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9,936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이사장 배병준)은 오는 10월 11일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 APEC) 다지역 임상시험 및 임상시험 실태조사를 위한 규제당국자 전문교육’을 실시한다. 재단은 지난 2020년 APEC 규제조화운영위원회(RHSC)으로부터 전문교육 훈련기관(Center of Excellence, CoE)으로 공식 지정됐으며, APEC 국가 내 규제당국자, 업계 및 학계 관계자를 대상으로 APEC 규제조화사업에 대한 교육을 매년 수행하고 있다. 올해로 3회째 개최되는 이번 교육은 일본 의약품 및 의료기기관리청(PMDA)과 유럽의약품청(EMA)의 전·현직 규제담당자, 영국 의약품 건강관리 제품 규제청(MHRA), 산업계 전문가 등 7명의 강사진과 페루, 말레이시아, 러시아, 대만, 칠레, 필리핀 등 11개국 약 20여 명의 APEC 국가 규제당국자가 참여하며, 코로나19로 지난 2년간 비대면으로 진행된 이후 첫 대면으로 개최된다. 참가자들의 임상시험 품질관리 실무 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춰 최신 동향의 다기관 임상시험 및 임상시험 실태조사 전 과정에 대한 강의와 사례 공유가 이뤄진
‘K-Hospital Fair 2022’에서 지속 가능한 디지털 헬스케어 생태계 구축 및 비전이 제시됐다. 29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2022 국제병원 및 의료기기 산업박람회(K-HOSPITAL FAIR 2022)’에서 GE헬스케어 코리아와 대한병원협회가 공동으로 개최한 '지속가능한 디지털 헬스케어 생태계' 포럼이 개최됐다. 이날 GE헬스케어 김은미 대표는 “전세계 헬스케어가 직면한 해결 과제는 의료서비스의 불균형 해소와 의료 생산성 향상해야 한다는 것에 대해서는 반대의 여지가 없다”라고 밝혔다. 특히 세계은행(WB)나 WHO에서 조사·연구한 바에 의하면 전 세계에 38억여 명의 사람들이 기본적인 의료서비스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고, 다른 환자는 20%에 달하는 의료비용이 낭비되고 있는데, 이는 비효율성, 고비용, 고장난 프로세스 때문이라고 전했다. 또한, 김 대표는 저소득 국가를 중심으로 약 260만여 명의 환자들이 안전이 검증되지 않은 의료로 생명을 잃고 있으며, 사망자 중의 대다수는 예방이 가능한 질환인 점을 강조했다. 이어 “이 같은 문제를 단번에 해결하려면 정밀의학 발전과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에코시스템 구축에 있으며, G
-- FDA, 희귀 원발성 면역결핍증 APDS 치료제인 레니올리십에 대한 무작위 대조 및 장기 연장 데이터 기반의 NDA 제출 위한 PDUFA 목표 날짜를 2023년 3월 29일로 지정 (라이덴, 네덜란드 2022년 9월 29일 PRNewswire=모던뉴스) Pharming Group N.V.("Pharming" 또는 "회사")(유로넥스트 암스테르담: PHARM)(나스닥: PHAR)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미국에서 12세 이상의 성인 및 청소년의 희귀 원발성 면역결핍증인 활성화된 PI3K 델타 증후군(Activated Phosphoinositide 3-Kinase Delta Syndrome, APDS)을 치료하기 위한 경구 선택적 포스포이노시티드 3-키나제 델타(PI3Kδ) 억제제인 레니올리십(Leniolisib)의 신약신청(New Drug Application, NDA) 우선심사를 승인했다고 발표했다. FDA는 우선심사(Priority Review) 분류에 따라 PDUFA(처방의약품신청자수수료법) 목표 날짜를 2023년 3월 29일로 지정했다. 2022년 7월 29일에 P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은 29일 온라인 메타버스(metaverse)를 통해 ‘2022 가톨릭대학교 바이오 기술이전 Fair’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는 사업화 유망기술 8건이 소개됐으며, 사전에 신청 받은 기관・기업・투자자 등 파트너와 연구자 간 1:1 비대면 상담이 이뤄졌다. 2020년부터는 매년 코로나 상황을 고려해 유튜브 생중계로 진행됐던 것과는 달리, 올해는 ‘메타버스(metaverse)’ 개념을 도입한 온라인 행사장을 조성해 참가자들을 맞이했다. 가톨릭대 산학협력단에서 준비한 온라인 행사장은 ▲실시간으로 행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술설명회장 ▲기술별로 1:1 비대면 상담이 진행되는 기술상담회장 ▲출품 기술소개자료(SMK) 포스터 전시장 ▲교원창업기업 홍보 동영상 상영관 등으로 구성됐다. 한편, 가톨릭대 산학협력단은 대학이 보유한 우수 기술을 발굴하고 수요기업을 매칭해 성공적인 기술이전을 추진하고자 2015년부터 바이오 기술이전 Fair를 개최하고 있다. 가톨릭대 산학협력단장 조석구 교수는 “산학협력단은 대학 기술이전 및 사업화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시장 환경에 대응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라며 “이번 행사를 통해 우리 대학의 우수한 R&am
보건복지부는 식품의약품안전처, 질병관리청 등 5개 정부부처와 국가전임상시험지원센터 등 5개 유관기관 합동으로 ‘2023년도 백신‧치료제‧원부자재 기업 지원 사업(제도) 설명회’를 29일 오후 2시 온라인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설명회는 2023년도 정부연구개발사업(정부안 기준)과 단계별 지원 제도를 시의성 있게 전달해 정책 대상인 기업 등이 사전에 지원 사업을 충분히 준비할 수 있도록 하고, 정부부처와 유관기관에 산재해 있는 백신·치료제·원부자재 기업 지원 제도를 한눈에 정리해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리로, 지난 2021년 9월에 처음으로 개최된 이후 세 번째 설명회다. 설명회에는 백신‧치료제‧원부자재 개발 기업과 연구기관, 관련 협회 관계자 등 150여 명이 참석했으며, 관계 정부부처 및 기관의 사업 담당자가 지원 사업과 제도를 안내하고, 참석자 질의에 답변하는 순서로 진행됐다.안내 내용은 보건복지부·산업통상자원부·식품의약품안전처·질병관리청·특허청 등 5개 부처의 17개 지원사업(제도)과 5개 유관기관의 기술 개발부터 생산까지 전주기 지원 사업(제도)이다. 보건복지부는 기업들이 지원 제도를 보다 쉽고,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 제도 설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은 환자와 교직원을 대상으로 정서적 안정과 힐링을 제공할 수 있는 현대해상 도서관 ‘마음심(心)터’를 지난 지난 28일 성심관 지하1층에 개관했다고 29일 밝혔다. 현대해상 도서관 마음심(心)터는 2015년부터 현대해상화재보험이 후원하고 문화예술사회공헌네트워크 아르콘이 함께 병원 내 도서관을 조성해 환자 및 병원 종사자에게 심리/문화치유를 제공하는 사회공헌 사업으로, 부천성모병원은 2024년까지 3년간 도서를 비롯한 프로그램 지원을 받을 예정이다. 부천성모병원은 도서관 개관을 위해 코로나19로 폐쇄했던 성심관 지하1층 면회라운지를 재정비하고 현대해상으로부터 건강과 치유에 관련된 도서뿐 아니라 인문, 교양, 자기개발, 아동서적 등 신간 도서 1000권을 지원받아 누구나 찾아와 책과 함께 편안히 쉴 수 있는 공간으로 꾸몄다. 부천성모병원 김희열 병원장은 “육체적 질병 치료를 위해 부천성모병원 찾는 환자는 물론 보호자와 교직원 모두가 마음까지 치유하고 ‘건강, 그 이상의 행복’을 실현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전북대학교병원(병원장 유희철)은 제7회 전북 청렴누리문화제가 27일 전북대병원 임상연구지원센터 2층 새만금홀에서 열린 개막식을 시작으로 오는 30일까지 도내 공공기관 일원에서 개최된다고 밝혔다. 전북 청렴누리문화제는 전북지역 청렴문화 확산을 위해 2016년 1회 행사가 개최된 이래 전북 청렴클러스터협회 소속 11개 공공기관이 공동으로 개최하고 있다. 전북대병원이 주관한 이날 개막식은 전북지역 11개 공공기관 임직원, 지역주민 등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주관기관인 전북대병원 이해숙 상임감사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한국전기안전공사 권재홍 상임감사와 전북대병원 유희철 원장의 축사, 청렴퍼포먼스(이해충돌방지서약), 사회취약층 기부물품(쌀) 전달식, 청렴강사 초청강연, 청렴 연극 등의 순서로 진행됐다. 전북대병원 이해숙 상임감사는 개회사를 통해 “전북 청렴누리문화제가 올해로 7회째를 맞이하기까지 전북지역 11개 공공기관과 11개 청렴사회 민관협의회 기관이 뜻을 모아 청렴이 하나의 문화로 정착되어 가는데 큰 역할을 해왔다”면서 “이번 행사를 통해 지역민과 함께 청렴을 느끼고 실천하고자 하며 청렴을 통해 우리 전북이 하나가 되는 세상을 열기를 기대하며 청렴문화를 확산하고
일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전날보다 줄어든 3만881명으로 집계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9월 29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363명, 사망자는 46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만8364명(치명률 0.11%)이라고 밝혔다. 금일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317명(87.3%),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43명(93.5%) 이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만629명(최근 1주간 일 평균 2만8973.9명), 해외유입 사례는 252명이 확인돼, 신규 확진자는 총 3만881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474만635명(해외유입 6만6967명)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6270명, 인천 1863명, 경기 8830명으로 수도권에서 1만6963명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발생했다. 그 외 지역별로는 부산 1417명, 대구 1452명, 광주 747명, 대전 816명, 울산 498명, 세종 233명, 강원 1080명, 충북 990명, 충남 1239명, 전북 988명, 전남 909명, 경북 1532명, 경남 1740명, 제주 251명 등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코로나19 병상 보유량은 전체 7553병상이다. 병상 가동률은 9월 28일 17
분자진단 전문기업 씨젠이 5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한다. 씨젠은 28일 공시를 통해 이사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씨젠은 29일부터 6개월 안에 이번 자사주 매입을 완료할 계획이다. 이로써 씨젠은 올해 3월부터 9월까지 500억원, 작년 3월부터 9월까지 300억원 등 최근 2년 동안 3번에 걸쳐 1,300억원에 달하는 자사주를 매입하게 됐다. 씨젠은 “최근 회사 가치에 비해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다고 판단해 주주가치 제고 차원에서 자사주 매입을 결정했다. 향후에도 시장 상황에 따라 배당, 자사주 활용 다양한 주주가치 제고 방안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씨젠 경영지원총괄 김범준 부사장은 “3사분기에는 코로나19의 재확산과 비코로나(Non-Covid) 제품의 꾸준한 판매 증가로 2사분기 대비 양호한 매출 흐름을 보이고 있어, 실적이 시장의 기대치에 부합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어 “유럽 등 주요 시장을 대상으로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신드로믹 검사가 가능한 완전 자동화 검사시스템인 ‘AIOS’의 설치를 확산시켜 나갈 계획이다. 또한 바이오라드와 협력해 내년 중 미국에서 1~2개의 진단시약 인가를 받을 수 있도록 준비하고,
보건의료는 다른 상품과는 다르게 생명과 직결된 서비스이고, 공공성을 띠고 있다. 모든 국민이 필요할 때 적합한 치료를 받을 수 있게 하려면, 공공의료가 살아나야 한다. 우리나라 의료체계는 대도시와 민간병원을 중심으로 발달돼 있다. 더 많은 자원이 투입되고, 더 많은 기회가 있는 곳에서 발전이 이뤄지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최근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주관한 두 개의 심포지엄을 연달아 들었다. 하나는 코로나19 시기 감염병 전담 병원으로 운영됐던 지역공공의료기관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내용이었고, 다른 하나는 지역 의료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책임의료기관들의 현장 사례에 대한 내용이었다. 지역 의료 협력체계 구축은 민간병원의 자원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을 마련하는 좋은 방법이지만, 결국 민간병원은 민간병원으로서의 한계가 있다고 생각한다. 공공의료를 실현하려면 공공의료기관의 역할과 역량이 중요하다. 하지만 민간병원 중심으로 발달한 우리나라에서 현재 공공의료기관의 역량은 부족한 상황이고 코로나19를 겪으며 상황은 더욱 어려워졌다. 우리나라 의료 수준은 세계적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세계적인 의료는 수도권과 일부 대도시에 한정돼 있다. 최근에는 서울의 한 상급
오미크론 등 코로나19의 변이 바이러스가 날이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는 만큼, 백신도 변이를 타겟할 수 있는 약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최근 모더나는 오미크론 BA.1에 대응할 수 있는 mRNA 2가 백신 ‘스파이크박스2주(성분명 엘라소메란, 이멜라소메란)’에 대해 국내 최초로 국가출하승인 소식을 알리며 코로나19 백신 접종의 새 패러다임을 제공할 전망이다. 모더나코리아(대표 손지영, 이하 모더나)는 28일 미디어 교육 세션을 개최하고 스파이크박스2주가 오미크론 및 BA.4, BA.5 변이에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 스파이크박스2주는 기존의 모더나 코로나19 백신인 스파이크박스25µg BA.1 변이를 표적하는 물질 25µg가 결합된 2가 백신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스파이크박스 기초 접종 후 3차 접종을 마친 18세 이상 성인 800여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2/3상을 통해 확보됐다. 이날 스파이크박스2주에 대해 소개한 김상혁 모더나코리아 의학부 이사는 “스파이크박스2주는 코로나 감염 이력과 무관하게 오미크론 변이에 대해 더 높은 중화항체가를 형성했다. 또한 모든 임상 참가자에서 접종 전보다 오미크론 중화항체가가 7.1배 증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민의힘 김미애 의원(부산 해운대을)은 28일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예방 및 관리와 예방접종자의 이력관리 등에 대한 정보를 해당 기관으로부터 수집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정비한 다음, 수집된 정보를 질병관리청이 분석 및 연구할 수 있도록 근거를 마련한다. 지난 2년 8개월간 코로나19 감염병이 장기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감염병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전국민을 대상으로 예방접종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코로나19 감염병이 개인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나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등 예방접종의 안전성에 대한 국내 분석이 부족한 실정이므로 국내 상황을 기반으로 한 감염병 및 예방접종 관련 연구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개정안에는 감염병 예방 및 관리를 위한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한 연구를 통해 감염병 방역체계를 수립하도록하는 내용을 담았다. 김미애 의원은 “코로나19 유행이 장기화 되는 상황에서 국민 생명과 건강을 지켜내는 보호장치이자 향후 감염병의 팬데믹을 대비하고 범국가적인 신속한 조치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제도”라며 개정
질병관리청은 호남권질병대응센터 제주출장소에서 유전체분석을 활용한 변이확인이 가능하도록 유전체분석 인프라를 구축해 제주도 내에서 유행하는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의 확인 및 분석이 가능하게 됐다고 28일 밝혔다. 신속한 변이감시를 위해 제주출장소 내에 전장유전체 분석을 위한 인프라 구축(분석장비 도입, 기술이전 등)을 추진했으며, 그 결과로 10월 1일부터는 자체적으로 유전체분석을 수행, 코로나-19 변이의 세부계통까지 확인이 가능하게 됐다. 질병관리청은 “이러한 호남권질병대응센터 제주출장소의 변이분석 역량강화로 내·외국인이 많이 방문하는 제주 지역의 신규변이 바이러스 유입 및 출현에 대한 신속한 확인과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정부가 가을ㆍ겨울철 코로나19 확진자 급증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해, 대면진료, 재택치료, 입원병상 및 취약시설 등 의료대응 체계 운영을 위한 건강보험 수가를 연장 지원한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28일 제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제2차관 이기일) 주재로 ‘코로나19 재유행 대비 건강보험 한시 지원 연장 계획’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연장될 건강보험 수가 항목을 살펴보면, 우선 원스톱 진료기관의 통합진료를 장려하기 위해, 검사·진료 및 약제처방까지 한번에 이루어질 경우 지급되는 통합진료료 수가를 당초 적용기간(7월 27일~9월 30일) 종료 이후 연장해 지원한다. 또한, 재택치료 의료상담센터의 야간ㆍ휴일 전화상담관리료(8월 1일~9월 30일), 자율입원에 따른 통합격리관리료(7월 22일~10월 21일) 역시 기간 종료 이후 연장할 예정이다. 한편, 의료서비스가 필요한 감염취약시설(노인ㆍ장애인ㆍ정신요양시설)에 방문진료를 실시하는 의료기동전담반 수가와, 요양병원 및 정신의료기관(폐쇄병동)의 감염예방 및 관리 활동을 수행함에 따른 감염예방관리 정책가산료 적용 기한(8월 1일~9월 30일) 역시 연장한다. 연장 기간은 ▲원스톱 진료기관 통
정부가 코로나19 지정병상이 10월 7일부터 5960병상 수준으로 감축한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28일 제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제2차관 이기일) 주재로 ‘코로나19 지정병상 조정 추진계획’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8월 중순 재유행 정점 이후 코로나19 확산세 및 병상가동률이 각각 8월 14일 사용 병상 3856개(가동률 54.4%)에서 9월 28일 사용 병상 1486개 및 가동률 20.0%로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어, 다가오는 계절성 독감 대응 등 유휴 병상을 일반환자 치료에 사용할 수 있도록 지정병상 수 조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감염병 상시대응병상(국가지정입원치료병상, 코로나-19 긴급치료병상) 및 거점전담병원을 중심으로 지정병상을 유지하면서, 특수병상(투석, 분만, 소아) 및 요양병원 입원 수요, 지역별 균형 등을 고려해 지정병상 조정을 추진한다. 앞서 정부는 그동안 7월 초 시작된 코로나19 재유행에 대응하기 위해 7월 20일부터 지정병상 재가동을 추진해, 7월 20일 5583개 수준이던 지정병상을 9월 28일 현재 7437개까지 확보해 운영해 왔다. 이번 병상 조정에서는 지정병상 외에도 확진자가 일반의료체계 내에
고려대학교의료원(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 김영훈)이 사회공헌을 통한 지역사회와의 본격적인 동행에 나섰다. 고려대의료원은 지난 23일 동대문구청 2층 다목적 강당에서 동대문구 14개동 취약계층 어르신들에 대한 의료지원을 시행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지원에는 사회공헌사업본부 박건우 본부장(안암병원 신경과 교수)과 안암병원 재활의학과 이상헌 교수, 신경과 유성욱 교수, 구로병원 이비인후과 송재준 교수 등이 참여해 현장을 찾은 어르신들의 건강을 살폈다. 또한, 대상자들의 신체상태 체크를 위해 혈액, 소변검사와 이동형 CT(컴퓨터단층촬영) 버스를 통한 각종 검사가 이뤄졌다. 이날 진료는 약 70명의 동대문구 거주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시행됐으며, 진료 후에는 ‘고려대 경제인회’에서 어르신들에게 점심 식사를 대접해 활동에 의미를 더했다. 현장을 찾은 한 어르신은 “그간 코로나19로 인한 외부 활동 제약으로 아픈 곳이 있어도 병원을 찾기 쉽지 않았는데, 이렇게 교수님들이 찾아오셔서 세심하게 살펴주시니 그저 감사할 따름이다”라고 말했다. 사회공헌사업본부 박건우 본부장은 “여건상 병원을 방문하기 어려운 어르신들이 상당수 계신다는 얘기를 전해 듣고 한달음에 오게 되었다. 도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원장 윤을식)이 최근 심심이㈜(대표 최정회)와 인공지능(AI) 챗봇 기반 우울증 디지털치료기기 개발을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 신기술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양 측은 고려대 의과대학 화정연구동에서 고려대 안암병원 박범진 연구부원장, 심심이㈜ 최정회 대표, 함병주 의학연구처장, 정신건강의학과 한규만 교수 등 주요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협약식을 진행했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과 심심이㈜는 이번 협약 체결을 계기로 AI 챗봇 기반 정신건강 통합관리 모델 구축, AI 기술 및 정신건강 의료 융합 연구 개발, 디지털치료기기 출시 관련 연구 등 동반 성장 및 발전을 위해 필요한 사업을 진행한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는 조울증, 불면증 디지털치료기기를 선도적으로 개발하며 국내 디지털 멘탈 헬스케어의 흐름을 주도해왔다고 평가받는다. 고려대학교의료원 의학연구처장을 맡고 있는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함병주 교수는 “우울증 전문가로서 오랫동안 환자를 치료해왔지만 짧은 진료 시간과 환자들을 자주 볼 수 없다는 한계가 있어 적정 진료에 어려운 점이 많았다”며 “이를 해결하는 방안으로서 우울증 디지털 치료기기를 주목했다”고 전했다. 이어 함병주 교
권역책임의료기관인 경북대병원은 지난 22일 ‘요양병원 감염관리 기술지원 전문가 양성과정’ 특화 교육을 개최했다고 28일 밝혔다. 코로나19 사태를 경험하면서 집단감염 발생과 중증 진행률·치명률이 높게 나타나는 고위험군인 요양병원의 감염관리 중요성이 부각됐다. 이에 경북대병원은 감염 취약시설인 요양병원의 감염관리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기술지원으로 요양병원 자체의 감염관리 역량을 높이기 위해 요양병원 특성에 맞는 감염관리 기술지원 전문가 양성 교육과정을 필수 보건의료사업의 일환으로 실시했다. 대구권역 책임의료기관인 경북대학교병원은 대구광역시, 칠곡경북대병원, 대구광역시 감염병관리지원단과 협업해 ‘요양병원 감염관리 기술지원 전문가 양성과정’ 특화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기술지원 시 참고 자료로 활용할 ‘대구·경북 요양병원 감염관리 현장 컨설팅 표준안(가제)’ 발간에도 함께 참여하고 있다. 이번 ‘요양병원 감염관리 기술지원 전문가 양성 특화과정’은 ▲컨설팅 절차와 매뉴얼 구성 ▲요양병원 특성 및 인증기준 ▲효과적인 컨설팅을 위한 의사소통 방법 ▲코로나19 대응 및 감염관리 ▲요양병원 감염관리 컨설팅 실습의 프로그램으로 진행했다. 경북대병원은 ‘요양병원 감염관리 기
일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전날보다 3000여 명이 감소한 3만6159명으로 집계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9월 28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375명, 사망자는 전일 대비 20명 증가한 46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만8318명(치명률 0.11%)이라고 밝혔다. 금일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325명(86.7%),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43명(93.5%)이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만5780명(최근 1주간 일 평균 2만9279.1명), 해외유입 사례는 379명이 확인돼, 신규 확진자는 총 3만6159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470만9789명(해외유입 6만6720명)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7122명, 인천 2089명, 경기 1만297명으로 수도권에서 1만9508명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했다. 그 외 지역별로는 부산 1621명, 대구 1667명, 광주 1020명, 대전 1014명, 울산 625명, 세종 299명, 강원 1313명, 충북 1202명, 충남 1483명, 전북 1180명, 전남 999명, 경북 2036명, 경남 1940명, 제주 235명 등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코로나19 병상 보유량은 전체 7
국내 생산이 어려워 100%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는 BCG 피내용 백신(국가예방접종사업 백신, 무료)이 코로나19 발생 이후 보건소에서 유효기간 경과로 인해 대부분 폐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보건소 업무 중단 등으로 BCG 피내용 백신 접종이 어렵게 되자, 접종자의 절반 가까운 영유아가 약 7~9만원 가량의 BCG 경피용 백신을 접종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최혜영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질병관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보건소 BCG 피내용 백신 폐기현황을 분석한 결과, 코로나 국내 발생 이전인 2019년은 907개에 불과했지만, 코로나 국내 발생 이후인 2020년 폐기량은 2019년보다 3.6배나 증가한 3254개, 2021년 폐기량은 2019년보다 5.4배나 증가한 4,965개나 폐기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금액으로 환산해보면 약 2억 1811만원이다. 폐기 사유별로 살펴보면, 유효기간 경과로 인한 폐기가 매년 90% 이상이었고(2019년 842개<92.8%>, 2020년 3,118개<95.8%>), 특히 지난 2021년에는 폐기 백신의 98.8%인 4,905개가 유효기간을 경과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폐기 이력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