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83,516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식품이 암 치료에 효과적이라는 등의 질병 치료를 광고하는 것은 불법이므로 소비자들은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 효과가 있다고 광고하는 식품은 구입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14년에 식품의 허위과대광고로 적발된 505건을 분석한 결과, 404건(80%)이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효과가 있다고 허위과대광고를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고 밝혔다.주요 허위·과대광고 유형은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효과 광고(80%) ▲체험기를 이용한 광고(8.3%) ▲건강기능식품에 대해 식약처가 인정한 기능성 이외의 광고 10건(2.0%) ▲광고 심의를 받지 않고 광고 9건(1.8%) ▲공식적으로 인증을 받지 않고도 인증을 받았다는 광고 6건(1.2%) 등이다.주요 허위‧과대광고 사례는 쑤시고 뼈아픈 관절에 좋다는 ‘질병치료’, 남성 정력을 돋운다는 ‘성기능 개선’, 쉽게 살을 뺀다는 ‘다이어트’, 암에 특효인 ‘암 치료’, 성장기 아이들에게 좋은 ‘키성장’, 모유수유에 효과가 있는 ‘특정성분 지칭’ 등이 대표적으로 나타났다. 식약처 관계자는 "식품을 판매하면서 질병 치료 또는 예방을 표방하거나 식품을 의약품으로 오인하게 하는 허위·과대광고에 현혹되어
한국 머크(대표이사: 미하엘 그룬트 박사)는 주한유럽연합대표부와 주한유럽상공회의소가 주최하고 유럽 각국 대사관, 유럽계 기업들이 후원하는 ‘유럽연합 연구 & 혁신의 날 – 행사에서 스마트 시티에 대한 기업의 시각(EU Research & Innovation Day – Business Views on Smart Cities)을 공유하는 컨퍼런스에 참가, 머크의 혁신사례를 소개했다. 이번 포럼은 유럽집행위원회 연구혁신총국과 EU 회원국 및 기업이 참여해 연구혁신(R&I)정책 및 한국과의 협력 성공사례를 공유하는 자리로서, 한-EU 연구혁신협력에 대한 이해 증진을 도모하고 현재 및 미래 파트너와의 폭넓은 교류 기회를 제공했다. 정부, 기업, 유럽연합 각국 대사관, 펀딩 기구, 연구 기관, 대학, 교육 기관, NGO 등에서 300여 명이 참석한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한- EU 연구협력사업 계획과 소개 그리고, 유럽연합 회원국의 혁신사례를 발표했다.이후 ‘스마트 시티에 대한 기업의 시각’이란 주제로 안달루시아 스마트 시티 우수사례 발표와 에너지, 모빌리티, 정보통신 기술 - 3분야에 걸쳐 사례소개와 패널 토론을 가졌다. 그룬트 대표는 정보통신기술
지난 20일은 대한의사협회 39대 회장 선거 개표일 이었다. 오후 7시에 시작된 개표는 오후 11시를 조금 넘어 끝났다. 개표자도 참관자도 도란도란 이야기 꽃을 피운다. 4개의 우편투표함이 개봉될 때 마다 미소를 머금는다. 4시간 조금 넘는 시간 동안 축제의 장이 열린 듯하다. 개표 결과가 발표되고, 회장 당선자는 당선증을 받았다. 축제는 끝났다. 이제는 비용을 지불할 시간이다. 의협 39대 회장 선거 마감 결과 유권자 44,414명 중 13,780명이 투표하여 31.0%의 투표율을 보였다. 38대 보궐 선거 당시 투표율을 제외하면 직선제로 치룬 선거 중 가장 낮은 투표율이다. 그동안 직선제로 치룬 역대 투표율을 보면 32대 60.8%, 33대 43.8%, 34대 53.9%, 35대 50.3%, 36대 42.3%였다.낮은 투표율을 어떻게 보아야 하나? 의료계 인사들은 어떻게 생각하나? 이들의 진단은 대체적으로 ▲실망감 ▲피로감 ▲무력감에 무게를 싫었다. 의사협회장의 얼굴에 계란을 명중시켜 유명세를 탔던 회장 당선자. 회장 당선자의 회원자격 박탈이라는 초유의 사태를 발생시킨 의협 윤리위원회. 의료계 총파업을 앞두고 파업에 반대한 의장. 회원투표제를 강행 추진한
최근 낮 기온이 10도 이상으로 올라가는 등 완연한 봄이 찾아왔다. 하지만 아침 저녁으로는 아직 쌀쌀한 환절기가 계속되면서 감기에 걸리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환절기에 감기 환자가 늘어나는 이유는 큰 기온 차에 몸이 적응하지 못해 신체 리듬이 불균형해지면서 면역력이 평상시보다 떨어지기 때문이다. 감기와 같은 환절기 질환을 예방하려면 면역 기능을 높여주는 비타민C를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비타민C는 콜라겐 생성을 촉진시켜 노화를 방지해 주고, 체내 활성산소 제거와 항히스타민 효과를 통해 감기 등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을 강화해 준다. 하지만 사람은 비타민C를 체내에서 스스로 생산할 수 없기 때문에 음식물 섭취를 통한 보충이 필수적이다. 사과, 레몬, 오렌지, 딸기, 고추, 양파 등을 충분히 섭취하면 비타민C를 적절히 보충할 수 있지만, 충분한 양의 과일이나 채소의 섭취가 어려운 경우 비타민C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LG생명과학의 ‘리튠 비타민C 1000’은 산성인 비타민C에 알카리성인 칼슘을 결합해 산도(pH)를 중성화시킨 프리미엄 비타민C 건강기능식품이다.‘리튠 비타민C 1000’에는 프리미엄 비타민C가 1일 권장 섭취 기준 대비 1000%
한약이 급성간부전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하는 의학논문과 보건복지부 설명자료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한약을 복용한 환자가 급성간부전으로 사망한 책임이 한의사에게 있다는 대법원 판결로 한약의 부작용에 대한 의료계와 한의계간 공방이 치열한 상황이어서 이러한 내용이 더욱 주목된다.급성간부전은 기존에 간질환이 없던 사람의 간 기능이 급격한 악화되어 26주 이내에 의식 변화(뇌증)와 혈액 응고 장애가 발생한 경우를 말한다.최근 대법원 2부는 접촉성 피부염으로 한의원에서 한약과 침뜸 치료를 받던 19세 여성 환자가 급성간부전으로 사망한 사건과 관련해 해당 한의사에게 간독성 설명의무 위반, 상급병원 전원 등의 주의 의무를 다하지 않은 책임이 있다며 유족에게 2억 6천만원을 배상하라는 원심을 확정했다.이전부터 한약이 간 기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는 논란이 끊임없이 제기되던 중에 이번 판결로 인해 “간 손상을 일으키는 한약을 함부로 먹어서는 안된다”는 의료계의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는 상황.반면, 한의계는 환자의 사망과 한약이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며 한약이 간 기능 저하를 일으킨다는 주장 역시 타당한 근거가 없다는 입장이다.대한한의사협회는 지난
국산 신약 및 바이오 시밀러의 수출이 확대되면서 2월 의약품 수출액이 1억8000만달러 가량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신한금융투자 배기달 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2월 의약품 수출액은 전년 동월 대비 52.3% 증가한 1억7677만달러로 사상 최대"라며 "국내 업체의 역량 향상으로 국산 신약 및 바이오 시밀러의 수출이 확대되고 있다"고 밝혔다.1월과 2월 누적 수출은 헝가리로 7190만달러를 기록했으며 터기 4120만달러, 일본 3880만달러, 중국 2160만달러, 베트남 1700만달러 등이다.배 연구원은 "제대로 된 약을 만들기 위해서는 R&D 투자가 뒷받침되어야 한다"며 "2004년 제약 상위 7대 업체의 합산 R&D 투자금액은 매출액의 7.7%인 1514억원에 불과했다"고 지적했다.그는 "지난해에는 한미약품이 1500억원 이상을 R&D에 투자하는 등 상위 7대 업체의 합산 R&D 투자금액은 매출액의 12.4%인 6100억원 수준"이라며 "상위 7대 업체의 합산 영업이익이 3688억원임을 감안하면 공격적인 R&D 투자"라고 밝혔다.배 연구원은 "R&D 투자가 신약 성과와 수출 확대로 나타나고 있는 제약/바이오 업종에 대해 투자의견 '비중확대'를 유지한다"
서울대학교병원은 이비인후과 하정훈 교수팀이 갑상설관낭종을 수술하는 기존의 시스트렁크(Sistrunk) 수술법을 개량하여, 우수한 효과를 입증했다고 23일 밝혔다. 갑상설관낭종은 목에 생기는 가장 흔한 물혹 중 하나다. 증상이 없으면, 그냥 둬도 되지만, 염증이 반복되거나 미용적으로 나쁘면 수술로 제거할 수 있다. 갑상설관낭종만 제거하면 재발률이 높기 때문에 설골(舌骨)의 중간 부분을 자르는 시스트렁크 수술이 널리 시행되어 왔다.설골은 혀뿌리에 붙어 있는 U자 모양의 작은 뼈다. 세 조각의 뼈가 가로로 이어져 있고, 각 뼈 사이에는 연골로 연결되어 있다. 나이가 들면서 연골이 뼈로 변화(골화, 骨化)하여 한 덩어리의 뼈로 된다. 하정훈 교수팀은 뼈를 자르지 않고, 연골 부위에서 가운데 뼈를 분리하여 설골 중앙부를 제거하는 새 수술법을 적용했다. 15세 미만 소아에서는 96% (27명 중 26명)가, 성인에서는 59%(32명 중 19명)가 골화가 완전하지 않아, 새 수술법을 적용할 수 있었다. 그 결과, 기존 수술법(시스트렁크 수술)에서는 배액관 삽입 빈도가 평균 66.7%였으나, 새 수술법에서는 45%(성인), 19%(소아)로 줄었다.배액관을 삽입했더라도 기존
대한의학회(회장 이윤성)와 부채표 가송재단(이사장 동화약품 윤도준 회장)은 지난 3월 24일 밀레니엄 힐튼 호텔에서 열린 대한의학회 2015년 정기총회에서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과 양동원 교수에게 제 6회 가송의학상을 수여했다고 밝혔다. 양동원 교수는 ‘Abnormal integrity of corticocortical tracts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A diffusion tensor imaging study, JOU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ume:23 Issue: 3 Pages: 477-483 Published: JUN 2008’ 논문의 책임 저자로서 수상하게 되었다. 가송의학상은 2009년 처음 제정되었으며, 국내 학자들의 세계적인 연구 업적을 국내 학술지에 투고하는 것을 장려하고 이를 통한 한국의학 학술지의 국제화를 견인하기 위해 대한의학회와 부채표 가송재단이 공동으로 제정했다. 지난 10년간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JKMS)에 게재된 논문 중에서 피인용 횟수와 그 학술지를 인용한 SCI 학술지의 영향력지수(Impact Factor)를 종합
“39대 회장 선거 기간 동안 지역을 돌면서 느낀 점은 회원들의 표심은 안정 속에 개혁을 원한다는 것이었습니다.”재신임 받은 추무진 회장은 25일 의협회관 3층에서 기자회견을 가졌다. 추무진 회장은 초심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먼저 5대 공약을 실천한다. 원격의료 등 보건의료 기요틴 저지를 위해 노력한다. 4월 국회에서 부당성 이슈화를 위한 공청회를 준비한다. 노인정액제 등 2차 의정합의 내용의 조속한 진행이 이뤄지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한다. 노인정액제, 진찰료 수가 현실화, 리베이트 쌍벌제 행정처분 등이 2차 의정합의 내용이다.추무진 회장은 “(쌍벌제로 행정처분 받은 회원은) 개인적 충격을 드러내진 못하고 있다. 그렇지만 한분한분 개인적으로 호소하는 목소리를 들었다. 협회도 법적으로 노력을 하고 있지만, 가슴이 아프다”고 말했다.전공의 인권 특히 여자전공의의 인권과 모성보호가 지켜지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추무진 회장은 “전공의의 인권이 지켜져야 환자의 안전도 보호된다. 이 두가지 추구하는 바가 명칭에도 반영되도록 정부 국회 등을 설득, 법으로 반영되도록 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정관개정을 통한 개혁의 완성에도 강한의지를 보였다.추무진 회장은 “최근
가톨릭대학교 외과학교실이 영성과 비전을 담은 새 앰블럼을 제작·발표했다.지난 1월 개혁의 신호탄을 쏘아 올린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주임교수 박조현)이 혁신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최근 엠블럼을 제작, 발표하며 외과학교실의 비전과 발전방안을 구체화했다. 이는 지난 1월 ‘생명존중의 영성 실천을 위한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비전선포식’을 개최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과정을 변경하는 등 변화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과 흐름을 함께한다는 설명이다. 이번에 공개된 엠블럼은 상지대학교 하용훈 교수(예술체육대학장)의 재능기부로 제작되었다. 하 교수는 서울성모병원 외과 송교영 교수와 환자로 인연을 맺으며 외과학교실의 혁신 작업에 힘을 보탰다. 엠블럼은 생명의 완성을 향한 외과학교실의 특성과 이미지를 현대적 시각으로 해석해냈다. 근원, 주우, 완성체 나아가서 인간과 의술의 목표를 표현하는 ‘원형’과 행위의 완성 수와 외과의 수술을 의미하는 ‘아홉 개의 선’으로 구성되었다. 이 ‘아홉 개의 선’을 통해 형성된 ‘다섯 개의 면적’은 외과의 수술을 통해 이뤄진 형태의 복원을 의미하며 전체적으로는 가톨릭 영성을 담을 수 있는 스테인드글라스 형식으로 만들어졌다. 외과는
한국응용약물학회(회장 정재훈)가 오는 4월10일 건국대학교 새천년관에서 한국제약협회와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ADHD 리서치센터 등의 후원으로 개최하는 2015년 춘계학술대회를 개최한다. 27일 사전등록신청 마감을 앞둔 이번 학술대회가 발달 장애 치료를 위한 국산 신약의 개발과 관련 연구의 발전을 앞당기는 것은 물론 미래 청소년들의 건강증진에 기여할 것이란 전망이다.학술대회는 ‘신경발달장애의 치료를 위한 신약개발 : 실무적 관점에서 본 기회와 도전’을 주제로 열린다. ▲뇌 발달 장애의 미래 ▲ADHD(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위험인자 및 치료를 위한 새로운 표적 ▲기초과학에 의거한 새로운 단서 ▲오픈 이노베이션과 파이프라인 등 총 4가지 프로그램으로 나눠 진행된다. 국내 대학의 김붕년(서울대)·신찬영(건국대) 교수 등과 미국 존스홉킨스대 조셉 브레슬러 교수, 광주과학기술원(GIST) 송미령 교수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의 김대수·저스틴 리 교수와 김은준 연구단장, 서울뇌과학연구소 유한익 박사와 류은영 변리사 등이 연자로 나선다. 정재훈 응용약물학회장은 “이번 학술대회에서 국내·외 저명 학자들이ADHD, 자폐증 등과 같은 발달장애의 치료를 위한 최신 동향
삼성서울병원(원장 송재훈)은 바이오-의료 중개지원센터(BMCC, 센터장 방사익)가 오는 4월 1일 암병원 지하 2층 세미나실 3번방에서 ‘병원과 스마트하게 협업하라’라는 주제로 BMCC 사업설명회를 개최한다. 삼성서울병원 BMCC는 지난 2009년 6월 산업통상자원부(前 지식경제부) 과제의 일환으로 시작돼, 병원과 산·학·연과의 유기적인 네트워크 플랫폼을 통한 차별화된 컨설팅, 교육, 커넥트 프로그램을 수행해왔으며, 지난해 6월 정부과제 종료와 함께 삼성서울병원의 공식 조직으로 전환된 바 있다.이번 사업설명회는 BMCC가 공식조직 전환되면서 삼성서울병원이 향후 바이오 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병원 중심의 서비스 R&D 기관으로 자리매김하고자 마련됐다. BMCC의 새 출발과 함께 핵심 사업모델인 컨설팅 프로그램(ODC, IDC)이 소개될 예정이다. BMCC는 바이오·의료 기술의 성공적인 사업화를 앞당길 수 있도록 수요자인 전문 의료진을 중심으로 R&D, 인허가, 특허, 투자 등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그룹을 자문위원으로 활용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전문가 그룹을 통해 태스크포스(TF) 형태의 원포인트 자문 서비스(On-Demand Consul
메디톡스의 액상형 보툴리눔 톡신 A형 제제(제품명: 이노톡스주)의 효능과 안전성을 입증하는 임상 3상 논문이 성형외과 최고 권위의 SCI급 국제학술지인 ‘미국성형외과 학회지’ 최신호에 등재됐다.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피부과 강훈 교수팀은 액상형 보툴리눔 톡신 A형 제제의 안전성과 효능의 우수함을 입증한 연구논문(The Efficacy and Safety of Liquid-Type Botulinum Toxin Type A for the Management of Moderate to Severe Glabellar Frown Lines)을 ‘미국성형외과 학회지(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최신호(March 2015 - Volume 135)에 발표했다.연구에 따르면 강훈 교수팀은 액상형 보툴리눔 톡신(이노톡스주)과 기존 보툴리눔 톡신인 '보톡스’(onabotulinumtoxinA, Botox)를 총 168명의 피험자를 랜덤하게 나누어 미간주름을 개선하기 위해 각각 주사했다.그 결과, 16주 시점에 액상형 보툴리눔 톡신을 주사한 피험자(시험군)의 시험자 현장 평가로 확인되는 인상 쓸 때의 미간주름 개선율은 62.34%를 기록해
지난해 병원에서 가장 많이 입원한 환자는 추간판 장애(디스크) 환자인 것으로 나타났다.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은 국민들이 병원을 많이 찾는 다발생 순위 상병을 알아보기 위해 최근 5년간(2010~2014년) 심사결정자료(건강보험 및 의료급여)를 분석한 결과를 25일 발표했다.분석 결과, ‘기타 추간판 장애’의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14.7%로 2010년에는 진료인원이 16만1천명으로 다발생 순위 7위였으나, 매년 크게 증가하여 2014년에는 27만9천명으로 1위로 올라섰다.입원 다발생 상위 5순위 질환은 ‘기타 추간판 장애’ 27만 9천명 > ‘상세불명 병원체의 폐렴’ 26만 6천명 > ‘노년성 백내장’ 25만 1천명 > ‘감염성 및 상세불명 기원의 기타 위장염 및 결장염’ 22만 2천명 순이다. ‘기타 추간판 장애’는 흔히 허리 디스크로 알려져 있으며, 연령별로는 남성은 30대, 여성은 50대 진료인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기타 추간판 장애’는 남성 진료인원이 30대에 3만6천명, 여성은 50대에 4만3천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5년 전에 비해 증가한 진료인원도 각각 1만5천명, 2만2천명으로 가장 많았다.목 디스크로 알려진 ‘경추간판 장애’는
자궁경부암 검진 권고안 초안이 공개됐다.국립암센터(원장 이강현, http://www.ncc.re.kr)는 국가암검진 권고안 제·개정 위원회(총괄위원장 가톨릭의대 이원철)가 개발한 ‘자궁경부암 검진 권고안(초안)’을 3월 23일에 공개했다.이에 권고안(초안)을 관련 학회에 전달하고, 국가암정보센터(www.cancer.go.kr) 홈페이지에 게재하여 관심 있는 전문가들의 검토와 수정보완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국립암센터는 관련 학회의 추천을 받아 자궁경부암검진 권고안 개발을 위한 전문가 위원회를 구성해 체계적 문헌고찰에 기반 한 자궁경부암 검진 권고안 개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에서 도출된 자궁경부암 권고안(초안)은 전문가 심포지엄을 통해 발표됐다. 이후 심포지엄에서 제기된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여 수정 보완한 자궁경부암 검진 권고안 보고서 초안이 이번에 공개되는 것. ▲보고서 초안에서는 다음과 같은 권고사항을 제시했다. 자궁경부암 검진 권고안(초안)은 일반 국민이 대상이 아닌 의료인들을 대상으로 한 전문가용 권고안으로, 3주 간 관련 전문가들이 공개된 보고서 초안을 검토한 후 수정보완의 의견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번 자궁경부암
국민의 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암 예방, 치료 및 관리에 대한 의욕을 고취시키기 위해 제정된 암 예방의 날을 맞아 각 병원들이 다양한 행사를 개최했다. / ‘암 예방의 날’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암 발생의 ▲3분의 1은 예방활동 실천으로 예방이 가능하고, ▲3분의 1은 조기 진단·조기 치료로 완치 가능하며, ▲나머지 3분의 1의 암환자도 적절한 치료를 하면 완화가 가능하다.’는 점을 부각시키기 위해 ‘3-2-1’을 상징하는 3월 21일을 기념일로 지정했다. / 각 병원의 제8회 암 예방의 날 기념행사를 정리했다 [편집자 주] 칠곡경북대학교병원은은 “제 8회 암예방의 날” 기념행사를 지난 20일 대구시, 경상북도 주최하에 병원 내 대구·경북지역암센터가 주관하여 대강당에서 개최했다. 아울러 당일 오전 병원 로비에서는 10대 암예방수칙 실천과 암 조기검진 촉구를 위한 다채로운 홍보캠페인 행사를 펼쳤다. 병원을 방문한 50명 이상의 환자와 가족들이 암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6개 암센터 의사가 직접 설명하는 ‘암 건강상담’ 코너에서 건강상담을 받았다. 영천시보건소 암예방지도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등이 운영하는 의견 수렴보드, 퀴즈 게임 코너에 많은 암환
한국파스퇴르연구소(소장: 하킴 자바라)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신약개발 바이오이미징 융합기술센터(센터장: 김상은)는 지난 24일 경기도 판교테크노밸리에 위치한 한국파스퇴르연구소 대회의실에서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바이오이미징 기술을 이용한 신약 개발 파이프라인 구축을 목표로 다각적인 연구 협력을 추진키로 했다.양 기관은 바이오이미징 기술 분야의 최첨단 연구역량을 서로 접목해 바이오이미징 기술개발, 신약개발 전문가 양성 및 교육 프로그램 구축, 인력 교류, 새로운 신약 후보군의 효능 및 안정성 평가 연구협력을 단계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바이오이미징은 생체 세포 수준 혹은 세포이하 분자수준에서 나타나는 생화학적 변화를 영상화 및 정량화할 수 있는 기술로서 약물 개발에 이용되어 왔던 재래식 기술을 대체할 수 있는 유력한 신약개발 방법론으로 각광받고 있다. 바이오이미징과 이를 기반으로 축적한 전임상·임상시험 데이터의 빅데이터 분석은 신약개발에 필요한 비용과 시간을 단축하는데 혁신적인 효율향상을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된다. 생물학자, 컴퓨터 공학자, 수학자 등 다학제적 전문가들로 구성된 한국파스퇴르연구소의 연구진은 지난 10년 간 바이오 기술과 정보 기술을 융합한 바이
한미약품(대표이사 이관순)은 뱃살(내장지방)과 체지방 감량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 ‘슬리미S’를 내달 출시한다고 25일 밝혔다. 슬리미S의 성분은 멜리사(레몬밤/Lemon Balm)잎과 가르니시아 캄보지아 열매 껍질에서 추출한 천연성분으로,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로 식약처 인증을 받았다. 지중해에서 자생하는 멜리사잎은 복부지방 중 내장지방만을 선택적으로 분해하는 역할을 하며, 인도 남서부에서 자생하는 열대식물 가르니시아 캄보지아는 탄수화물이 지방으로 합성되는 것을 억제해 체지방 감소에 도움을 준다. 이 중 멜리사잎 성분은 인체적용시험을 통해 내장지방 감소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확인됐다. 실제, 중증비만 성인남녀(80명)를 대상으로 멜리사잎 추출물 혼합분말(1,380mg)을 12주간 섭취시켜 대조군과 비교한 결과, 내장지방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는 슬리미S는 1일 3회, 1회, 1정을 물과 함께 섭취하며, 1박스에 한달분인 90정씩 포장돼 있다. 약국 영업마케팅 전문회사 온라인팜(대표이사 남궁광)을 통해 전국 약국에 공급되며, 유통이력 추적이 가능한 RFID가 부착돼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제품을 구입할 수 있다. 한
해외 인터넷 사이트에서 판매되는 다이어트 식품 등에서 타다라필 등 식품 사용 불가 약물이 다수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14년 3월부터 올해 3월까지 1년간 해외 인터넷 사이트에서 판매되는 있는 성기능 개선(219개), 다이어트 효과(124개), 근육 강화(79개)를 표방하는 식품 422개 제품을 수거·검사한 결과, 65개 제품에서 타다라필 등 식품에 사용할 수 없는 유해물질이 검출되어 관세청에 통관금지 및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사이트 차단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검사는 소비자들이 해외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직접 구입하는 경우가 증가함에 따라 인터넷 사이트에서 판매되는 식품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됐다.리비맥스(Libimax), 홀리고어트위드(Horny Goat Weed) 등 성기능 개선을 표방한 47개 제품에서 타다라필(7.5∼81.0mg/캡슐)이나 이카린(0.6∼36.9mg/캡슐) 등이 검출되었다.47개 제품 중 9개 제품은 2가지 유해물질이 함께 검출되었다. 아디포덱스(Adipodex), 슬림옐로우(Slim Yellow) 등 다이어트 효과를 표방한 18개 제품에서는 요힘빈(0.7∼5.0mg/캡슐)이나 시부트라민(1.7∼39.6mg/
종근당홀딩스(대표 김정우)는 4월2일부터 13일까지 종로구 가나인사아트센터에서 한국메세나협회, 아트 스페이스 휴와 함께하는 종근당 예술지상 두 번째 기획전을 개최한다.기획전은 종근당 예술지상2013 선정작가인 류노아, 심우현, 안두진 3명의 작가들이 3년간의 창작성과를 선보이는 자리로, ‘회화, 현실과 초현실의 사이’라는 부제 아래 총 27점의 작품이 전시될 예정이다.세 작가는 지난 2013년 미술계 전문가들의 1,2차 심사를 통해 예술적 역량과 발전가능성을 인정받아 종근당 예술지상 작가에 선정됐다.종근당홀딩스는 한국 현대미술 발전에 도움을 주고자 2012년부터 한국메세나협회와 대안공간 ‘아트스페이스 휴’ 두 단체와 함께 ‘기업과 예술의 만남(Art & Business, A&B)’ 결연사업의 일환으로 ‘종근당 예술지상’을 추진하고 있다. 매년 3명의 신진 미술작가를 선발해 창작지원금과 전시기회를 제공하며 지속적인 성장을 돕고 있다.기획전에 참가하는 류노아 작가는 “종근당홀딩스의 지원이 있어서 지난 3년간 작품 활동에만 몰두할 수 있었다”며 “그간의 작업을 전시할 수 있는 기회까지 갖게 되어서 정말 기쁘고 설렌다”고 밝혔다.류노아 작가는 올해 네델란드 암스테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