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d텔레그램thinkDB%_마사지디비|-'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2,829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7,000명 이상의 아시아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조기 퇴직, 조기 건강 악화에 대한 기대 웰빙 비용에 대한 우려로 모바일 앱을 사용하여 DIY 건강 관리를 하게 되는 사람들 향후 5~10년 동안 재무 목표 및 퇴직 저축 목표 달성에 대한 낙관 새로운 역풍을 헤쳐나가는 사람들이 더 건강하고 부유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돕는 매뉴라이프 홍콩, 2023년 3월 29일 /PRNewswire/ -- 길고 건강한 퇴직 후의 삶은 많은 사람들의 염원이지만 아시아의 많은 소비자들은 일을 그만둔 직후 건강 악화를 우려하고 있습니다. 매뉴라이프(Manulife)의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의료 비용 상승과 개인
한국GSK(한국법인 대표 롭 켐프턴)는 27일 자사의 전립선비대증 치료제 ‘듀오다트(Duodart, 성분명: 두타스테리드 0.5mg/탐스로신염산염 0.4mg)’의 국내 출시 1주년을 기념하는 사내 행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전립선비대증 치료제 듀오다트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출시된 5α-환원효소 억제제(두타스테리드)- 알파차단제(탐스로신염산염) 고정용량복합제다. 두 가지 성분을 하나의 캡슐에 담아 빠른 증상 개선 및 장기간 질환 진행 조절이 가능하며, 약물 사용 빈도 최소화 및 환자의 복용 누락 가능성 감소 등 복약 편의성을 개선했다. 이러한 강점을 바탕으로 국내 출시 11개월 만에 시장 점유율 6.3%(UBIST, 5ARI 급여 시장에서의 2023년 1월 처방조제액 기준)를 달성했으며, 첫 해에 매출 50억원을 넘어서는 등(IQVIA 4Q MAT 2022, sales value data) 전립선비대증 치료 분야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잡아 가고있다. 듀오다트 허가 임상인 CombAT 스터디에 따르면, 4844명의 양성 전립선비대증 환자를 대상으로 두타스테리드-탐스로신염산염 병용요법과 두타스테리드 또는 탐스로신염산염 단독요법을 비교한 결과, 병용요법군은 3개월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의료원장 유경하)이 지난 19일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계림홀에서 '2023 내과 개원의 연수강좌'를 개최했다. 이번 연수강좌에서는 이대목동병원, 이대서울병원의 내과계 의료진들이 실제 진료실에서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임상 증례 및 최신 지견에 대한 발표를 하고, 이에 대해 토의하는 시간이 진행됐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문영철 이대목동병원 혈액내과 교수와 심기남 이대서울병원 소화기내과 교수가 좌장을 맡아 ▲대장 톱니 용종의 A to Z (송은미 이대서울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담낭 용종과 담낭벽비후, 무엇이 문제일까요? (금지영 이대목동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멍이 잘 들어요 – 멍에 대한 진실과 오해 (박영훈 이대목동병원 혈액내과 교수)에 대한 주제로 치료 경험과 최신 지견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어 두 번째 세션에서는 김재필 양천구 의사회장과 편욱범 이대서울병원 순환기내과 교수가 좌장으로 ▲코로나 후유증의 접근과 치료 : 코로나 완치 후 증상이 남아있어요 (최명근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잠복결핵 (김남은 이대서울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기침이 잦은 환자, 감기일까요? - 알기 쉬운 천식의 진단과 치료
모나코, 2023년 3월 21일 /PRNewswire/ -- Minderoo-Monaco Commission on Plastics and Human Health(위원회)가 전례 없는 분석 결과를 제시했다. 보건, 해양 및 환경 분야의 세계 주요 연구원들이 모여, 분석을 통해 지구의 모든 생명체에 대한 플라스틱의 높은 위험성의 정량화를 도모한 것이다. 플라스틱은 라이프 사이클의 모든 단계에서 질병, 장애 및 조기 사망을 야기한다. 플라스틱은 특히 취약 계층, 저소득층, 소수민족 및 아동에서 불균형적으로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 플라스틱에 첨가됨으로써 사람들에게서 일상적으로 검출되는 독성 화학물질은 유산, 비만, 심혈관 질환, 암의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플라스틱 폐기물은 해양 도처에 존재한다. 해양은 인간이 산소, 식량 및 생계를 위해 의존하는 대상이다. 해양으로 유입된 플라스틱 폐기물은 바다와 해저를 오염시키고, 해양의 먹이 사슬 안으로 들어간다. 멀티미디어 뉴스 보도자료 보기:https://www.multivu.com/players/uk/9150051-plastic-threatens-human-and-planetary-
아태지역 세포 치료 연구 지원 프로그램 실시 - 아시아태평양 전역의 세포 유전자 치료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해 싱가포르에서 프로그램 시행 - 프로그램을 통해 차세대 생명을 구하기 위해 약물 및 치료제를 개발하는 연구자들이 환자 결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도록 모든 단계의 여정을 지원할 것 (서울, 대한민국 2023년 3월 20일 PRNewswire=모던뉴스) 세계적인 과학 기업 써모 피셔 사이언티픽(Thermo Fisher Scientific Inc. 이하 써모 피셔)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걸쳐 세포 치료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해 싱가포르에 새로운 세포 치료 협력 센터&nb
-- 데이터에 따르면, 세계 인구의 약 절반이 구강 질환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 FDI, 세계 구강건강의 날 맞아 구강 건강 조치에 우선순위 두도록 촉구 제네바 , 2023년 3월 20일 /PRNewswire/ -- - 사진은 AP Images(http://www.apimages.com)에서 확인 가능 - FDI 세계치과의사연맹(FDI World Dental Federation, FDI)이 전 세계 정부와 국제 보건기관에 구강 질환에 대한 대응에 우선순위를 둘 것을 촉구했다. 여기에는 올 9월에 열리는 유엔(UN) 보편적 의료 보장(Universal Health Coverage, UHC) 고위급 회담(High Level Meeting, HLM)에 구강 건강을&nb
줄기세포 생착시간과 심장 기능을 크게 개선시킨 새로운 심장 조직 재생 패치가 개발됐다. 가톨릭대학교 가톨릭중앙의료원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생명과학교실 전흥재 교수(세포조직공학연구소장)가 가톨릭중앙의료원 산하 임상연구팀들과 함께 다학제적 연구를 통해 ‘심장 조직 재생을 위한 패치’를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전흥재 교수팀이 개발한 패치는 천연 세포외기질의 구성성분인 콜라겐 나노섬유와 수술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합성 PLGA 마이크로섬유로 구성된 새로운 나노/마이크로 두 가지 형태의 복합 섬유 패치형 바이모달 (bi-modal) 스캐폴드다. 이들은 독립적인 노즐 제어 다중 전기방사 장치를 사용해 제작됐으며, 전흥재 교수팀은 응급의학과(여의도성모병원 위정희 교수), 순환기내과(성빈센트병원 유기동 교수), 흉부외과(부천성모병원 심성보 교수) 등의 유수의 임상연구진들과 함께 새로 개발한 바이모달 패치의 심장조직공학제제로서 실현 가능성을 검토했다. 줄기세포 함유 심장 패치로 실현 가능성에 대해 체계적으로 조사한 결과, Col/PLGA 패치의 나노/마이크로 바이모달 분포는 4-6% 콜라겐 농도 범위에서 나타났으며, 콜라겐의 약한 기계적 성질과 PLGA의 소수성 성질은
일차 및 이차평가변수의 유의미한 임상적 성과는 20년 만에 저등급 신경교종 치료 분야 최초로 큰 진전을 이루다 평가변수는 사전에 명시한 중간 분석을 충족했다 보라시데닙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패스트트랙을 승인받았다 파리 및 보스톤, 2023년 3월 16일 /PRNewswire/ -- 글로벌 제약 그룹 Servier는 오늘 잔류 또는 재발 IDH 돌연변이 저등급 신경교종 환자를 위한 단일요법의 보라시데닙(vorasidenib)을 조사하는 제 3상 INDIGO 임상 시험이 무진행 생존기간(PFS, Progression Free Survival)의 일차평가변수 및 다음 개입까지의 시간(TTNI, Time To Next Intervention)의 주요 이차평가변수를 충족했다고 발표했다. 사전에 명시한 중간 분석 결과는 통계적, 임상적으로 모두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Servier의 임상
재발한 교모세포종 환자에 인터루킨(IL)-7을 이용한 항암면역치료제를 처음 적용된 연구결과가 발표됐다.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은 신경외과 안스데반(제1저자)·전신수(교신저자) 교수팀이 재발한 교모세포종 환자를 체내에서 장기간 생존하도록 유전자를 조작한 IL-7인 항암면역치료제 rhIL-7-hyFC(GX-17)로 치료했다고 9일 밝혔다. 총 18명의 환자 중 10명은 경구용 항암제 테모졸로마이드과 함께 rhIL-7-hyFC를 투여받았고, 5명은 항암제 베바시주맙과 함께, 1명은 PCV 항암제와 함께, 2명은 rhIL-7-hyFC 단독으로 투여받았다. 그 결과, 환자들은 투약 4주 이내에 림프구가 평균 1131개(330-2989 범위)에서 4356개(661-22661 범위)로 상승했고, 반복 투약동안 림프구 수가 높게 유지됐다. 전체 환자의 재발진단 후 생존기간은 387일이며, 무병생존기간은 231일로 나타났다. 안스데반 교수는 “본 연구는 재발성 교모세포종 환자에서 인터루킨-7을 이용한 첫 임상연구 결과로, 다양한 항암제들과 병용 투여하였을 때 유의한 독성 없이 림프구를 유의하게 상승시키는 것을 확인했고, 추후 대규모 임상시험을 통해 생존율 향상을 살펴볼 것”
-- 방문객에게 고성능 의료용 TPU 펠릿 선보일 예정 (신주 2023년 3월 9일 PRNewswire=모던뉴스) 대만의 의료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공급업체인 ICP DAS - BMP(Biomedical Polymers)가 한국에서 열리는 국제의료기기·병원설비 전시회(KIMES 2023)에 처음으로 참가한다. ICP DAS - BMP의 전시 하이라이트는 50% 텅스텐(W50)과 40% 황산바륨(B40)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로 만든 TPU 펠릿이다. KIMES 2023은 이달 23~26일에 서울에서 개최된다. ICP DAS - BMP to partake in KIMES 2023 ICP DAS - BMP는 이번 전시회에서 Alithane™(ALP 시리즈), Durathane™(ALC 시리즈), Arothane™(ARP 시리즈) 등 안정성이 높은 의료 등급 TPU 펠릿 시리즈 3종을 전시할 예정이다. 모든 TPU
수십억 명에게 손 씻기 고무하고자 세계 최초로 손 홍보대사 임명 뉴델리, 2023년 3월 7일 /PRNewswire/ -- Savlon Swasth India Mission이 역사상 가장 위대한 크리켓 선수 중 한 명인 Sachin Tendulkar를 세계 최초의 '손 홍보대사(Hand Ambassador)'로 임명하는 독특한 행보를 보였다. 크리켓 세계에 대한 지대한 공로로 세계적으로 존경받는 마스터 블래스터(Master Blaster)인 그는 크리켓 역사상 수많은 최초 성과를 올리며 여러 세대에 영감을 제공했다. 이번에 그는 "적절한 손 씻기를 실천하도록 수십억 명에게 영감을 불어넣는 손 홍보대사"라는 특별한 대의명분에서 자신의 소중한 손을 이용하는 또 다른 최초의 행보를 보였다. ITC의 Savlon Swasth India Mission은 혁신적인 경험과 프로젝트를 통해 손 위생을 향한 행동 변화의 씨를 뿌리며 최전선에서 활약해왔다. 예방 가능한 전염병은 국가 경제에 큰 부담을 주며, 규칙적인 손 씻기는 질병 전파를 방지할 가장 간단하고도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다. Sachin Tendulkar를 최초
■ 경희의료원(2명)- 정민형 의료협력본부 국제진료센터장- 정비오 의료협력본부 홍보실장 겸 경희대학교병원 홍보부장 ■ 경희대학교병원(8명)- 안형준 외과장- 강원섭 정신건강의학과장- 안태범 신경과장- 곽원건 제1중환자실장- 이승현 제8중환자실장- 김미경 마취통증의학과장- 황현석 신장내과장- 손은정 간호본부 병동간호1팀장 ■ 경희대학교치과병원(6명)- 배아란 교육부장 겸 종합진료실장- 노관태 보철과장 및 중앙기공실장- 최병준 집중치료센터장- 김형섭 임플란트센터장- 김덕수 통합진료센터장- 김수정 QI부장 ■ 경희대학교의료원(1명)- 조상우 미래전략처 대외협력실 대외협력팀장
필라델피아, 상하이 및 이탈리아 베로나, 2023년 3월 3일 /PRNewswire/ -- ClinChoice Medical Development는 이탈리아 베로나에 법인 본사가 있고 노스캐롤라이나주 캐리에 미국 본사가 있는 ISO 인증 풀 서비스 계약 연구 기관인 CROMSOURCE S.r.l.의 인수를 발표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 CROMSOURCE는 유럽과 미국 전역의 여러 지역에 걸쳐 현장 기반 직원과 함께, 미국과 서유럽 및 동유럽 전역의 7개국에 운영 자회사를 두고 있다. 1997년에 설립된 CROMSOURCE는 뛰어난 임상 연구 및 직원 역량으로 글로벌 제약, 생명 공학 및 의료 기기 고객을 지원한 입증된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이번 인수로 ClinChoice의 글로벌 네트워크가 강화되고 전체 서비스 역량이 심화될 것이다. 동급 최고의 품질과 정시 서비스 제공에 대한 ClinChoice의 약속은 생체 인식, 규제, 안전, 의료 및 임상 운영을 포함하여 임상 시험 및 기능의 성공적인 실행에 대한 강력한 실적을 가져왔다. ClinChoice는 프로젝트 기반 모델 및 FSP 모델 모두를 활용하여 의약
이스트 러더퍼드, 뉴저지주, 2023년 3월 2일 /PRNewswire/ -- 세계 선도적인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인 Cambrex가 품질, 서비스, 전문지식 및 호환성 부문에서 2023년 CDMO 리더십 어워즈(Leadership Awards)를 수상했다고 발표했다. 또한, Cambrex는 서비스 부문에서 '챔피언(Champion)'으로 선정됐다. 이로써 Cambrex는 9년 연속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Cambrex CEO Thomas Loewald는 "고객으로부터 선도적인 제약 산업 공급사로 선정돼 영광"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그는 "올해는 4개 부문에서 인정을 받았지만, 서비스 부문에서 챔피언으로 인정받아 특히 자부심을 느낀다"라며 "이는 꾸준하게 우수한 고객 경험을 제공하고자 하는 자사의 목표가&nbs
희귀질환 환자의 여정에 함께하고 있는 한국다케다제약 유전질환사업부 브랜드매니저 삼인방은 그들이 치료를 받고,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에 기여하고 있다는 것을 느낄 때면 자부심을 갖게 된다고 말한다. 특히 이들의 어깨를 올라가게 하는 것은 담당 제품들이 가진 장점들이다. 경쟁 치료제 대비, 또는 기존 치료로 한계를 보였던 환자들에게 새 희망을 선물해주고 있다는 점이 그들로 하여금 보람을 느끼게 한다. 한국다케다제약 유전질환사업부에서 파브리병 치료제 ‘레프라갈주’를 담당하는 박상우 브랜드매니저, 유전성혈관부종 치료제 ‘피라지르프리필드시린지’와 고셔병 치료제 ‘비프리브주’를 담당하는 김도현 브랜드매니저, 거대세포바이러스 치료제 ‘리브텐시티정’을 담당하는 홍예솔 브랜드매니저에게 자세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Q.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박상우 브랜드매니저 (이하 박상우 BM)]‘레프라갈주’ 브랜드를 담당하고 있는 박상우입니다. 제 기억으로는 2018년 파브리병 환자분이 약 150분 정도였던 것 같은데, 지금은 치료받은 파브리병 환자분들만 200명이 넘습니다. 약 5년 동안 저도 희귀질환인 파브리병을 많이 알리고 환자분들이 많이 치료받을 수 있게 돼 굉장히 개인적으로 뜻
2월이 독특한 달로 꼽히는 것은 비단 1년 열두달 중 가장 날이 적어서만은 아니다. 통상적으로는 28일까지이나 4년에 한 번씩은 하루가 더 선물로 주어지는 희소성이 특별함을 더해주기 때문이다. 유럽희귀질환기구가 ‘세계 희귀질환의 날’을 2월 28일이 아닌 2월 마지막 날로 지정한 것도 이와 같은 희귀성에 따른 이유다. 전 세계적인 희귀질환은 6000~7000여가지로, 국내에만 1000종 이상의 희귀질환이 환우들을 괴롭히고 있지만 애석하게도 대중에게는 희귀질환이라고 하면 기껏해야 파브리병 정도만 인식될 뿐, 인지도가 낮은 편이다. 누구 하나 알아주는 사람은 없지만 희귀질환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희귀질환 환우들의 아픔을 덜어주기 위해 묵묵히 맡은 역할을 해나가는 사람들이 있다. 한국다케다제약의 유전질환사업부 직원들이다. 유전질환사업부는 리소좀 축적질환인 파브리병과 고셔병부터 유전성 혈관부종, 거대세포바이러스 등 희귀한 영역의 질환들을 담당하는 그야말로 ‘희귀질환 전문’ 사업부다. 사업부의 수장인 지창덕 총괄을 비롯해 김지영 마케팅매니저, 박상우 브랜드매니저, 김도현 브랜드매니저, 홍예솔 브랜드매니저 그리고 영업팀으로 구성됐다. 고셔병과 파브리병은 유전적 원인에
25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가 7개월간의 공백 끝에 새 수장을 맞이했다. 김진석 전 식품의약품안전처 차장이 그 주인공이다. 경성약대 출신의 김진석 원장은 질병관리청(구 질병관리본부) 역학조사과장을 지낸 후 2010년부터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한약정책과장, 대변인, 위해사범중앙조사단장, 의료기기안전국장, 경인식약청장, 바이오생약국장, 기획조정관 등 다양한 업무를 담당한 제약업계 전문가다. 이제 취임한지 갓 한 달, 정신없는 나날을 보내고 있는 김진석 원장은 메디포뉴스와의 만남을 통해 환자·의료 현장과의 소통 강화와 안정적인 희귀·필수 의약품 공급에 대한 강한 의지를 내비쳤다. 또 관계당국과의 소통을 위한 정보공유시스템 구축과 법적인 근거 마련에도 박차를 가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2월 마지막 날인 ‘희귀질환의 날’을 맞아 메디포뉴스는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에서 김진석 신임원장을 만나고 취임소감과 향후 중점 추진과제 등에 대해 들어봤다. Q.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에 대해서 소개 부탁드립니다.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이하 센터)는 지난 1999년도에 설립됐습니다. 희귀·난치질환 환자들이 시장에서 필요한 의약품을 구입할 수 없을 때 정부와 우리
-- 45년 이상의 주요 기술 발전으로 청력과 삶의 질 개선 인스브루크, 오스트리아, 2023년 2월 24일 /PRNewswire/ -- 이식형 청각 솔루션 분야의 선도기업인 MED-EL이 인공와우를 사용하며 그 혜택을 누리는 모든 사람과 함께 세계 인공와우의 날(World Cochlear Implant Day)을 기념했다. 세계 인공와우의 날은 45년 전에 현대식 인공와우가 처음 발명된 이래 이뤄온 엄청난 기술 발전을 돌아보고 이를 기리는 날이다. 전 세계적으로 약 100만 개의 인공와우(Cochlear implant, CI) 이식을 통해 사람들이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지원한 MED-EL에 있어, 이날은 회사가 이룬 위대한 성공을 축하하는 날이기도 하다[1]. Baby with a cochlear implant 오스트리아의 과학자 Ingeborg와 Erwin Hochmair 박사가 1970년대 초에 첫 번째 인공와우 장치를 연구하기 시작한 이래,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작은 디자인과 미래 대비형 내장 기술을 갖춘 인공와우 시스템을 갖추기까지 상당한 진전이 있었다. 초기 인공와우는 비록 부
룬드, 스웨덴, 2023년 2월 23일 /PRNewswire/ -- Syntach AB("Syntach")가 자사의 Syntach Cardiac Support 시스템(Syntach CS)이 이달 25~28일에 워싱턴 DC의 Omni Shoreham 호텔에서 열리는 CRT 2023 연례 회의의 Best Innovation Competition에서 구두 발표 대상으로 선정됐고 밝혔다. 이와 함께, Syntach의 기술은 CRT 2023 Top Innovation Award 후보에도 올랐다. 수상자 발표는 2023년 2월 28일(화요일) FDA 타운홀 오찬에서 이뤄질 예정이다. Cardiovascular Research Technologies(CRT)는 의사와 의료 전문가를 위한 새로운 심혈관 기술 및 절차에 대한 선도적인 교육 포럼이다. CRT는 중재적 심장 전문의, 일반 심장 전문의, 흉부외과 및 혈관외과 의사, 카테터 검사실 관리자, 간호사 및 기술자, 과학자 및 심혈관 의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모범적인 교육을 위한 포럼을 제공한다. CRT 2023에서
호남권 공공보건의료 교육의 거점 역할을 할 전남대학교병원 임상교육훈련센터가 건립추진단 발족식과 함께 본격적인 준비에 돌입했다. 전남대병원은 22일 오후 2시 의생명연구지원센터 1층 중역회의실에서 안영근 병원장을 비롯해 내외빈 등 병원 관계자 60여 명이 모인 가운데 임상교육훈련센터 건립추진단 발족식을 개최했다. 이날 발족식에서 주재균 건립추진단장(교육수련실장·외과 교수)이 임상교육훈련센터 사업 추진 경과를 설명했으며, 안영근 병원장이 단장, 부단장 그리고 교육책임위원 등 8명에게 건립추진단 임명장을 수여했다. 수여식 후 추진단 및 병원 관계자들은 의생명연구지원센터 1층 로비에서 임상교육훈련센터에 마련될 시뮬레이터와 의료기기 장비들을 미리 체험해보는 부스 투어를 실시했다. 이후 ▲가톨릭대학교 START센터 김영민 센터장의 ‘시뮬레이션센터 설계 및 운영 - 가톨릭의대 START센터 경험을 중심으로’, ▲메드트로닉 이노베이션센터 이상범 부장 ‘의료인 대상 교육훈련기관의 시설 및 운영’, ▲분당서울대병원 SMART의료시뮬레이션센터 신유연 코디네이터 ‘분당서울대병원 SMART 시뮬레이션센터 개소 경험’, ▲연세의료원 임상실기교육센터 정현수 센터장 ‘의료시뮬레이션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