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83,339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휴온스(대표 송수영∙윤상배)가 2024년 3분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액 1469억원, 영업이익 87억원, 순이익 73억원으로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 6.3%, -41.9%, -38.4% 증감했다고 8일 잠정실적을 발표했다. 올 3분기 매출액은 국내 전문의약품과 당뇨 의료기기 사업 부문을 중심으로 성장을 이어갔다. 전문의약품사업은 666억원(YoY +0.2%)의 매출을 기록했다. 미국 마취제 수출을 비롯한 주사제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으나 순환기, 대사성, 항생제 등 국내 전문의약품 전반이 매출 증가하며 견조한 실적을 달성했다. 뷰티∙웰빙사업은 매출액 48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3% 늘었다. 최근 수익성 중심으로 비용을 관리하며 건강기능식품 매출은 감소했지만 연속혈당측정기 ‘덱스콤 G7’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며 의료기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70% 증가했다. 수탁(CMO)사업은 매출액 156억원(YoY -8.7%)을 기록했다. 상반기에는 2공장 점안제 라인 신규 가동에 힘입어 큰 폭의 성장을 보였지만 3분기에는 가동률이 다소 주춤하며 점안제 수탁 매출이 줄었다. 현재 1공장에서 생산하는 주요 점안제 품목의 제조원을 2공장으로 변경하는
서울의대와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현재 비대위를 계속 신임 및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대위는 11월 6~8일 3일간 비대위 재신임 여부에 대한 전체 교수투표를 시행했다고 밝혔다. 투표 결과, 총 응답자 683명 중 77.7%(531명)이 현재의 비대위를 계속 신임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대해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대위는 “먼저 비대위의 그간 활동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있었고, 다른 대학과 의료계와 소통을 꾸준히 해왔지만 더 적극적인 연대가 필요하다고 의견을 주신 분들이 많았으며, 현 사태의 중심에 있는 전공의와 학생에 대한 강한 지지를 바라는 목소리 등이 있었다”고 전했다. 특히 “저희로서는 무엇보다도 비대위가 우리 대학ᆞ병원 교수님들의 생각과 동떨어진 방향으로 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 걱정스러웠다”면서 “비대위에 대한 교수님들의 신임 여부를 다시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해 이번 재신임 여부를 확인하는 투표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어 “11월 8일 12시 집계 결과, 683분의 교수님들께서 투표하셨고, 77.7%가 현재의 비대위를 계속 신임한다고 답변해 주셨다”면서 “높은 신임 의견을 주신 것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몽골 병원 대표들이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을 방문해 암 수술과 방사선치료 기술 협력 등에 대해 논의했다.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은 지난 7일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을 방문한 몽골 울란바토르 병원 대표들과 최신 치료 기술 교류와 인력 연수, 암환자 진료의뢰 등에 대한 구체적인 협력 사항을 논의했다고 11월 8일 밝혔다.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은 부산광역시와 부산경제진흥원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외국인 환자 유치사업의 일환으로서 지난 10월 몽골 울란바토르를 방문해 몽골 제3국립병원과 알러지메드병원 등과 의료기술 교류와 진료협력 등에 대한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또한, 몽골 현지 에이전시 7곳과 B2B 상담회를 진행하며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진료 내용을 알렸다. 당시 몽골 병원 대표들이 의학원의 방사선치료와 암 집중 진료, 수도권과 비교해 합리적인 진료비 등에 대해 큰 관심을 보여 한 달 만에 재방문이 이루어졌다. 방문단은 몽골 제1국립병원 정형외과 전문의인 오윤바트 초이독(Oyunbat Choidog)과 나랑게렐 엔흐타이반(Narangerel Enkhtaivan), 몽골 제3국립병원 투무르 후야그 게렐치메그(Tumur khuyag Gerelchimeg) 전문의, 알러지메디병원 아유쉬
보건복지부가 통합지원체계 모형의 전국 확산 기반을 마련하고자 오는 11월 27일까지 ‘2025년도 의료·돌봄 통합지원 기술지원형 시범사업’에 참여할 지방자치단체를 모집한다. ‘의료-돌봄 통합지원 체계’는 노쇠 등으로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이 살던 곳에서 계속 거주할 수 있도록 대상자 중심으로 통합 사례관리하고, 지역 내 다양한 제공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필요한 의료·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기술지원형 시범사업은 기존 예산지원형 시범사업과 달리 비예산 지원 시범사업으로써, 교육 및 전문기관 협업체계 구축과 멘토링 등을 중심으로 지자체의 통합돌봄 사업추진을 지원하고, 광역-기초 지자체 역할을 정립하는 사업이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4월 16일 공모를 통해 부산 수영구, 대구 수성구, 달서구, 인천 부평구, 광주 광산구, 경기 성남시, 안성시, 강원 춘천시, 횡성군, 충북 증평군, 괴산군, 음성군, 충남 청양군, 전북 정읍시, 전남 목포시, 담양군, 영광군, 경북 포항시, 상주시, 제주 제주시를 2024년 기술지원형 시범사업 지역으로 선정한 바 있다. 현재 20개 지자체가 기술지원형 시범사업으로 참여 중이나, 2026년 3월에 시행될 ‘돌봄통합지원법’
울산대병원이 지역 내 중증질환 전문치료와 협력 네트워크 강화 방안에 대해 협력 의료기관들과 함께 논의했다. 울산대학교병원은 지난 7일 울산 롯데호텔에서 열린 ‘울산대학교병원 제9회 협력 병·의원 심포지엄’을 성황리에 마쳤다고 11월 8일 밝혔다. ‘지속 가능한 지역 완결적 진료협력 확립’을 주제로 열린 이번 심포지엄에는 70여개 지역 협력 병·의원 관계자 13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특히 울산대학교병원이 지난 5월 개원한 암, 뇌, 심장 중증질환 전문병원의 역할을 소개하며, 환자 중심의 맞춤형 진료 서비스에 대한 사례 발표가 이루어졌다. 또한, 상급종합병원 구조 전환 시범사업을 통해 지역 의료기관들과의 협력을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한 진료협력 체계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논의했다. 발표 세션에서는 박경민 심장병원장이 ‘울산지역 심혈관 최종 치료’를, 권순찬 뇌병원장이 ‘울산지역 내 뇌병원의 역할’을, 조재철 암병원장이 ‘지역 완결형 중증치료 전문병원으로써의 암병원 역할’을 주제로 발표했다. 이어 강병철 진료협력부센터장은 ‘지역 의료기관과의 강력한 진료협력체계 구축 방안’을 소개하며, 긴밀한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공유했다. 한편,
1994년 11월 9일 개원한 삼성서울병원이 개원 30주년을 맞이했으며, ‘미래의료’을 향한 대전환을 예고했다. 삼성서울병원은 11월 8일 새 단장을 마친 본관 지하 1층 대강당에서 개원 30주년 기념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삼성서울병원은 올해 글로벌 시사 주간지 뉴스위크(Newsweek)가 발표한 ‘2025년 월드베스트전문병원(World's Best Specialized Hospitals 2025)’에서 암 치료 분야 세계 3 위에 선정됐다. 지난해 보다 2계단 상승해 이제 삼성서울병원 앞자리에는 1위 美 MD앤더슨 암센터(MD Anderson Cancer Center), 2위 美 메모리얼 슬로언 케터링 암센터(Memorial Sloan Kettering Cancer Center) 단 두 곳만 남았다. 특히 이들 병원이 암을 주로 치료하는 전문병원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종합병원 가운데 삼성서울병원이 세계 1위에 올라서는 쾌거를 거뒀다고 할 수 있다. 삼성서울병원이 개원했던 해인 1994년에는 우리나라 의료의 수준이 세계의 변방에서 겨우 따라가는 정도였지만, 지금은 전 세계 최고 병원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만큼 성장했다는 걸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삼성서
‘간호 100년 대상’ 수상자로 신경림 전 대한간호협회 회장(현 간호법제정특별위원장)이 선정됐다. 대한간호협회는 창립 100주년을 맞아 한국 간호 발전에 크게 이바지한 간호인 1명에게 수여하는 ‘간호 100년 대상’ 수상자로 신경림 전 회장을 수상자로 결정했다고 11월 8일 밝혔다. ‘간호 100년 대상’은 대한간호협회 간호 100년 역사에 간호사로서 헌신·봉사하여 국가간호사업 발전과 국민보건 향상에 혁혁한 공적을 쌓은 회원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간호협회가 창립 100주년에 처음 수여하는 상이어서 간호계에서 큰 관심을 모은 바 있다. 수상자인 신경림 전 회장은 간호 100년 역사에서 50여 년간 간호계에 투신하여 간호업무 범위 법정화, 간호교육 4년제 학제 일원화, 보건복지부 간호정책과 신설, 간호법 제정 등에 헌신함으로써 한국간호 발전을 이끌어 나가는 데 독보적인 공로를 세웠다. 대한간호협회 회장, 한국간호교육평가원장 등을 역임하고 나아가 국회의원으로 활동하며 간호와 보건의료 정책 분야에서 탁월한 리더십을 발휘했다. 또한, 아시아 최초로 ‘세계여성건강연맹’ 회장을 역임하며 여성 건강의 중요성을 전 세계 연구자 및 지도자들과 공유하고 이를 확산시켰으며, ‘2
한미약품(대표이사 박재현)은 대한심장학회 추계학술대회 산학세션에서 한미를 대표하는 고혈압 치료 복합신약 ‘아모잘탄패밀리’와 이상지질혈증 치료 복합신약 ‘로수젯’의 임상적 근거에 입각한 유용성에 대한 발표를 진행했다고 8일 밝혔다. 지난달 18일 그랜드 워커힐 서울 호텔에서 개최된 이번 세션은, 전국 심장내과 및 순환기내과 분야의 전문의들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좌장으로는 전남의대 안영근 교수와 연세의대 강석민 교수가 자리했고, 인하의대 신성희 교수와 성균관의대 최기홍 교수가 각각 연제를 발표했다. 첫 번째 연자인 신성희 교수는 국내외 다양한 가이드라인에서 권고하는 적극적인 혈압 조절의 이점과 고혈압 치료에서의 복합제 역할의 중요성에 주목했다. 신 교수는 “최근 발표된 ESC(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2024 가이드라인에서 정상 혈압의 진단 기준이 120/70으로 강화되면서 엄격한 혈압 조절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고, 이를 통해 좌심실 비대 개선과 심혈관질환 예방 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다”며 “적극적인 혈압 조절을 위해서는 병용 요법이 필수적인데, 최근 고혈압 치료 3제 병용요법의 역할이 더욱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신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노연홍) 대표단은 지난 7일(현지 시간) 스위스 바젤에서 글로벌 빅파마, 바이오텍 및 유럽 생명과학 분야 전문가들과 교류하는 네트워킹 행사를 진행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협회와 바젤투자청(Basel Area Business&Innovation)이 국내 제약기업들의 유럽 진출 지원을 위해 운영 중인 ‘스위스 바젤투자청 KPBMA 맞춤형 프로그램’ 일환으로 마련됐으며, 지난 2022년과 2023년에 이어 3번째로 개최됐다. 한국 제약바이오산업과 스위스 바젤 지역과의 교류 활성화 및 우리 기업들의 파이프라인을 유럽 기업에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열린 이번 행사는 ‘한국의 유망 제약사와의 협업 제고 방안(How to collaborate with South Korea’s leading pharmaceutical innovators)’을 주제로 진행됐다. 협회 글로벌본부와 유한양행, 동아ST 관계자들이 대표단으로 참여했으며, 로슈, 론자, 노바티스 등의 글로벌 빅파마 및 바이오텍, 유럽 학계 및 연구기관 등에서 110명 이상의 전문가가 참석했다. 이현우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상무는 “한국의 신약 파이프라인이 적극적인 R&D 투
바디텍메드(대표이사 최의열)가 8일 잠정공시를 통해 2024년 3분기 영업실적을 발표했다. 연결 기준 매출액 376억원, 영업이익 88억원을 기록하며 코로나 엔데믹 이후에도 매출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7.8%, 전 분기 대비 3.7% 증가했다. 2024년 3분기까지 누적 매출액은 1069억원, 영업이익은 24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7.7%, 영업이익은 10.4% 증가했으며, 3분기 누적 영업이익률은 22.4%를 기록하면서 안정적인 수익성을 창출하고 있다. 특히 중동 및 북아프리카 3분기 매출은 101억원을 기록하면서 창사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라크, 리비아, 이집트, 시리아가 해당지역 성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이라크의 경우 전체 현장진단 시장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향후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된다. 주요 진단 영역 중 심혈관, 호르몬, 당뇨 등의 비감염성 질환 부문이 고르게 성장하고 있다. 2024년 3분기에는 기타 질환 관련 매출이 80억원에 달하며 전년 동기 대비 100% 이상 증가했다. 기타 질환 부문에서 비타민D 진단 제품과 빈혈 여부를 진단하는 헤모크로마 제품이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삼성바이오로직스(대표이사: 존 림)가 국제표준화기구(ISO)의 국제표준 인증 △ISO 37301(규범준수경영시스템) △ISO 27001(정보보호 관리체계) △ISO 27017(클라우드 보안관리체계) 등 총 3건의 인증서를 수여받았다고 8일 밝혔다. 특히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올해 최초로 규범준수경영시스템 ‘ISO 37301’ 인증을 획득하며 준법경영 역량을 인정받았다. ‘ISO 37301’은 기업의 준법경영 프로세스와 정책이 국제표준에 부합해 체계적으로 구축 및 운영되고 있는지 평가하는 인증 제도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규범준수경영시스템 인증을 획득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비즈니스 규제 환경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19년 업계 최초로 획득한 정보보호 관리체계 ‘ISO 27001’ 인증 및 2022년 획득한 클라우드 보안관리체계 ‘ISO 27017’ 인증을 갱신하며 글로벌 최고 수준의 보안관리체계를 다시 한 번 인정받았다. 글로벌 CDMO 업계 내에서 최고 권위 정보보호 국제 표준인 ‘ISO 27001’, ‘ISO 27017’을 모두 획득한 기업은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유일하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바이오의약품을 위탁개발
*빈소 동아대학교병원 장례식장 특3호실, *발인 11월 9일
(주)헬스바이옴(대표 김병찬)은 CJ제일제당(대표 강신호)과 손잡고 아커만시아 포스트바이오틱 건강기능식품 소재를 글로벌 시장에 선보인다고 8일 밝혔다. 헬스바이옴과 CJ제일제당은 지난 8월 건강한 한국인 산모의 모유에서 분리한 뮤시니필리아 균주 HB05P에 대한 원료 공급 및 독점 판매 계약을 체결하고,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린 국제건강원료박람회 (SupplySide West 2024) 에 함께 참가해 본격 글로벌 시장 진출에 나섰다. 양사가 적극 협력해 선보이는 근육건강개선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소재인 HB05P는 기존 분변에서 분리되는 균주와는 달리 건강한 한국인 산모의 모유에서 분리한 균주로 사균체 기반의 포스트바이오틱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개발된 것이 큰 특징이다. HB05는 60세 이상 100명의 남녀 자원자를 대상으로 한 인체적용시험을 통해 근력개선 효과가 입증되었고, 국내에서는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소재 등록 절차를 밟고 있다. 또, 2022년에는 국제적으로 저명한 식품 전문가 3인의 심사위원단으로부터 심사를 거쳐 미국내 건기식 판매를 위해 필요한 안전성 자격인 sGRAS 를 인정받았다.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리아는 대표적인 혐기성 장내 미생물로
지멘스 헬시니어스㈜가 시화병원에 국내 최초로 최신식 영상진단장비 ‘소마톰 프로펄스(SOMATOM Pro.Pulse)’를 설치했다고 밝혔다. 시화병원은 경기 서남부 지역의 거점병원으로 응급의료 및 심뇌혈관질환 진료 부문에서 의료영상정보시스템(PACS) 운영 등 디지털화를 추진해 왔다. 시화병원은 기존 국내 TOP5 대형병원에서도 보유하고 있는 지멘스 헬시니어스의 최신형 3T(테슬라) MRI ‘마그네톰 비다(MAGNETOM Vida)’와 3세대 듀얼소스 CT ‘소마톰 포스(SOMATOM Force)’를 선제적으로 도입했으며, 이 외에도 지멘스 헬시니어스의 혈관조영장비인 ‘아티스 지 바이플레인(Artis zee biplane)’과 ‘아티스 지 플로어’(Artis zee Floor) 등을 도입하며 환자의 시술 시 안전성 강화를 위해 노력해 왔다. 시화병원에서 이번에 새로 도입하는 전산화단층촬영(CT) 장치 ‘소마톰 프로펄스’는 지난해 북미영상의학회(RSNA)에서 최초로 소개된 인공지능(AI) 기반 듀얼소스 CT(2개의 X선 튜브 및 검출기를 장착한 CT)로, 기존 싱글 소스(Single source) CT로는 구현할 수 없던 다양한 고난이도 검사가 가능할 뿐만 아니
코오롱생명과학(대표이사 김선진)은 코오롱티슈진이 개발 중인 골관절염 세포 유전자 치료제 ‘TG-C’(구 명칭 인보사) 관련 ‘세포치료제의 유효성 평가 방법’에 대한 특허가 최근 싱가포르에서 등록 결정됐다고 금일(8일) 밝혔다. TG-C는 동종연골유래연골세포인 1액과, 방사선 조사한 TGF-β1(염증억제 및 연골성분 생성 촉진인자) 유전자 도입 형질전환 세포로 이루어진 2액을 3대 1 비율로 혼합해 무릎의 관절강 내 주사(intra-articular injection)하는 약제이다. 이번 ‘세포치료제의 유효성 평가 방법’ 특허는 본 특허 방식으로 제조된 골관절염 치료제의 유효성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2액의 형질전환 세포에서 발현되는 특정 수준 이상의 TGF-β1과 1액의 연골세포가 발현하는 TSP-1(Thrombospondin-1)을 치료제의 유효성을 평가하는 지표 겸 품질 관리를 위한 기준으로 설정했다. 이 성분들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발현되면 생산된 치료제의 효과 역시 균일하게 발현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김선진 코오롱생명과학 대표이사는 “이번 특허 결정은 효과가 우수한 골관절염 치료제의 유효성 평가 방법을 확립한 데에 의미가 있다”며, “이번
한올바이오파마(공동대표 정승원, 박수진)의 미국 파트너사 이뮤노반트가 지난 7일(미국 현지 기준) 3분기 실적 보도자료를 통해 개발중인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HL161의 개발 계획과 추가 적응증을 발표했다. HL161은 한올바이오파마가 개발해 지난 2017년 이뮤노반트의 모회사인 스위스 ‘로이반트(Roivant Sciences)’에 기술 이전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후보물질로 HL161BKN(물질명: 바토클리맙)과 HL161ANS (이뮤노반트 코드명: IMVT-1402)로 개발되고 있다. 먼저 현재 진행되고 있는 바토클리맙 중증근무력증(MG) 임상 3상 탑라인(Top-line) 결과와 만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성 신경병증(CIDP) 임상 2b상 초기 데이터는 예정대로 2025년 1분기 내 발표 예정이다. 갑상선안병증(TED) 임상 3상의 탑라인 결과는 2025년 하반기 발표로 변경됐다. 두 번째 FcRn 항체인 HL161ANS에 대해서는 5건의 임상시험계획서(IND) 제출을 완료했으며, 2025년 1분기까지 최대 5개의 등록 임상(Pivotal trial)에 진입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연내 첫번째 적응증인 그레이브스병에 대한 등록임상을 개시할 예정이다. 202
한국독성학회/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 2024 제40차 정기학술대회가 성료했다. 한국독성학회/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는 부산 BEXCO 컨벤션홀에서 제40차 정기학술대회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11월 8일 밝혔다. 11월 4일부터 6일까지 3일간 진행된 이번 학술대회는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및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와 공동 주관하고, 안전보건공단 및 부산관광공사에서 후원했으며, 학계, 정부, 산업계 관계자 등 600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공적으로 진행됐다. 이번 학술대회는 ‘혁신적 독성과학: 더 건강한 사회를 위한 한계극복’의 주제로 국내외 저명학자들을 초청하여 독성학 분야의 학술 교류와 발전을 모색했다. 특히 동국대학교 김상건 교수를 비롯해 ▲대만독성학회 회장이자 National Cheng Kung University의 Ying-Jan Wang 교수 ▲네덜란드 Utrecht University의 Hans Clevers 교수 ▲일본 Tohoku Medical and Pharmaceutical University 황기욱 교수 등 세계적인 석학들의 기조강연은 큰 관심과 호응을 받았다. 또한, 화학물질의 안전성·독성뿐만이 아니라 백신 등 첨단바이오의약품
영남대의료원 의료진들이 경북 영양군에서 의료봉사 활동을 펼쳤다. 영남대의료원이 지난 5일 경상북도 영양군으로 찾아가는 의료봉사활동을 시행했다고 11월 8일 밝혔다. 특히 이번 의료봉사는 지역 필수의료 체계 개선을 위해 경상북도 공공보건의료 협력강화 추진단이 출범된 후 첫 번째로 함께 시행한 의료봉사로서 큰 의미를 지녔다. 영남대의료원은 의사 3명(정형외과, 내분비대사내과, 호흡기알레르기내과), 약사 1명, 간호사 6명, 행정지원 인력 3명으로 구성된 총 13명의 대규모 봉사단이 참여해 이른 아침부터 영양군민들의 건강을 살뜰히 살폈다. 한편, 영남대의료원은 2007년 영양군과 협력기관 협약을 체결한 바 있으며, 이후 2008년 ‘원격건강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사업’의 원격지 병원 첫 사업자로 선정되면서 시스템 구축사업 지원 대상으로 선정된 영양군과 ‘U-Health 시범사업’을 펼쳐 3개 진료과(호흡기알레르기내과, 내분비대사내과, 피부과)의 원격진료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고령 환자의 삶의 질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욕창 치료 옵션의 효과가 입증됐다.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은 성형외과 박준호 교수팀이 고령 환자의 천골 욕창 재건술 후 음압창상치료(음압상처치료)의 효과를 규명하는 연구를 발표했다고 11월 8일 밝혔다. 음압창상치료는 음압이 제어되는 진공 장치에 연결된 밀봉 스펀지를 이용해 상처에서 배출되는 체액을 제거하고 조직의 변형을 통해 상처 치유를 촉진하는 비침습적 중재 시술을 말한다. 본 연구는 21년도부터 박준호 교수팀이 시행해온 음압창상치료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입증한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노인들의 욕창 재건을 위한 피판술(신체 다른부위의 피부 전체를 가져와 덮는 수술) 후 부작용을 최소화하며 안정적으로 수술 부위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진행됐다. 연구는 2019년 3월부터 2023년 4월까지 천골 부위의 욕창으로 인한 피판술을 받은 5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피판술 시행 후 고전적인 드레싱을 시행한 군과 음압창상치료를 이용해 수술 부위 관리를 시행한 군으로 나누어 ▲삼출물의 양 ▲감염 ▲혈종 ▲장액종 ▲상처 벌어짐 ▲피판 괴사에 대한 후향적 분석을 실시했
질병관리청이 야외활동 시 쯔쯔가무시증 감염 예방을 위해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질병관리청은 올해 쯔쯔가무시증 환자는 1838명으로 전년 동기간(2435명) 대비 24.5% 감소했으나, 최근 3주간(42~44주) 매개체인 털진드기 밀도지수가 ‘0.29 → 0.89’로 3배 이상 급증했다고 11월 8일 밝혔다. 또한, 쯔쯔가무시증 환자 수가 44주차에 459명으로 42주차(58명) 대비 약 8배 증가하고, 전주인 43주(264명) 대비 약 2배가 증가했음을 덧붙였다. 이어 질병관리청은 쯔쯔가무시증을 매개하는 털진드기 유충이 9월부터 11월까지 왕성하게 활동해 개체 수가 증가하고, 쯔쯔가무시증 환자의 50% 이상이 11월에 집중 발생함에 따라, 향후 3~4주 간 환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안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