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9,936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일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전날보다 줄어든 17만8574명으로 집계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8월 18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470명, 사망자는 전일 대비 19명 증가한 61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만5813명(치명률 0.12%)이라고 밝혔다. 금일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404명(86.0%),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56명(91.8%)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7만7941명(최근 1주간 일 평균 12만4985.4명), 해외유입 사례는 633명이 확인돼, 신규 확진자는 총 17만8574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186만1296명(해외유입 5만3537명)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2만8375명, 인천 9222명, 경기 4만2435명으로 수도권에서 8만32명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발생했다. 그 외 지역별로는 부산 1만1151명, 대구 9933명, 광주 6737명, 대전 6070명, 울산 4210명, 세종 1416명, 강원 5639명, 충북 6306명, 충남 8358명, 전북 6983명, 전남 7591명, 경북 1만125명, 경남 1만1631명, 제주 2357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것
최근 서울아산병원에서 근무 중인 간호사가 뇌출혈로 쓰러져 원내 입원했으나, 수술을 받지 못하고 다른 병원으로 전원됐으며, 전원된 병원에서 수술 후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서울아산병원은 우리나라 Big5 병원 중 하나이자 뇌출혈 등 머릿 속의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가 손상된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입원치료에 대한 평가에서 1등급을 받을 정도로 전문성을 보유한 병원이다. 그러나 우리들의 생각과 다르게 서울아산병원 내 뇌혈관외과 교수는 단 2명에 불과했으며, 각각 학회 참석을 위한 해외 출장과 지방 출장 등으로 사건 발생 당일 입원한 간호사에게 적합한 수술을 제 때에 진행할 수 없는 상황이 벌어졌다. 어째서 이런 일이 벌어진 것일까?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은 과연 서울아산병원에만 국한된 문제일까? 필수의료인 소아청소년과, 감염학과, 산부인과, 중환자의학과, 흉부외과 등의 의료진들은 우리나라의 필수의료 현 주소에 대해 모두 입을 모아 우리나라의 필수의료는 이미 붕괴가 진행되고 있음을 직시해야 한다고 외치고 있었다. 방재승 분당서울대병원 신경외과 교수는 기고문과 유튜브 등을 통해 “Big5 병원인 서울아산병원에서 뇌혈관외과 교수 2명이 1년 365일 퐁당퐁당 당직
2022년 상반기 매출 상위 30위를 기록한 제약사들의 연구개발비가 2020년, 2021년에 사용된 연구개발비 대비 확대되고 있는 모습이다. 전자공시를 통해 확인한 반기보고서 분석 결과, 상위 30개 제약사들은 이번 상반기 연구개발비로 8265억원을 투자했다. 이는 2021년 연간 연구개발비인 1조 6158억원의 51.2%, 2020년 연간 연구개발비인 1조 5529억원의 53.2%를 달성한 수치다. 상위 30개 제약사 중에서는 대웅제약이 가장 연구개발비가 가장 많았고 녹십자>유한양행>종근당>한미약품 순으로 연구개발비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웅제약은 매출 대비 비슷한 비율을 연구개발비에 투자하고 있다. 이번 상반기에는 매출의 16.6%인 940억원을 연구개발비로 사용했으며 이는 2021년 연구개발비의 53.5%, 2020년 연구개발비의 65%에 해당된다. 지난 해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펙수클루정’이 품목허가를 획득했으며 코로나19 치료제 ‘DWJ1248’이 한국에서 중증 임상3상에 대해 허가받았다. 녹십자의 상반기 연구개발비는 매출의 10.6%인 889억원으로 확인됐다. 상반기 연구개발비는 2021년 연구개발비 1723억원의 51.6%,
여름철 활동 증가로 인해 코로나19 감염이 재확산되고 있어 최근 일일 약 10만명 정도의 신규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의협이 코로나19 경구치료제 처방에 관한 권고안을 냈다. 대한의사협회 코로나19대책전문위원회는 17일 “오미크론 변이가 중증도가 낮다고는 하나, 전파력이 높고고령자 및 기저질환자에게는 여전히 치명적일 수 있어 코로나19를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고위험군의 코로나19 조기치료를 위한 경구 항바이러스 치료제인 팍스로비드 및 라게브리오 처방에 관한 권고안을 발표했다. 연령별 처방 기준은 이렇다. 80세 이상(치명률 2.42%)은 경미한 증상이라도 의심되면 모두 처방이 가능하다(높은 수준의 적극적 처방 권고). 70세 이상(치명률 0.57%)은 경미한 증상이라도 의심되면 가능한 모든 환자에게 처방 가능하다(중간 수준의 적극적 처방 권고). 또 60세 이상 (치명률 0.14%) 인 경우 증상이 있는 경우 처방을 하고(적극적 처방 권고), 50대 이상이면서 기저질환이 있거나 의미 있는 증상의 악화가 있으면 의사의 판단에 따라 처방을 권고한다. 약물 상호 작용에 대한 고려도 필요하다. 복용중인 약물을 단기간 중단 가능하다면 중단하고, 먹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대전지원(지원장 박한준, 이하 ‘대전지원’)은 17일 공주대학교 간호보건대학(학장 임달오)과 공주대에서 보건의료 빅데이터 융합 인재양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전했다. 이번 업무협약은 정부의 디지털 플랫폼정책에 따라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확대와 4차 산업혁명과 포스트코로나 등 급변하는 보건의료 환경에 대비해 지역대학과 상생협력으로 보건의료빅데이터의 활용도 제고와 보건의료인력 양성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협약 주요내용으로는 대전지원은 공주대 보건의료 관련 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보건의료빅데이터 및 개방플랫폼 교육 등을 통해 보건의료정보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공주대는 보건의료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헬스케어·AI 전문 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한 인프라 구축 및 교육 환경을 마련키로 했다. 대전지원은 2017년부터 보건의료빅데이터의 활용을 위한 교육과 정보를 지역대학 등에 꾸준히 제공해 왔으며, 공주대는 2020년부터 보건의료빅데이터 활용 등 보건의료빅데이터 산·학·관·연 연계 실습 및 코칭교육 등에 참여해 결속력 있는 협력관계를 유지해 왔다. 박한준 대전지원장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보건의료 빅데이터 분석활용 분야에 필요한 전문적인 인
KMI한국의학연구소(이사장 이상호, 이하 KMI)는 수원시 건강 취약가정의 건강한 여름나기를 지원하기 위해 3000만원 상당의 김치를 후원한다고 17일 밝혔다. 지난 16일 수원시청에서 진행된 기부금 전달식에는 이재준 수원특례시장, 김순이 KMI 명예이사장(사회공헌위원장), 이재영 KMI 전무이사, 김상묵 KMI 수원검진센터장, 윤선희 KMI 사회공헌위원회 이사, 김선경 경기사회복지공동모금회 팀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수원시는 KMI의 기부금으로 포기김치를 구매해 건강 취약가정(방문간호, 치매사례관리 가정) 총 1363가구(가구당 5Kg)에 전달할 예정이다. 이재준 시장은 “KMI의 후원이 무더위와 코로나19로 힘든 여름을 보내는 건강 취약가정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꾸준히 나눔을 실천해주시는 KMI 관계자분들께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KMI는 지난해에도 취약계층 지원을 위해 수원시에 2000만원을 기부한 바 있다. 당시 수원시는 KMI의 기부금으로 포기김치와 백미를 구매해 방문간호 대상 어르신 774가구와 수원보훈회관에 전달했다. 김순이 KMI 명예이사장은 “건강 취약가정이 무더위를 잘 이겨내길 바라는 마음을 담아 기부금을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의료·산업용 영상솔루션(Imaging Solution) 전문기업 뷰웍스(대표 김후식)가 2022년 2/4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3.1% 증가한 610억원이라고 16일 공시했다. 이는 뷰웍스 창사이래 최대 분기 실적이다. 영업이익 또한 분기 영업이익으로 최대인 156억을 달성해 이 역시 전년 동기 대비 56.1% 성장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악화된 경기 여건 속에서 이러한 사상 최대 실적을 일구어 낸 배경에는 최고의 기술력을 보유한 연구 인력과 이를 지원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를 손꼽을 수 있다. 뷰웍스는 2012년 정지영상 엑스레이 디텍터의 성공 이후 불확실한 글로벌 경제 상황 속에서도 지난 10년간 총 매출액의 11.2%인 1,276억을 연구개발에 지속적으로 투자해 왔다. 이런 대단위 투자로 신기술, 신제품, 솔루션 사업에서 막대한 성과를 달성하고 있으며 이는 글로벌 시장의 성장과 함께 지속되고 배가될 것이다. 주력 제품인 정지영상 엑스레이 디텍터는 지속적인 라인업 추가와 해외 시장 확대로 시장 평균 성장율의 2배 이상인 12.6%의 매출증가를 달성했으며, 이번 2/4분기에서도 전년 동기 대비 14.4% 성장한 분기 최대 256억의 매출
8월 20일부터 약 6주간 주말 당직 병상이 지정·운영된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17일 제2총괄조정관(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 김성호) 주재로 ‘수도권 중증병상 주말 당직병원 운영방안’ 등을 논의했다. 정부는 의료기관에 안내와 협조를 거쳐 주말에도 고위험 산모, 영유아, 중증 기저질환자 등에 대한 신속한 병상 배정이 이루어지도록 ‘수도권 중증병상 주말 당직병원’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 내 코로나19 지정병상을 운영 중인 상급종합병원 17개 및 국립중앙의료원 중 3개 병원(6개 병상)을 주말 당직 병상으로 지정하고, ▲중환자실 집중치료가 필요한 환자 ▲응급수술 필요 환자 ▲산모·영유아 등을 우선적으로 의뢰할 예정이다. 운영 기간은 8월 20일부터 9월 25일까지 약 6주간 운영되며, 코로나19 유행 상황에 따라 연장 여부를 검토한다. 이외에도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지자체와 함께 이재민 보호소 내 감염이 확산되지 않도록 방역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보호소에 마스크와 자가진단키트 등 방역물품을 지원하고 주기적인 시설 소독·환기를 실시하며, 확진자 발생 시 즉시 인근 민간 숙박시설 등으로 이송·격리하고, 고위험군의 경우 증
-- 세계 선도적인 신속 진단키트 제조사의 하나인 JOYSBIO, 15분 이내에 결과를 제공하는 신규 원숭이두창 검사키트 2종 개발 (톈진, 중국 2022년 8월 17일 PRNewswire=모던뉴스) 세계 선도적인 감염성 질병 신속 간이 진단키트 제조사 중 하나인 JOYSBIO가 원숭이두창 진단키트 2종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두 제품 모두 15분 이내에 검사 결과를 제공한다. 최근 JOYSBIO는 원숭이두창 신속항원 검사와 원숭이두창 IgM/IgG 항체 신속 검사 제품을 출시했다. 두 제품 모두 CE-IVD 마크를 획득했다. 항원 검사는 인간 혈청, 혈장, 전체 혈액, 인후 면봉 또는 병변 삼출물 표본으로 검사를 진행함으로써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항원이 있는지를 파악한다. IgM/IgG 항체 검사는 혈액 몇 방울을 이용해 원숭이두창 감염 후 신체 내에 항체가 형성됐는지를 파악한다. 두 검사 모두 현재 유럽에서 임상 평가 중이며, 감염 환자를 대상으로 믿을 만한 결과를 제공했다. 추가 정보는 웹사이트 https://en.joysbio.com/monkeypox-rapid-test-kit/를 참조한다. JOYSBIO 사업 개발 이사 Rick Zhang은 "원숭이두
“기만적 공공기관 혁신 가이드라인을 폐기하라!”“공공의료, 보건의료인력을 확충하라!”“사회적약속 9.2 노정합의를 이행하라!” 보건의료노조가 17일 이 같이 외치며, 공공기관 혁신 가이드라인 폐지 등 공공보건의료 확충 이행을 촉구했다. 보건의료노조는 지난 7월 29일 윤석열 정부는 공공기관을 혁신한다면서 가이드라인을 발표했으나, 지침의 내용은 기획재정부의 낡은 캐비넷 속에 넣어 두었던 것을 그대로 꺼내온 것에 불과했다고 비판했다. 공공기관 노동자를 쥐어짜고 공공기관의 기능을 이리저리 잘라내기 위한 내용으로 이뤄져 있었다는 것이다. 특히 보건의료노조는 “현장에 도달한 기재부의 지침은 스스로 기능과 조직을 축소할 계획을 마련해 보고하라는 것이었다”라면서 “8월 한 달만에 스스로 잘라낼 계획을 올리면 기재부 혁신TF는 이를 평가해 더 잘라낼 수 있는데 왜 이것밖에 올리지 않았냐고 윽박지르겠다는 시간표도 버젓이 내놓았다”라고 꼬집었다. 또한, 보건의료노조는 여전히 코로나19 대응은 물론 지역의 취약한 의료를 위해 헌신해 온 국립대병원, 특수목적공공병원, 지방의료원 같은 공공기관은 매번 기재부와 지자체에 의해 인력증원의 요구가 지금껏 묵살되고 있는 것에 대해 질타했다
우리나라에서 무릎인공관절 수술 시 이뤄지는 수혈률은 2018년 기준 75.5%로 미국(8%), 영국(7.5%), 호주(14%) 등 외국의 수혈률과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치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순천향대 서울병원 정형외과 노재휘 교수팀(서유성, 최형석, 장병웅, 무수혈 및 환자혈액관리센터 이정재, 정하란)이 2012년부터 2018년까지 국민국민건강보험공단-국가샘플코호트(NHIS-NSC)의 전국적 데이터 자료를 통해 5만553건의 무릎인공관절 수술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팀은 ▲무릎인공관절 전치환술▲무릎인공관절 부분치환술▲재치환술 등 3개 범주에 포함된 5만여 건의 수술을 확인해 전체 수혈률, 수혈 횟수, 수술 제제별 비용 등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 평균 수혈률은 75.5%이며, 수혈 제제별 비율은 각각 ▲신선동결혈장 1.8% ▲혈소판 0.5% ▲적혈구 97.7% 등으로 집계됐다. 연도별 수혈률은 2012년 83.4%, 2013년 82.7%, 2014년 79.6%, 2015년 75.9%, 2016년 73.1%, 2017년 68.2%, 2018년 64.6% 순으로 지속 감소하고 있으나 여전히 60% 이상을 기록하고 있었다.
대한병원협회가 주최하는 ‘국제병원의료산업박람회(K-HOSPITAL FAIR 2022)’가 ‘디지털 헬스케어 시대, 의료 패러다임의 변화’를 주제로 9월 29일부터 10월 1일까지 코엑스에서 개최된다. 이번 박람회는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의료분야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이 같은 특별전 형태로 기획됐으며, 코엑스C·D 총 2개홀에서 개최돼 전년도보다 확장된 규모로 진행된다, 행사는 ‘스마트 병원 특별전’, ‘SaMD 특별전’, ‘병원 의료정보 특별전’ 등 최근 의료산업의 주요 키워드들을 집중 조명해 의료 산업 핵심 기술력을 살펴볼 수 있는 행사로 진행될 예정이다. 행사별로 살펴보면 ‘스마트병원 특별전’은 ‘스마트병원 선도모델 개발 지원사업’을 통해 개발 및 구축된 ▲원격중환자실 ▲병원 내 자원관리 ▲병원 내 환자 안전관리 ▲지능형 업무지원 등 다양한 스마트병원 선도모델을 전시함으로서 실제 운영되고 있는 스마트병원의 모습을 경험할 수 있도록 했다. ‘스마트병원’은 병원의 디지털 전환을 통해 의료서비스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향상시켜, 의료의 적시성과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 등 환자경험을 극대화하는 병원을 말한다. 또한, 이번 K-HOSPITAL에서는 실제 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오는 18일 MSD의 먹는 코로나19 치료제(라게브리오) 5만 명분이 국내에 도입된다고 17일 밝혔다. 라게브리오의 총 계약 물량은 24만2000명분으로, 현재까지 10만 명분이 국내에 도입됐으며, 금번 도입 물량을 포함하면 국내 도입 물량은 총 15만 명분으로 늘어난다. 한편, 현재 도입된 10만 명분 중 4만 명분이 사용됐으며, 남은 재고량은 지난 15일 기준 6만 명분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팍스로비드의 복용이 제한되거나 금기되는 환자들에게 대체 약제인 라게브리오의 처방을 적극 고려해 줄 것”을 당부했다.
일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전날 대비 약 10만여 명이 늘어난 18만803명으로 집계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8월 17일 0시 기준으로 재원 중인 위중증 환자는 전일 대비 94명 감소한 469명, 사망자는 42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만5752명(치명률 0.12%)이라고 밝혔다. 금일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419명(89.3%),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38명(90.5%)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8만236명(최근 1주간 일 평균 11만9099.6명), 해외유입 사례는 567명이 확인돼, 신규 확진자는 총 18만803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168만2816명(해외유입 5만2909명)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3만2523명, 인천 9113명, 경기 4만5964명으로 수도권에서 8만7600명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발생했다. 그 외 지역별로는 부산 1만3082명, 대구 8728명, 광주 5521명, 대전 6177명, 울산 3877명, 세종 1548명, 강원 5176명, 충북 5726명, 충남 7542명, 전북 6291명, 전남 7509명, 경북 7550명, 경남 1만2723명, 제주 1783명 등이 코로나1
코로나19 대유행으로 드러난 감염병 진료체계 문제점 개선을 위해 취약 계층이나 지역에 초점을 맞추는 공공보건의료가 아닌, 필수보건의료의 보편적 보장이라는 관점으로 공공보건의료 개념을 재구성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지원센터 임준 센터장은 최근 의료기관평가인증원이 발간한 ‘환자안전과 의료질 제7권 1호’ 기고를 통해 코로나19 유행의 지속과 한국보건의료체계의 대응과제에 대한 생각을 밝혔다. 임 센터장은 ▲필수보건의료의 보편적 보장이라는 패러다임 개혁과 함께 ▲시설 중심성을 탈피하고 재가 돌봄 및 예방급여 등에 강조점을 두는 지역사회 패러다임에 기초한 변화 ▲보건의료전문가 중심성에서 탈피한 사람 중심성, 사회구성원 중심성을 구현하는 방향으로 개혁 ▲잔여적 시각에서 비례적 보편주의 시각으로 보건의료 패러다임 전환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단기 개편 과제 보건의료체계 전체가 공공적 역할을 하지 않으면 코로나19 대유행의 대응도, 현재 벌어지고 있는 각종 병리 현상들의 해소도 어려울 수밖에 없다. 보건의료체계의 공공성 확보를 위해서는 필수적인 보건의료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면서 민간병원과 협력체계를 구축해 시스템 차원의 공공성을 구현할 수
코로나19 백신 이상반응에 ‘이상자궁출혈’이 추가됐다.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는 16일 제15차 보상위원회를 열고 지난 11일 코로나19 백신안전성위원회가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른 관련성 의심 질환 변경(안)을 심의했다고 밝혔다. 보상위원회는 심의를 거쳐 빈발월경과 과다출혈월경 등의 이상자궁출혈을 ‘관련성 의심 질환’ 지원 대상이 되는 질환으로 추가하는 것으로 의결했다. 이는 안전성위원회가 지난 11일 국내·외 이상반응 사례, 자료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빈발월경 및 출혈 관련 이상자궁출혈 발생 위험이 대조구간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고 인과성 인정의 가능성을 수용할 수준이라고 발표함에 따른 후속 조치다.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지원센터는 대상자에게 관련성 의심 질환 지원사업을 통해 의료비(1인당 최대 5000만원) 등을 지원하고, 기존 피해보상 신청자는 대상자 파악 후 추후 개별 안내할 예정이다. 아울러 이상반응 신고만으로 지원절차가 진행되지 않으므로 피접종자(또는 보호자)가 의무기록 등 개인서류를 구비해 관할 보건소로 보상신청을 해야 심의를 통해 지원사업 대상자로 확정됨을 강조했다. 다만,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아닌 다른 원인이 밝혀지거
빌&멜린다 게이츠 재단과의 글로벌 보건 분야 협력을 강화한다. 보건복지부와 외교부는 16일 빌게이츠 공동의장 방한 계기, 빌&멜린다 게이츠 재단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했고 밝혔다. 게이츠 재단은 ‘감염병혁신연합’(CEPI) 및 ‘글로벌펀드’ 등 글로벌 보건기구의 가장 큰 민간 공여기관으로 보건복지부와의 국제보건기술연구기금(RIGHT Fund)의 공동 자금 출연뿐 아니라 SK바이오사이언스의 국산 1호 코로나19 백신 개발 지원 등을 통해 긴밀한 민관 협력관계를 유지해 왔다. 이번 양해각서를 통한 주요 협력분야를 살펴보면, 먼저 국제보건기술연구기금 등 민간·공공 파트너십을 강화해 국제보건 분야에서 한국과 게이츠 재단의 주도적인 역할을 강화한다. 또한, 국제사회의 코로나19 대응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한 ▲글로벌펀드 ▲감염병혁신연합(CEPI) ▲세계백신면역연합’(GAVI) 등 보건기구와의 파트너십을 확대하며, 공적개발원조(ODA) 정책에서 다자보건협력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는 한편, 해당 기관 간 지식과 인적 교류를 증진한다.아울러 한국의 ‘글로벌바이오인력양성허브’ 지정 등과 연계해 중저소득 국가의 바이오 인력 역량 강화를 위해 노력한다. 우리나라
- 코로나바이러스주요프로테아제(Mpro) 저분자억제제후보물질(FB2001)에대한 1상시험결과발표…코로나바이러스에대한급성및장기치료의토대마련 - FB2001,전반적으로안전하고내약성우수…중국인및미국인집단간유의한차이없어 - 마우스모델의폐와뇌에서코로나바이러스의바이러스양유의하게감소시켜 (애틀랜타 2022년 8월16일 PRNewswire=모던뉴스) 환자건강개선을위한혁신의약품의발견, 개발및보급에집중하는생물약제기업프론티어바이오테크놀로지(Frontier Biotechnologies)가건강한성인지원자를대상으로진행한코로나바이러스주요프로테아제(Mpro)저분자억제제신약후보 FB2001의 1상임상시험에서나온긍정적인결과를발표했다. 제11회신종감염병국제회의(ICEI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포스터세션에서발표된이번데이터에따르면, FB2001은시험참가자사이에서높은내약성과안전성을보였다. 보고된이상반응의대부분은경증이거나중등도에머물렀고, 중국과미국연구센터참가자사이에유의한차이는관찰되지않았다. 프론티어바이오테크놀로지의 CEO CJ 왕(CJ Wang)은 "FB2001 1상시험에서나온긍정적인결과에만족하며, 이는자사와의학계
“간호사가 대한민국을 간호하겠습니다.” 대한간호협회(회장 신경림)가 광복절을 기점으로 ‘간호사가 대한민국을 간호하겠습니다’를 캐츠프레이즈로 캠페인에 돌입한다. 이번 캠페인은 지하철 조명광고, 신문, 라디오, 공연 등 전방위적으로 전개된다. 이번 캠페인은 일제강점기 나라를 구하고자 앞장선 독립운동가 간호사 74인부터 한국 경제발전의 기폭제 역할을 했던 파독간호사와 재난 상황을 불러온 감염병 위기에 적극 대응하며 대한민국을 간호해온 간호사들의 헌신을 재조명하기 위해 마련됐다. 간호협회는 캠페인 전개를 위해 1차로 9호선 국회의사당역 내에 ‘대한을 지켜온 간호사, 국민이 지켜줄 간호사’를 내용으로 한 특대형 조명광고(1곳)를 비롯해 소형 조명광고(2곳) 등을 연이어 설치했다. 조명광고에는 “간호사의 사명으로 독립운동을 외치다”라는 문구를 넣어 국가 위기마다 주저하지 않고 나섰던 간호사의 모습을 담았다. 조명광고에 이어 주요 일간지에도 조명광고 이미지를 그대로 실어, 독립운동에 나섰던 간호사의 모습을 국민들에게 알렸다. 또 2차로는 이달 말부터 방송 광고를 진행한다. 공익캠페인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방송 광고는 ‘대한민국을 간호한 간호사들’을 주제로 대한민국을 간호했
코로나19 대응 의료진의 30%에서 우울과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을 호소하는 등 정신건강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조사되는 등 최근 코로나19의 재유행으로 관련 업무 종사자의 업무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 보건복지부는 국가트라우마센터 및 권역별트라우마센터와 함께 코로나19 대응인력(의료진, 소방, 심리지원업무, 행정업무 등)을 대상으로 소진관리프로그램 ‘마음쉼표’를 9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집중 운영한다고 16일 밝혔다. ‘소진관리 프로그램’은 재난 대응인력이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을 예방‧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2020년 6월부터 국가트라우마센터에서 운영해 오고 있다. 소진관리 프로그램 ‘마음쉼표’는 국가트라우마센터 및 권역별트라우마센터에서 진행되며, 코로나19 대응인력이면 누구나 개인 또는 단체에서 신청이 가능하다. 프로그램은 무료로 제공된다. 개인이 신청할 경우 기본프로그램(마음건강평가, 소진관리교육, 소진관리집단상담)과, 본인의 희망에 따른 선택프로그램(치유요가, 숲치료, 사이코드라마 등)에 참여할 수 있다. 또한, 단체나 기관에서 신청할 경우 찾아가는 소진관리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때에는 기본프로그램(마음건강평가, 소진관리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