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90텔RADARDB❤️성인pc게임디비문의|l'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1,827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국내 소아정신과 전문의들의 공식적인 학술 단체인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에서 지난 2022년 6월, ‘우리 아이마음 해결사, 우아해(이하, 우아해)’라는 공식 유튜브 채널을 개설했다. 뉴미디어 시대의 흐름에 맞춰 육아를 하는 부모들에게 도움이 되는 좋은 정보, 신뢰할 수 있는 검증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함이다. 최근 영유아 발달과 소아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대한 부모들의 관심이 폭발적이다. 하지만 수요가 많은 만큼 온라인 상에 검증되지 않은 수많은 정보들이 공급되고 있으며, 때로 왜곡되거나 객관적이지 못한 내용들도 전달된다. 이러한 정보의 홍수 속에서 잘못된 정보들을 거르는 장치가 없고, 수용자도 이러한 정보를 비판적으로 받아들이지 못한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정보의 소비자들에게 전가될 것이다. 더군다나 육아는 생애 초기 경험과 학습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그 영향은 평생에 걸쳐 이어질 수 있어 더욱 우려된다.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공식 유튜브 채널 ‘우아해’는 소아정신과 진료와 연구 및 교육에 매진하는 대학병원 교수들, 지역사회에서 활동하고 있는 소아정신과 전문의들이 검증되고 신뢰할 만한 정보를 대중과 공유하여 부모들이 내용을 쉽게 이해하고 실생활에 적용할 수
-- 진행성 간세포암종 환자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 (상하이 2022년 7월 4일 PRNewswire=모던뉴스) 세포 면역치료 제품 개발, 제조 및 상업화에 집중하는 독자적이고 혁신적인 생명공학 기업 JW Therapeutics(HKEX: 2126)가 진행성 간세포암종(hepatocellular carcinoma, HCC)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1상 임상 연구 JWATM204를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간 암종으로도 알려진 원발성 간암(Primary liver cancer. PLC)은 세계에서 가장 흔한 위장관 악성 종양 중 하나다. 간암 중 약 85~90%가 간세포암종이다. 2020년 GLOBOCAN 설문조사에 따르면, 매년 전 세계적으로 906,000명의 간세포암종 환자가&nbs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의약품 안전나라에 의하면 6월 품목 허가된 의약품은 총 97개로 이 중에서 일반의약품은 23개, 전문의약품은 74개 품목이 허가를 받았다. 일반의약품 23품목 중에서는 표준제조기준 품목이 13개, 기타 품목이 10개였다. 국제약품의 ‘원스아이점안액1%’, 초당약품공업의 ‘나노아세트정160mg’, 유한양행의 ‘센스프리연질캡슐’ 등이 허가를 받았다. 전문의약품 중에서는 신약이 12품목, 자료제출의약품이 22품목, 기타가 40품목이었다. 허가된 신약 중에서는 노바티스가 가장 많은 품목허가를 획득했다. 이 중 노바티스는 백혈병약 ‘셈블릭스’에 대해 40mg와 20mg을 허가받았다. 셈블릭스는 애시미닙 성분으로, 이전 2가지 이상의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TKI)로 치료를 받은 만성기의 필라델피아 염색체 양성 만성골수성백혈병(Ph+CML) 성인환자 치료제로 허가됐다. BRC-ABL1에 높은 특이성을 보이는 한편, 기존 치료제에서 발생하던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의 내성 및 불내성과 관련된 BCR-ABL1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한 내성 발생 가능성이 낮다. 허가의 근거가 된 ASCEMBL 3상 임상연구에서는 셈블릭스가 대조군인 보수티닙 투여군 대비 24주
휴젤㈜(대표집행임원 손지훈)이 오늘 강원도 춘천에 위치한 춘천베어스호텔 소양홀에서 제22기 임시주주총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임시주주총회에서는 감사 보고와 더불어 ‘브렌트 손더스 (Brent L. Saunders)’의 기타비상무이사 선임의 건이 부의 안건으로 상정, 원안대로 의결됐다. 브렌트 손더스는 향후 이사회를 통해 휴젤 이사회의 새로운 의장으로 선임, 이사회를 이끌어 나갈 예정이다. 브렌트 손더스는 보툴리눔 톡신 및 필러 산업에 정통한 전문가로, 전 세계 보툴리눔 톡신 산업의 기틀을 마련한 ‘앨러간(Allergan, 현 애브비)’의 대표이사 및 회장직을 역임했다. 이외에도 쉐링프라우, 바슈롬, 베스퍼헬스 등 세계 굴지의 제약·바이오 및 헬스케어 기업을 성공적으로 이끌며 글로벌 시장에서 기업 가치 제고의 역량을 입증했다. 브렌트 손더스의 합류로 휴젤의 보툴리눔 톡신 ‘보툴렉스(수출명 레티보(Letybo))’의 시장 확대에도 더욱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휴젤은 올해 1월 프랑스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유럽 주요 10개국에서 허가를 획득했으며, 지난 14일(현지시간)에는 캐나다 연방보건부(Health Canada)로부터 허가 승인을 받은 바 있다. 휴젤은
지난 4월부터 유럽과 미국 등에서 보고되고 있는 원인불명 소아 급성간염 사례가 지난 12일까지 단 한 건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이 5월부터 6월 12일까지 신고된 의심사례에 대한 전문가 검토결과를 28일 발표했다. 질병관리청은 원인불명 소아 급성간염의 국내 발생상황 모니터링을 위해 관련 학회 및 의료계와 협력해 5월부터 감시체계를 구축‧운영 중이다. 검토 결과, 해당 기간 동안 신고된 의심 신고사례는 총 8건이며, 이 중 ‘2022년 5월 이후 내원한 16세 이하의 소아청소년 환자 중 간수치(AST 또는 ALT)가 500 IU/L를 초과하며 A·B·C·E형 바이러스 간염이 아닌 경우’로 정의된 원인불명 소아 급성간염 사례정의에 부합하는 사례는 5건으로 확인됐다. 이후 사례정의에 부합하는 5건에 대해 전문가 심층 검토를 진행한 결과, 사례정의에 부합하는 5건 중 4건은 급성간염 원인 병원체가 각각 EBV(Epstein-Barr Virus) 3건과 E. coli 1건 등으로 추정되는 사례로 밝혀졌다. 나머지 1건은 특정 병원체가 검출되지는 않았으나, 유럽 및 미국 등에서 질환의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는 아데노바이러스 또한 검출되지 않았고 상대적으로 단
한미약품이 스마트폰과 스틱형 기기를 이용해 심전도를 간편히 측정할 수 있는 디지털 의료기기를 전국 의원급 의료기관에 독점 유통한다. 한미약품(대표이사 우종수∙권세창)은 글로벌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얼라이브코어’가 개발한 AI 기반 모바일 심전도기인 ‘카디아모바일6L’의 유통 계약을 최근 체결하고 본격적인 판매를 시작한다고 28일 밝혔다. 카디아모바일6L는 양 손가락과 왼쪽 무릎 또는 왼쪽 발목에 기기를 30초간 접촉하는 방식으로 심전도를 측정(심방세동 검출 민감도/특이도 90% 이상) 할 수 있다. 카디아모바일6L는 미국 FDA와 유럽 CE, 식약처로부터 의료기기 허가 및 인증을 받아 누적 심전도 데이터를 축적해 AI 알고리즘을 구축하며, 이를 토대로 신뢰도 높은 분석 결과를 제공한다. 카디아모바일6L를 통해 일상 생활 중에도 간편히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되면서 대표적인 심장질환 중 하나인 심방세동을 조기에 발견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심방세동은 심방이 균일하게 수축하지 못하여 불규칙한 맥박을 일으키는 부정맥의 일종으로 심부전, 뇌졸중 발병의 중요한 위험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일상 생활에서의 심전도 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다. 한미약품 관계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원희목)는 세계 제약바이오산업 심장부인 미국의 정부 규제기관과 제약사, VC(벤처캐피털) 등에서 핵심 역할을 맡고 있는 한국계 인재들과의 소통·협력 네트워크를 구축, 국내 기업들의 미국 시장 진출을 보다 공격적으로 뒷받침하기로 했다. 협회는 최근 원희목 회장이 한국바이오혁신센터 개소 및 바이오USA 개최와 연계, 미국을 방문해 현지에서 가진 다양한 교류와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한 협력 방안 논의를 통해 이같이 추진하기로 했다고 16일 밝혔다. 원 회장은 14일(현지 시각)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제약바이오 미국 진출 전략 세미나 및 디너 심포지엄’(한국인의 밤 2022)에 참석, “미국내 제약바이오 관련 각 분야에 포진한 한국계 인적 자원들과 다기화되고 심층적인 네트워크를 만들어 K-팜(Pharm) 성공시대를 같이 열어가보자”고 밝혔다. 원 회장은 이와 함께 “협회는 2019년 이래 세계 최대의 바이오 클러스터인 보스턴에 대한 회원 기업들의 진출을 적극 지원해왔다”면서 “앞으로 메릴랜드나 실리콘밸리, 샌디에이고 바이오 클러스터 등과의 기업간 협력에 대해서도 협회 역할을 적극 해나가겠다”고 부연했다. 이 행사는 보건복지부, 산업통상자원
애질런트 테크놀로지스(Agilent Technologies Inc.)는 자사의 ‘PD-L1 IHC 22C3 pharmDx’가 다코 옴니스(Dako Omnis) 플랫폼에서 키트루다(성분명: 펨브롤리주맙) 일차 단독요법에 적합한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를 찾아내는 동반진단 검사법(CDx)으로 식약처 승인을 받았다고 발표했다. 이번 승인으로 애질런트는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키트루다 치료를 위한 세 번째 동반진단 승인을 기록하게 되었으며,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에게 향상된 치료 효과를 제공하는 면역항암제에 대한 접근성이 강화됐다.다코 옴니스는 검사실 인터페이스의 핵심에 통합되는 간결하고 유연한 워크플로우를 지원하는 애질런트의 암 검체 염색 자동 솔루션으로, 해당 면역항암제를 사용할 수 있는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높은 신뢰도로 진단해 더 나은 치료제 선택과 신속한 환자 치료를 가능하게 해 준다. 샘 라하(Sam Raha) 애질런트 진단 및 유전체 부문 대표(President of Agilent’s Diagnostics and Genomics Group)는 “이번에 새롭게 획득한 한국 식약처 승인으로 암 치료 분야에서 이 IHC 기반 동반진단 검사법의 입증된 유효성
- 코로나19 폐렴 입원 환자 중 Reparixin 투여군(n=36)의 임상 이상사례 발생률이 표준 치료군(n=19)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 - 이번 연구는 중증 코로나19 폐렴 환자를 대상으로 IL-8 억제제인 Reparixin의 유효성 및 안전성에 대한 최초 평가 - 2상 결과, 미국흉부학회(ATS)의 2022 국제 콘퍼런스에서 발표 및 Infectious Diseases and Therapy에 게재 밀라노, 2022년 6월 13일 /PRNewswire/ -- Dompe farmaceutici S.p.A("Dompe")가 중증 코로나19 폐렴 환자에서 Reparixin 투여 환자가 표준치료 환자보다 임상 결과가 개선됐음을 입증하는 2상 임상시험 결과를 발표했다. 이러한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더 큰 규모의 3
여러 암의 종류 중에 신장에 타격을 입히는 암은 타 암종에 비해 발병률이 낮지만 그 중 일부는 암이 발병되고 나면 위험도가 더 높다. 특히 신세포암의 경우 조기진단이 어렵고 전이가 빨라 환자의 10~30%는 다른 장기에 전이되고 나서야 암을 발견하게 되기 때문이다. 암이 전이 또는 재발된 경우에는 완치가 어렵기 때문에 효과적인 약물 치료 옵션이 매우 중요한데, 최근 입센코리아(대표 오드리 슈바이처, 이하 입센)가 자사 제품과 타 약물과의 병용 요법 1치 치료 효과를 입증하며 환자들에게 새 치료 옵션 제공에 성공했다. 입센은 자사의 신세포암 치료제 ‘카보메틱스(성분명 카보잔티닙)’와 니볼루맙 (제품명 옵디보 / 오노약품공업-BMS) 병용요법 연구를 통해 1차 치료 효과를 입증해 지난 3월 식약처 허가를 받게 됐다. 입센은 이에 대한 허가를 기념하는 기자간담회를 10일 개최하고 카보메틱스 임상 결과를 조명했다. 간담회에서는 먼저 조백설 의학부 총괄이 나서 ‘CheckMate 9ER’ 임상을 소개했다. CheckMate 9ER 연구는 이번 적응증 허가의 근거가 된 임상 3상 시험이다. 조 총괄에 의하면 CheckMate 9ER에는 상대적으로 고위험군에 속하는 환자
한국오노약품공업(대표이사 최호진)과 한국BMS제약(대표이사: 김진영)은 6월 3일부터 7일까지 개최되는 미국임상종양학회 연례학술대회(ASCO 2022)에서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두 가지 임상연구의 추적조사 결과를 발표했다고 8일 밝혔다. 해당 연구는 옵디보-여보이+2 사이클의 화학요법 병용을 평가한 3상 임상연구 CheckMate-9LA의 3년 추적 결과와 옵디보-여보이 병용요법을 평가한 CheckMate-227 파트 1의 5년 추적조사 결과다. CheckMate-9LA 3년 추적조사 결과와 CheckMate-227 파트 1의 5년 추적조사 결과는 6월 6일 포스터 논의 세션에서 발표됐다. ◆ CheckMate-9LA 3년 추적 결과: 옵디보-여보이+2 사이클의 화학요법 병용, 비소세포폐암에서 PD-L1 발현율 1% 미만 및 종양 조직학적 특성이 편평인 환자 집단에서 화학 단독요법 대비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OS 개선 효과 확인 CheckMate-9LA는 PD-L1 발현율 및 종양 조직학적 특성과 관계없이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1차 치료제로 옵디보-여보이+2 사이클의 백금 기반 화학요법 병용을 화학 단독요법과 비교 평가한 오픈라벨, 무작위 임상
- 중국 NMPA, 동시 또는 순차적 백금 기반 화학방사선 요법 후 질병이 진행되지 않은 절제 불가능한 3기 NSCLC 환자의 치료제로 수게말리맙 승인 - 수게말리맙, 동시 또는 순차적 화학방사선 요법을 받은 3기 NSCLC 환자에 대해 승인된 최초의 항PD-1/PD-L1 단클론항체이자, 3기 및 4기 NSCLC 환자 모두에 대해 승인된 유일한 항-PD-(L)1 단클론항체 - CStone, 8번째 NDA 승인 획득 (쑤저우, 중국 2022년 6월 7일 PRNewswire=모던뉴스) 혁신적인 항암 치료제 및 정밀의약품의 연구, 개발 및 상업화에 주력하는 선도적인 바이오의약품 회사인 Cstone Pharmaceuticals("CStone", HKEX: 2616)와 화이자(Pfizer Inc.)(N
한국로슈진단㈜(대표이사 킷 탕)이 6월 5일 세계 환경의 날을 맞이해 로슈진단 아시아태평양지역의 지속가능경영 노력과 성과가 담긴 ‘로슈진단 아시아태평양지역 지속가능경영보고서 2020/21(Roche Diagnostics Asia Pacific Sustainability Report 2020/21)’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 로슈진단은 ▲환자, ▲사회, ▲환경, ▲사람이라는 4가지 핵심분야에서 유엔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를 경영 전략에 통합하여 다양한 활동을 이행하고 있다. 이번 보고서에는 해당 4개 분야를 중심으로 로슈진단 아시아태평양지역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다양한 활동과 각 국가별 성과가 포함됐다. 첫번째 환자 부문에 있어 로슈진단은 지난 2년간 코로나19 극복 노력과 함께 환자들의 삶의 질 개선을 목표로 한 환자중심주의를 지속 실천해왔다. 한국로슈진단은 코로나19 대유행 초기부터 PCR 검사가 원활히 시행될 수 있도록 핵산추출시약을 공급했으며, 2020년 1월부터 2021년 4월까지 시행된 약 800만회의 코로나19 PCR 검사 중 절반 이상을 공급한 바 있다. 지난해 상반기에는 국내 최초의
-- 싱가포르의 생명공학 에코시스템 촉진 -- Amgen, 동남아시아에서 생명공학 스타트업의 혁신 지원하고자 마련된 NSG Tomorrow 프로그램의 첫 번째 후원사로 선정돼 (싱가포르 2022년 6월 1일 PRNewswire=모던뉴스) 세계 굴지의 생명공학 기업 Amgen[ https://www.amgen.com/ ]과 싱가포르에서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굴지의 생명공학 인큐베이터 NSG BioLabs[ https://nsgbio.com/ ]가 3년 기간의 Golden Ticket 스폰서십을 개시했다고 발표했다. Amgen의 Golden Ticket 스폰서십은 혁신적인 생명공학 스타트업이 비전을 실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만든 NSG Tomorrow 프로그램의 첫 번째 스폰서십이다. 이 스폰서십의 일환으로, Amgen은 3년 동안 매년 'Golden Ticket' 상을 후원하며, 우승자에게 모든 장비를 갖춘 NSG Biolabs의 턴키 BSL-2 실험실을 1년간 무료로 이용할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우승자는 추가적인 시설 혜택, 그리고 Amgen의 과학 및 비
(상하이 2022년 5월 31일 PRNewswire=모던뉴스) 암, 염증 및 기타 중증 질환을 치료하는 이중 특이성 항체와 기타 조작된 바이오-세러퓨틱스에 집중하는 임상 단계 생물약제 기업인 QureBio Ltd.에 따르면, 올 6월 3~7일에 열리는 미국임상종양학회(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ASCO) 연례 회의에서 자사의 Q-1802 임상 프로그램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한다. 이 연구의 관련 결과를 요약한 초록은 ASCO 웹사이트(https://meetings.asco.org/abstracts-presentations/210075)에 게재됐다. 이번 발표에서는 최초로 인간 대상의 1a/1b상 다센터 개방 레이블 종양학 연구의 예비 결과를 소개할 예정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표준 치료 후 고형 종양이 재발하거나 난치성이 된 환자를 대상으로 Claudin18.2/PD-L1 이중 특이성 치료제 Q-1802의 안전성과 항암 활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베이징대학교 암병원 및 연구소의 Lin Shen 교수가 이 연구를 지휘했다. 복용량 증가 연구와 복용량 확대 연구에서 나온 Q-1802 단일 치료제의 핵심 데이터에 따르면,
신규 보툴리눔 톡신 제제 '뉴럭스'가 본격 출시를 위한 최종 단계에 들어섰다. 메디톡스(대표 주희석, 오경석)는 식품의약품안전처(MFDS)에 미간주름 개선을 적응증으로 신규 톡신 제제 ‘뉴럭스(NEWLUX, MBA-P01)’의 품목허가를 신청했다고 31일 밝혔다. ‘뉴럭스’는 ‘MBA-P01'의 공식 제품명으로 새로움(NEW)과 빛의 세기를 나타내는 ‘럭스(LUX)’가 결합돼 ‘새로운 빛’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차세대 보툴리눔 톡신 제제 ‘뉴럭스’는 개선된 최신 공정을 적용해 불순물에 의한 오염 가능성을 낮춘 것이 특징이다. 균주 배양 과정에서 비동물성 배지만 사용했으며, 화학물질 처리 과정을 원천 배제해 독소 단백질의 변성을 최소화함으로써 제품의 안정성을 높였다.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해 개발된 ‘뉴럭스’는 지난 2020년 9월 호주에서 임상 2상을 마쳤으며, 지난 4월 3상 임상시험에서 유효성과 안전성을 입증했다. 메디톡스코리아 주희석 대표는 “이번 허가 신청으로 차세대 톡신 제제 ‘뉴럭스’의 출시가 최종 단계에 들어섰다”며, “뉴럭스의 성공적인 시장 진입을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해 글로벌 톡신 시장을 석권하는 게임 체인저로 성장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비소세포폐암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EGFR 변이는 우리나라 환자들 40~50%에서 해당되며 이중 2%는 엑손 20 삽입 변이를 지니고 있다. EGFR 엑손 20 삽입 변이 비소세포폐암은 엑손 19 결손 및 L858R 등 다른 변이에 비해 전체생존기간 중앙값이 25.5개월 대비 16.2%개월로 나타날 만큼 예후가 좋지 않다. 그러나 EGFR 엑손 20 삽입 변이 비소세포폐암은 기존에 승인된 치료제도 없었을뿐더러, 기존 EGFR 치료제로는 효과가 없어 항상 새로운 치료 옵션에 대한 미충족 수요가 존재해왔다. 이러한 시대적 과제를 안고 있는 가운데, 최근 한국얀센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EGFR 엑손 20 삽입 변이 비소세포폐암을 치료하는 ‘리브리반트’(성분명 아미반타맙)을 출시해 주목되고 있다. 리브리반트는 EGFR 과 MET을 직접 표적하는 작용 기전으로 리간드 결합을 차단하고 EGFR, MET의 분해를 향상시켜 신호전달 기능을 방해한다. 이를 통해 종양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종양 세포의 사멸을 유도한다. 한국얀센이 23일 리브리반트의 국내 출시를 기념해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간담회에서는 연세암병원 폐암센터장을 맡고 있는 조병철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새로운 최대 주주를 맞이한 휴젤이 ‘글로벌 메디컬 에스테틱 선도 기업 도약’을 향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휴젤㈜(대표집행임원 손지훈)이 19일 이사회를 열고, 세계적인 메디컬 에스테틱 기업 앨러간(Allergan, 현 애브비)의 전 최고경영자(CEO)이자 회장직을 역임한 ‘브렌트 손더스(Brent L. Saunders)’를 이사로 선임하기 위한 임시 주주총회를 소집한다고 공시를 통해 밝혔다. 오는 6월 29일 임시 주주총회를 통해 브렌트 손더스를 기타비상무이사로 선임한 뒤, 이사회 의장으로 선출하여 휴젤 이사회를 이끌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이사 후보로 추천된 브렌트 손더스는 제약, 바이오 및 헬스케어 산업에서 약 25년간의 경험을 쌓아온 전문가로 세계 유수 기업의 주요 임원직을 역임해 왔다. 특히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세계 1위 메디컬 에스테틱 업체인 앨러간(현 애브비)의 대표이사 및 회장을 맡아 보툴리눔 톡신 제제 ‘보톡스’, 필러 브랜드 ‘쥬비덤’ 등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메디컬 에스테틱 제품 포트폴리오를 이끌며 지난 2020년 애브비와 630억 달러 규모의 M&A를 성사시킨 공로를 인정받고 있다. 그는 앨러간 외에도 ▲쉐링프라우(Sche
휴젤㈜(대표집행임원 손지훈)이 지난 4월 온라인 학술행사 ‘H.O.P.E : 스킨부스터 바로알기’를 진행했다고 18일 밝혔다. H.O.P.E는 ‘Hugel Outstanding Professional Euducation’의 약자로 기존 국내외 시장에서 휴젤의 기업 신뢰도와 인지도 제고에 주된 역할을 하고 있는 글로벌 학술포럼 ‘H.E.L.F(Hugel Expert Leader’s Forum)’에 이어 국내 메디컬 에스테틱 산업을 리딩 하는 대표 기업으로서 휴젤이 새롭게 선보이는 학술 활동이다. 매 회 주제별 미용, 성형 시술과 관련된 주제를 선정, 메디컬 에스테틱과 관련된 다양한 학술 정보를 제공하고 최신 지견을 나누는 새로운 창구의 역할을 해 나갈 예정이다. 이번 H.O.P.E는 ‘스킨부스터 바로알기’를 주제로 진행됐다. 현재 국내 기준 약 600억원 규모로 추정되는 스킨부스터 시장은 최근 피부 개선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요가 확산되며 가파른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맞춰 스킨부스터 시장 특성에 대한 정보공유와 교육이 필요시 되는 만큼 휴젤은 H.O.P.E의 첫 주제로 ‘스킨부스터’를 선택했다. 휴젤 의학본부 문형진 부사장의 인사말로 시작한 H.
SK바이오사이언스가 또 하나의 자체 백신을 확보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세계적인 수준의 백신 생산 및 개발 기술력으로 주목받은 SK바이오사이언스가 글로벌 기업으로의 성장세에 탄력을 가하는 모습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사장 안재용)는 IVI(International Vaccine Institute, 국제백신연구소)와 공동 개발한 장티푸스백신 ‘스카이타이포이드 멀티주(과제명 NBP618, 이하 스카이타이포이드)’의 수출용 품목허가를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최종 획득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로써 SK바이오사이언스는 △3가 세포배양 독감백신 △4가 세포배양 독감백신 △대상포진 백신 △수두 백신 △폐렴구균 접합백신에 이어 여섯 번째 자체 백신을 확보하게 됐다. 스카이타이포이드는 지난 2013년 SK바이오사이언스와 IVI가 접합백신 생산기술을 적용해 개발에 착수한 장티푸스백신이다. 연구개발 초기 단계부터 빌&멜린다게이츠재단(Bill & Melinda Gates Foundation)이 연구비를 지원했고 SK바이오사이언스가 연구개발 및 생산과 인허가를, IVI는 글로벌 임상을 담당했다. 스카이타이포이드는 항원 역할을 하는 장티푸스균의 다당류를 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