만 심부전 전담 의료진이 있는 경우 응답자의 95% 이상이 매우 도움이 된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심부전 전담 의료진이 없는 병원에 근무하는 응답자의 94.1%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주목할만한 점은 심부전 전문가의 필요성이다. 심부전 전담 의료진 제도 확립 시 가장 기대대는 이점을 물어봤을 때 환자 치료 및 예후 등 치료성적을 좋게 할 수 있고, 이에 더해 아니라 심장이식 등 고위험 치료가 필요한 환자들에게 적절하게 대응할
주요 제약사들이 매출 대비 판관비를 사용한 비중은 동일하게 유지됐으나 판관비 비용은 전년 대비 6.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공시를 통해 2024년 매출 상위 30개 제약사들의 사업보고서(일양약품 제외)를 통해 2024년 판관비 지출 현황이 확인됐다. 상위 29개 제약사의 매출은 총 21조 862억원으로 나타난 가운데 판관비가 매출의 29.2%인 6조 1485억원으로 확인됐다. 이는 2023년 판관비인 5조 7883억원으로 비중은 유지됐지만 비용은 6.2% 증가됐다. 유한양행은 판관비 비중이 줄고 비용은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2023년 매출의 20.9%인 3889억원에서 2024년 매출의 19.8%인 4097억원으로 5.4% 확대됐다. 녹십자는 판관비의 비중과 함께 비용도 소폭 감소했다. 2023년 매출의 27.7%인 4501억원에서 2024년 매출의 26.8%인 4497억원으로 0.1% 줄었다. 반면 광동제약에서는 유한양행과 비슷하게 판관비 비중이 줄고 비용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는데, 2023년에는 매출의 15.3%인 2318억원을, 2024년에는 매출의 14.6%인 388억원으로 비용이 3% 증가했다. 종근당은 판관비 비중과 비용 모두 증가했
경북대병원의 새병원 건립에 대한 전문 연구 용역을 착수한 결과, 정책적·경제적 타당성에 대한 전문적인 데이터 분석을 통해 새병원 건립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4일 밝혔다. 대구 중구 삼덕동에 위치한 경북대병원 본원은 국립대 의대 교수진 등 최고 수준의 의료인력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낙후된 시설과 매우 좁은 병상당 면적, 부지 내 문화재로 인한 확장의 한계 등 새로운 진료 환경 개선이 필요했다. 건물 평균 연식이 45.2년으로 시설 낙후가 심하고 전국 10개 국립대병원 중 부지면적이 최하위 수준으로 진료 및 연구 공간 부족, 주차공간 부족, 환자 및 보호자를 위한 편의시설 부족 등 열악한 진료환경의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다. 자체 설문조사 결과도 대구시민·경북도민 87.5%가 병원 이전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이에 새병원 건립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작년 8월부터 외부 연구 용역 전문업체에 의뢰해 연구 용역에 착수했고, 지난 3월 18일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 용역 결과 중 경북대병원의 병상당 연면적과 부지면적 모두 전국 10개 국립대병원 중 최하위로 나타나 새로운 진료환경 조성에 큰 한계점이 드러났다. 특히 지난 3년 동안 시설 노후화로 인한
*24일, *빈소 부산 BHS동래한서요양병원, *발인 3월26일, *(051)582-1041
-- 임상 전 연구 발전을 위한 가장 크고 포괄적이며 민감도가 높은 단백질 바이오마커 분석 제공 프리몬트, 캘리포니아주, 2025년 3월 24일 /PRNewswire/ -- 질병의 조기 진단을 가능하게 해주는 정밀 단백질체학(proteomics) 기술 개발 회사인 알라마 바이오사이언시스(Alamar Biosciences)가 혁신적인 생체 표지자(biomarker) 프로파일링 솔루션인 NULISAseq Mouse Panel 120을 출시했다. 생쥐 모델에서 단백질 발현을 가장 포괄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도와주는 이 솔루션은 궁극적으로 생물의학 연구와 전임상 개발 연구를 촉진하기 위해 설계됐다. 이 최첨단 패널로 염증, 신경퇴행 질환 및 면역종양학의 신호 전달 경로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120가지 단백질을 분석이 가능하다. 알라마 바이오사이언시스의 설립자이자 회장 겸 CEO인 율링 루오(Yuling Luo) 박사는 "NULISAseq Mouse Panel 120은 전임상 모델에서 주요 생물학적 경로를 연구하기 위해 독보적으로 선정한 필수적인 단백질을 총
한올바이오파마(공동대표 정승원, 박수진)가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자사주 매입에 나선다. 한올바이오파마(이하 한올)는 24일 총 32억원 규모의 자사주 취득 결정을 공시했다. 취득예정 주식은 발행주식총수의 약 0.21%에 이르는 11만주로, 유가증권시장 장내매수를 통해 자사주를 취득할 예정이다. 이번 자사주 매입은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HL161(바토클리맙)이 중증근무력증 임상 3상에서 경쟁사 제품 대비 우수한 효능을 입증했음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하락한 데 따라 주주가치 보호를 위해 이뤄졌다. 한올바이오파마는 이번 임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일본에서 품목허가 신청을 위한 준비에 진입해 일본 내 바토클리맙을 상용화한다는 계획이다. 취득한 자사주는 임직원 보상 목적을 위해 활용될 예정이다. 한올바이오파마 관계자는 “바토클리맙이 경쟁사 제품 대비 높은 효능을 보이며 계열 내 최고(Best-in-class) 치료제로서의 경쟁력을 다시 한번 입증했음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과도하게 하락한 측면이 있다”며 “이번 자사주 매입을 통해 시장 신뢰를 강화하고, 주주 가치를 높이는 데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울대병원 간담췌외과 홍석균 교수가 지난 14~15일 개최된 대한이식학회 제21차 춘계학술대회에서 ‘2024년도 대한이식학회 학술상 대상’을 수상했다고 24일 전했다. 이번 수상은 이식학 분야에서 뛰어난 연구 업적을 인정받은 결과로, 향후 간이식의 발전과 의료 시스템 개선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대한이식학회는 이식학 분야의 연구의욕을 고취시키고 학술 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최근 3년 이내의 대표논문, 이식 관련 논문 실적, 그리고 기타 연구와 대외 활동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수상자를 선정한다. 홍 교수는 특히 ‘순수 복강경 기증자 간절제술’에 관한 연구로 주목을 받았다. 그의 대표 연구는 순수 복강경 기증자 우간절제술과 전통적인 개복 우간절제술의 결과를 성향점수 매칭 방법을 사용해 비교한 논문으로, 이는 기술적으로 어렵다고 알려진 순수 복강경 간절제술의 안전성과 효용성을 객관적으로 입증한 중요한 연구로 평가받고 있다. 이 연구는 기존의 개복 우간절제술에 비해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임을 입증하며, 수술 후 환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된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또한, 이 연구는 세계적으로 인정받아 이식학 분야에서 새로운 기준을 제
온코닉테라퓨틱스가 중국 파트너사인 리브존제약(Livzon Pharmaceutical Group)에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자스타프라잔(Zastaprazan, 제품명 자큐보정)’의 기술이전 마일스톤을 청구했다고 24일 공시했다. 이번 공시에 따르면, 지난달 리브존으로부터 300만 달러(약 43억 7400만원)의 마일스톤을 마일스톤을 수취한 온코닉테라퓨틱스는 이번에 생산을 위한 양산기술(CMC)이전 작업을 완료하고 추가로 150만 달러(약 21억 8700만원)를 청구했다. 온코닉의 글로벌 신약 자큐보정은 중국내 지속적인 개발 진행에 따라 예정된 마일스톤이 차질 없이 지급되고 있으며, 이는 초기 기술이전 계약 이후 후속 마일스톤 지급이 많지 않은 국내 바이오 업계에서 차별적인 성과로 평가된다. 온코닉은 2023년 3월 10일 리브존과 자스타프라잔의 중화권(중국, 대만, 홍콩, 마카오) 내 개발, 허가, 생산 및 상업화에 대한 독점적 권리를 부여하는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 규모는 계약금 1500만 달러(약 200억원)를 포함해 총 1억 2750만 달러(약 1650억원)에 달하며, 이후 인도 및 멕시코/남미와 추가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며 21개국으로의 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