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3 (수)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동정

순천향대 부천병원 김상균 교수, 제35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 수상

만성 B형 간염 ‘면역관용기’ 진단 기준 개선 필요성 제시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소화기내과 김상균 교수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주관하는 ‘제35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고 23일 밝혔다.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은 매년 각 학술단체로부터 추천받은 우수 논문 가운데, 학술지 영향력과 논문의 질, 창의성, 학문 발전 기여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수여하는 권위 있는 상이다.

김 교수는 국제학술지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2024년 Impact Factor: 16.9)에 발표한 논문 「면역관용기에 있는 만성 B형 간염 환자의 장기 예후와 조직학적 검사의 필요성」을 통해 수상자로 선정됐다. 

이 연구는 만성 B형 간염 환자 중 ‘면역관용기’로 진단된 259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면역관용기는 간 수치(ALT)가 정상이나 B형 간염 바이러스 수치(HBV-DNA)는 높은 상태로, 간 손상이 거의 없는 안정기로 간주해 항바이러스 치료 대상에서 제외되어 왔다. 현재 미국과 유럽 등 주요 치료 가이드라인에서는 간단한 혈액검사 결과를 이용해 면역관용기 진단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김 교수팀의 연구에 따르면, 혈액검사상 면역관용기로 분류된 환자 중 약 68%는 간 조직 검사에서 간 섬유화나 염증이 이미 진행된 상태로 확인됐다. 특히 35세 이상이거나 간 수치가 높고, 알부민 수치가 낮은 환자일수록 간 손상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 환자군을 장기적으로 추적 관찰한 결과, 간세포암이나 간경변 등 중증 간 질환의 발생 위험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김 교수팀은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35세 이상인 면역관용기의 만성 B형 간염 환자는 치료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간 조직 검사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현재의 혈액검사 진단 기준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김상균 교수는 “연구에 참여해 주신 여러 기관의 연구자분들께 감사드리며, 특히 주도적으로 연구에 헌신해 주신 유정주·김영석 교수님께 수상의 영광을 돌린다”며, “현재 치료 사각지대에 놓인 B형 간염 환자들을 위한 후속 연구를 진행 중이다. 이번 연구가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