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1,937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방역당국이 수도권에 이어 비수도권 소재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전담치료병상 확보를 위한 행정명령을 내렸다.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는 10일 ‘비수도권 코로나19 전담치료병상 확보방안’을 내놨다. 이는 최근 코로나19 4차 대유행 지속으로 인한 확진자 증가와 전파력이 강한 델타변이바이러스의 확산 등으로 일부 비수도권 지역도 병상가동률이 증가하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특히 추석 연휴로 인한 인구이동량 증가와 등교 확대 등으로 추가 확산에 대한 위험이 우려되는 상황. 9일 기준 울산의 위중증병상 가동률은 75%이고, 대전과 충남의 중등증병상 가동률은 각각 79.3%, 충남 74.8%이다. 이에 방역당국은 추가적인 대규모 집단감염 및 확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이를 감당할 수 있도록 수도권에 이어 비수도권 소재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전담치료병상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위중증 환자 전담치료병상은 기존병상을 93병상까지 확대하고, 신규 대상병원 지정에 따른 53병상을 추가해 총 146병상을 추가 확보한다. 비수도권 소재의 상급종합병원·국립대병원을 대상으로 기존의 1% 병상확보를 1.5%로 확대해 93병상을 추가로 확보하고, 허가병상 700병상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1900명 가까이 발생한 가운데, 수도권 확산세가 심상치 않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9월 10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857명, 해외유입 사례는 35명이 확인돼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6만 9362명(해외유입 1만 3866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4만 6185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7만 9965건(확진자 466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만 6674건(확진자 47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14만 2824건이며, 신규 확진자는 총 1892명이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1813명으로 총 24만 733명(89.37%)이 격리해제 돼, 현재 2만 6281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353명이며, 사망자는 5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348명(치명률 0.87%)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666명, 경기 603명, 인천 117명, 충남 77명, 대전 48명, 대구·경남 각각 44명, 울산 40명, 부산 38명, 강원 33명, 충북 30명, 경북 27명, 광주 25명, 전북 24명, 전남 20명, 제주 17명, 세종 4명이다. 해외유입 확진자는 검역단계에
묶음치료 수행이 빠를수록 패혈증 사망률을 줄일 수 있지만 국내 패혈증 묶음치료 수행률은 매우 낮은 수준이라는 지적과 함께,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패혈증 진료지침 제작 필요성이 제기됐다. 대한중환자의학회와 질병관리청은 9일 온라인으로 ‘2021 패혈증의 날 기념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제2기 패혈증 환자 관리 개선을 위한 심층조사(패혈증 과제) 수행방향과 국내 패혈증 실태 및 대책에 대해 소개했다. 먼저, 서울아산병원 임채만 교수는 질병관리청과 한국패혈증연대(KSA)가 수행한 지난 2년간의 패혈증 등록 사업 결과를 소개하며 “이를 통해 우리나라 패혈증의 역학적·임상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게 됐다”고 평가했다. 이번 조사 결과, 응급실 방문 10만 건 당 619건의 지역발생 패혈증(COS)과 입원 10만 건 당 137건의 병원발생 패혈증(HOS)이 발생했다. 병원발생 패혈증은 더 젊은 환자에서 발생하며 중환자실 입실율, 고비용 의료자원(침습적 기계환기, 고유량 비강캐뉼라, 지속적 신대체요법 등) 이용 빈도 및 사망률이 더 높았다. 또 패혈증 환자 88%에서 항생제 사용이 적절했던 것으로 평가됐지만, 이는 여전히 10명 중 1명은 초기 항생제 사용이 부적절했다는 것
바이엘 코리아(대표이사 프레다 린, 이하 ‘바이엘’) 여성건강사업부는 피임 및 월경 관련 질환 인식개선을 위해 유튜브·인스타그램 인플루언서 및 산부인과 전문의와 함께 진행한 ‘당연하지 않아’ 디지털 캠페인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당연하지 않아’ 캠페인은 여성의 올바른 피임, 건강한 월경을 돕기 위해 바이엘이 지난 해부터 진행하고 있는 활동이다. 특히 올해는 MZ 세대를 대상으로 안전한 피임법과 월경과다 및 자궁내막증 등을 효과적으로 알리기 위해 산부인과 전문의와 총 9인의 유튜버(이십세들, 디바걸스, 곽정은) 및 인스타그래머(그림비, 감자, 앙영, 김솜, 영지, 뱀비)와 협업해 지난 4월부터 7월까지 다양한 컨텐츠를 릴레이로 선보였다. 유튜버 ‘이십세들’과 ‘디바걸스’는 산부인과 전문의와 함께 피임, 월경과다, 자궁내막증과 관련해 평소 궁금했던 내용들에 대해 유쾌하고 솔직한 대화로 풀어냈고, 작가 겸 컨설턴트인 곽정은은 본인의 유튜브 채널인 ‘곽정은의 사생활’을 통해 월경과다에 대한 적극적 치료 필요성을 담백하게 전달했다. 또 인스타그램 웹툰에서는 피임에 대한 잘못된 상식, 올바른 피임법 등을 캐릭터와 만화적 구성을 통해 이해하기 쉽게 담아냈다. ◆콘돔, 경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이틀째 2000명대를 기록한 가운데, 서울과 경기에서만 1300명 가까이 되는 확진자가 나왔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9월 9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2018명, 해외유입 사례는 31명이 확인돼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6만 7470명(해외유입 1만 3831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4만 9203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8만 626건(확진자 411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만 9191건(확진자 76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14만 9020건이며, 신규 확진자는 총 2049명이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1634명으로 총 23만 8920명(89.33%)이 격리해제 돼, 현재 2만 6207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366명이며, 사망자는 9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343명(치명률 0.88%)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660명, 경기 639명, 충남 148명, 인천 108명, 경남 75명, 울산 70명, 대구 49명, 대전 38명, 부산 35명, 충북·경북 각각 33명, 강원 32명, 전북 25명, 제주 23명, 광주·전남 각각 22명, 세종 6명이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일주일만에 다시 2000명대를 기록한 가운데, 감소 추세이던 위중증 환자는 하루만에 20명 가까이 증가했다. 백신 예방접종은 순조롭게 진행되는 가운데, 누적 백신 이상반응 신고사례는 20만건을 돌파했고 누적 아나필락시스 의심사례는 900건에 달한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9월 8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2014명, 해외유입 사례는 36명이 확인돼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6만 5423명(해외유입 1만 3800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5만 1255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7만 7988건(확진자 486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만 6403건(확진자 88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14만 5646건이며, 신규 확진자는 총 2050명이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2061명으로 총 23만 7286명(89.40%)이 격리해제 돼, 현재 2만 5803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387명이며, 사망자는 4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334명(치명률 0.88%)이다. 지역별로는 경기 691명, 서울 665명, 인천 120명, 충남 84명, 경남 69명, 대구 60명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1600명 가까이 발생한 가운데, 감소 추세이던 위중증 환자는 다시 소폭 증가했다. 백신 예방접종은 순조롭게 진행돼 하루에만 74만명 넘게 1차 접종을 받았으며, 63만명 넘게 접종을 완료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9월 7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563명, 해외유입 사례는 34명이 확인돼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6만 3374명(해외유입 1만 3764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5만 1669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9만 7745건(확진자 170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만 6497건(확진자 55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16만 5911건이며, 신규 확진자는 총 1597명이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1530명으로 총 23만 5225명(89.32%)이 격리해제 돼, 현재 2만 5819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364명이며, 사망자는 3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330명(치명률 0.88%)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477명, 경기 474명, 인천 87명, 경남 84명, 충남 81명, 울산·경북 각각 45명, 대구 38명, 부산 35명, 광주·대전·충북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1800대를 기록한 가운데,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건수가 10만 건에 이를 정도로 수도권 확산세는 여전하다. 백신 예방접종은 순조롭게 진행돼 하루에만 70만 명 가까이 백신접종을 완료했으며, 누적 1차 접종자는 3000만 명대 도달을 목전에 두고 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9월 4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776명, 해외유입 사례는 28명이 확인돼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5만 8913명(해외유입 1만 3677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6만 3680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0만 1386건(확진자 344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2만 552건(확진자 53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18만 5588건이며, 신규 확진자는 총 1804명이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1787명으로 총 23만 405명(88.99%)이 격리해제 돼, 현재 2만 6139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376명이며, 사망자는 7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315명(치명률 0.89%)이다. 지역별로는 경기 576명, 서울 564명, 인천 98명, 충남 97명, 대전 50명, 부산·경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1700명대를 기록한 가운데, 위중증 환자는 400명대 정점을 찍고 감소하는 추세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9월 3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675명, 해외유입 사례는 34명이 확인돼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5만 7110명(해외유입 1만 3649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6만 3167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9만 7447건(확진자 318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만 5983건(확진자 65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17만 6597건이며, 신규 확진자는 총 1709명이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2396명으로 총 22만 8618명(88.92%)이 격리해제 돼, 현재 2만 6184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367명이며, 사망자는 5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308명(치명률 0.9%)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540명, 경기 513명, 인천 115명, 충남 77명, 부산 58명, 대구 52명, 경남 49명, 대전·경북 45명, 광주 41명, 울산 35명, 충북 30명, 전북 28명, 강원 18명, 전남 15명, 제주 10명, 세종 4명이다. 해외유입 확진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1900명를 기록한 가운데, 누적 사망자는 2300명대를 돌파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9월 2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927명, 해외유입 사례는 34명이 확인돼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5만 5401명(해외유입 1만 3615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7만 1372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9만 8676건(확진자 324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만 6194건(확진자 61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18만 6242건이며, 신규 확진자는 총 1961명이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1903명으로 총 22만 6222명(88.58%)이 격리해제 돼, 현재 2만 6876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371명이며, 사망자는 11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303명(치명률 0.9%)이다. 지역별로는 경기 688명, 서울 555명, 인천 120명, 충남 93명, 부산 69명, 대전 60명, 경남 53명, 울산 42명, 경북 41명, 광주 40명, 충북 27명, 강원 25명, 전북 18명, 전남 12명, 제주 11명, 세종 7명이다. 해외유입 확진자는 검역단계에서 5명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일주일 만에 다시 2000명대를 기록한 가운데, 수도권에서 확진자가 집중됐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9월 1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992명, 해외유입 사례는 33명이 확인돼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5만 3445명(해외유입 1만 3583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5만 7429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9만 6266건(확진자 427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만 4454건(확진자 85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16만 8149건이며, 신규 확진자는 총 2025명이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2618명으로 총 22만 4319명(88.51%)이 격리해제 돼, 현재 2만 6834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399명이며, 사망자는 7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292명(치명률 0.90%)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662명, 경기 630명, 인천 123명, 충남 86명, 부산·울산 각각 68명, 대구 54명, 충북 49명, 경남 48명, 경북 44명, 강원 36명, 광주 35명, 대전 30명, 전북 23명, 전남 17명, 세종 10명, 제주 9명이다. 해외유입 확진
보건복지부는 2022년 예산(안)을 올해 대비 8.2% 증가한 96조 9377억원으로 편성하고, 이 중 보건의료 분야는 13조 7988억원에서 16조 1206억원으로 증가시켜 편성했다. 31일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확정된 2022년 정부 총 지출은 전년 대비 8.3% 증가한 604조 4000억원이며, 복지부 총지출은 전년 대비 8.2% 증가한 96조 9377억원이다. 이는 정부 전체 총지출의 16%를 차지한다. 회계별로 예산은 올해 대비 9.9%, 기금은 5.4% 증가했다. 분야별로 사회복지 분야는 6.7%, 보건 분야는 16.8% 증가했다. 보건의료 분야에서 지원이 집중되는 것은 ▲책임의료기관 및 스마트병원 확충 ▲임신바우처 확대 ▲권역정신응급의료센터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확충 ▲글로벌 백신허브 구축 ▲국가 의료기기 사용 활성화 및 의료데이터 이용 확대 지원 ▲공익적 의료연구 및 취약계층 맞춤형 연구개발 확대 등이다. 구체적으로, 지역거점병원의 공공성 강화를 위해 지역책임의료기관을 35개소에서 43개소로 확충하고, 지방의료원의 시설과 장비 보강 및 ICT를 활용해 감염병에 대응하고, 병원운영 효율성 등을 제고하는 스마트병원 3개소 확충 등에 따른 225억원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1300명대를 기록한 가운데, 위중증 환자는 다시 400명대로 올라섰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8월 31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333명, 해외유입 사례는 39명이 확인돼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5만 1421명(해외유입 1만 3550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4만 5035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0만 6203건(확진자 261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만 4101건(확진자 40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16만 5339건이며, 신규 확진자는 총 1372명이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1343명으로 총 22만 1701명(88.18%)이 격리해제 돼, 현재 2만 7435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409명이며, 사망자는 1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285명(치명률 0.91%)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452명, 경기 420명, 인천 72명, 경남 56명, 대구 50명, 부산·강원 각각 44명, 충남 38명, 대전 34명, 강원 29명, 경북 27명, 전북 26명, 울산 24명, 광주 17명, 충북 15명, 전남 13명, 세종·제주 각각 8명이다. 해외유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1400명대를 기록한 가운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5만 명대를 돌파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8월 30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426명, 해외유입 사례는 61명이 확인돼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5만 51명(해외유입 1만 3512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3만 3757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4만 6482건(확진자 309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만 2510건(확진자 64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9만 2749건이며, 신규 확진자는 총 1487명이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1632명으로 총 22만 358명(88.13%)이 격리해제 돼, 현재 2만 7409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396명이며, 사망자는 5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284명(치명률 0.91%)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436명, 경기 402명, 대구 83명, 인천 63명, 경남 61명, 충남 57명, 부산 55명, 경북 39명, 충북 36명, 울산 35명, 광주·대전·강원 각각 29명, 전남 27명, 전북 25명, 제주 12명, 세종 8명이다. 해외유입 확진자는 검역단계에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이틀째 2000명대를 기록한 가운데, 4단계 거리두기 조치는 2주 더 연장됐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8월 20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2001명, 해외유입 사례는 51명이 확인돼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3만 2859명(해외유입 1만 3045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4만 8305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9만 3047건(확진자 457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만 6750건(확진자 67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15만 8102건이며, 신규 확진자는 총 2052명이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1540명으로 총 20만 2775명(87.08%)이 격리해제 돼, 현재 2만 7887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385명이며, 사망자는 6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197명(치명률 0.94%)이다. 지역별로는 경기 633명, 서울 549명, 부산 131명, 인천 117명, 경남 88명, 충남 71명, 경북 64명, 대전 58명, 제주 56명, 충북 44명, 대구·전북 각각 39명, 울산 28명, 강원 26명, 전남 23명, 광주 22명, 세종 13명이다. 해외유
우리나라 상급종합병원에서의 중증환자를 위한 간호사 적정 인력 배치기준이 제시됐다. 현재의 1등급 배치기준은 간호사 1명이 10명의 환자를 낮번, 초번, 밤번 근무 등의 3교대로 돌보고 있는데, 초과근무 상쇄를 위해서는 간호팀당 0.88명의 간호사가 더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18일 이 같은 내용의 ‘중증질환 환자의 입원간호 적절성 확보를 위한 간호인력 배치 모델 개발(서울대 산학협력단 서은영)’ 연구 보고서를 공개했다. 현재 우리나라의 상급종합병원 간호사 배치 등급은 간호사 1명당 담당 병상 수로만 구분할 뿐, 환자의 중증도는 반영되지 않고 있다. 간호사 적정 인력 배치는 의료서비스의 질과 환자만족도 향상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나, 중증복합질환자를 위한 간호사 적정 인력 배치기준은 전무한 상태이다. 연구는 환자 중증도에 따른 간호업무량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국공립병원 중 서울대학교병원의 간호사 60명을 6일간 직접 관찰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연구 결과 직접간호, 간접간호, 비생산시간의 총합은 평균 28.84시간이었고, 한 근무조 당 근무시간은 평균 9.61시간으로 나타났다. 낮번과 초번근무의 비생산시간은 각각 0.46시간
휴온스가 2분기에도 안정적인 실적을 내며 순항했다. ㈜휴온스(대표 엄기안)는 2분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 1111억원, 영업이익 126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 7%, -5% 증감했다고 17일 밝혔다. 별도재무제표 기준으로는 매출 1039억원을 기록해 사상 첫 별도 기준 분기 매출 1천억원을 돌파하는 호실적을 거뒀으며, 영업이익은 128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각 10%, -9% 증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휴온스의 2분기 실적은 대표 건강기능식품인 여성 갱년기 유산균 ‘엘루비 메노락토 프로바이오틱스’가 호실적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엘루비 메노락토 프로바이오틱스는 2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배 가량 증가하며 분기 매출 100억원을 돌파한 것으로 집계됐다. 의약품에서는 생리식염수주사제, 리도카인주사제 등의 대미 수출이 꾸준히 이어졌으며, LDS 백신 안전 주사기 수출이 신규 매출로 유입되면서 성장에 힘을 보탰다. 국내에서는 순환기계 등 만성질환 전문의약품이 꾸준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고, 연속혈당측정기 ‘덱스콤G6’의 저변이 넓어지면서 의료기기 매출도 상승했다. 휴온스 2분기 영업이익이 소폭 줄어든 배경은 연구개발비 증가와 건강기능식품
보령제약(대표 안재현·이삼수)의 고혈압 치료제 ‘카나브(성분명 피마사르탄)‘가 뇌졸중 환자의 혈압 조절에도 뛰어난 효과를 발휘해 뇌졸중 재발 및 심혈관 질환 위험을 감소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뇌졸중은 세계 사망원인 2위이자, 국내 단일질환으로는 사망률 1위를 차지할 정도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이다. 이러한 뇌졸중의 가장 큰 원인이 바로 ‘고혈압’이다. 실제 2002년부터 2010년까지 실시한 국내 레지스트리 연구에서 뇌졸중의 가장 흔한 위험 인자가 고혈압(64%)인 것으로 조사됐다. 따라서 고혈압 치료는 뇌졸중 일차 예방뿐만 아니라 급성기 이후 뇌졸중 및 주요 혈관 질환의 재발 감소를 위해서도 중요하다. 보령제약은 최근 대한신경과학회 주관 국제학술지인 ‘저널 오브 클리니컬 뉴롤로지(JOURNAL OF CLINICAL NEUROLOGY)’에 카나브를 통한 뇌졸중 환자의 혈압 조절율을 알아본 ‘패뷸러스(FABULOUS)’ 연구결과를 공개했다. ‘패뷸러스(FABULOUS)’ 연구는 2016년부터 2019년까지 3년 동안 급성기 이후 허혈성 뇌졸중(Ischemic Stroke) 또는 일과성 허혈 발작(Transient Ischem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발생이 1900명대에 근접하며 다시 역대 최다 규모를 경신했다. 또 위중증 환자는 계속 증가하고 있어 병상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55~59세 연령층을 대상으로 한 백신 예방접종이 이뤄지고 있어 접종완료자 700만 명대 목전에 두고 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7월 28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823명, 해외유입 사례는 73명이 확인돼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9만 3427명(해외유입 1만 1733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5만 7006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6만 5737건(확진자 392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만 2336건(확진자 66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13만 5079건이며, 신규 확진자는 총 1896명이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1865명으로 총 17만 494명(88.14%)이 격리해제 돼, 현재 2만 850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286명이며, 사망자는 4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083명(치명률 1.08%)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568명, 경기 543명, 인천 101명, 부산 99명, 경남 93명, 대전·강원 각각 74명, 대구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발생이 1300명대를 기록한 가운데, 55~59세 연령층에 대한 백신 접종이 시작돼 정체됐던 접종에 다시 속도가 붙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7월 27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276명, 해외유입 사례는 89명이 확인돼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9만 1531명(해외유입 1만 1660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5만 6263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8만 3324건(확진자 206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8471건(확진자 38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14만 8058건이며, 신규 확진자는 총 1365명이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1264명으로 총 16만 8629명(88.04%)이 격리해제 돼, 현재 2만 823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269명이며, 사망자는 2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079명(치명률 1.09%)이다. 지역별로는 경기 364명, 경기 349명, 경남 85명, 대전 71명, 대구 66명, 부산 64명, 강원 60명, 인천 58명, 충남 37명, 전북 30명, 광주 22명, 경북 20명, 전남·제주 각각 15명, 충북 12명, 울산 5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