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6텔darknessDB{}사업자디비문의!◀'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198,248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은 오는 7월 5일부터 8월 18일까지 비만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공감대 형성으로 비만예방의 필요성 인식 개선과 창의적인 홍보 콘텐츠를 발굴하고자 ‘2017 비만예방 슬로건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공모전은 전 국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비만에 대한 심각성을 알리고, 예방할 수 있는 내용을 담은 슬로건을 공모한다. 출품작은 한글 또는 영문(혼용 가능)의 20자 이내 규격으로 개인 창작물이어야 하며, 8월 18일 오후 6시까지 비만예방 공모전 담당자 메일(leeej3@hanmail.net)로 접수하면 된다. 접수된 응모작은 목적성, 전달성, 참신성, 대중성, 활용성 분야를 중심으로 내부·외부전문가 심사를 단계적 거쳐 수상작을 선정하여 9월 18일 공단 홈페이지(www.nhis.or.kr) 및 건강iN 홈페이지(hi.nhis.or.kr)를 통해 발표할 예정이다. 당선자에게는 최우수상(1명) 50만원, 우수상(2명) 각 30만원, 장려상(3명) 각 20만원의 상금과 건보공단 이사장 상장을 수여하며, 입선자(30명)는 5만원 상당의 온누리 상품권을 지급한다. 공모전 입상작은 건보공단 비만예방사업의 홍보, 캠페인 등에 활
전북대학교병원(병원장 강명재)은 진단검사의학과 최삼임 교수가 최근 대한의사협회가 주최하는 제16회 의인미술전람회에서 서예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했다고 4일 밝혔다. 대한의사협회가 주최하는 의인미술전람회는 의사출신 예술인들이 서양화와 동양화, 문인화, 서예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출품해 3년에 한번씩 열리고 있다. 최 교수는 16회째로 열린 2017년 의인미술전람회에 구양수 논법첩의 명언을 행서로 쓴 서예작품을 출품해 최우수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최 교수는 이번 대회뿐만 아니라 2008년 제13회 대회에서 수묵화 ‘소국의 속삭임’으로 우수상을 수상했으며, 2014년 제15회 대회에서 수묵화 ‘홍매’를 출품해 ‘특선’을 받는 등 같은 전시에서 3회 연속 수상의 기록을 남겼다. 20여년 전 서예에 입문한 최 교수는 현재 전북대교수서예회 등에서 활동을 하고 있다. 또한 문인화는 8년 전 벽경 송계일 선생의 사사를 받아 입문했으며 벽경의 제자들이 모여 만든 ‘선묵회’ 와 다양한 그룹전을 통해 꾸준히 전시활동을 하고 있다
*별세 4일 *빈소 서울대병원 장례식장 2호실(T. 02-2072-2011) *발인 6일 오전 7시 *장지 곤지암 소망동산.
건양대학교병원은 4일 오전 11시 30분 암센터 5층 대강당에서 키즈오페라 ‘안녕, 딸꾹!’ 공연을 개최했다. 이번 공연은 어린이 환우와 가족들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음악을 통한 빠른 쾌유에 도움을 주고자 한국메세나협회 주관으로 개최되었다. 어린이 관객들은 여주인공 ‘벨’이 딸꾹질 콤플렉스를 극복하고 노래자랑 대회에서 우승하기까지의 과정을 함께 하며 다양한 뮤지컬 속 주인공들을 만나는 시간을 가졌다. 공연 후에는 오페라 출연진들이 참석한 환아들에게 캐릭터 책자와 비타민 사탕을 선물하는 시간도 마련되었다.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이 7월 11일(화) 오후 2시부터 충무아트홀(중구 신당동) 1층 컨벤션센터에서 '나에게 맞는 올바른 건강검진 받는 방법'을 주제로 건강강좌를 개최한다. 이번 강의는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조영규 교수가 건겅 검진으로 찾을 수 있는 질환에 관해 설명하고 결과 상담 방법, 건강 검진 부작용을 줄이고 올바르게 건강검진을 받는 방법 등에 대해 강의할 예정이다. 문의 전화: 02-2270-0439 (서울백병원 사회사업실)
암 투병 끝에 고인이 된 어머니의 유지를 받든 부부가 호스피스 완화의료 병동 발전과 환자들을 위해 써달라며 울산대학교병원에 기금을 전달해 훈훈한 소식을 전했다. 29일 울산대학교병원에 따르면 고인의 아들 안세봉씨와 부인은 가족들과 협의를 통해 어머니인 고(故) 김복선 여사의 이름으로 울산대학교병원 호스피스완화병동 발전기금 500만원을 전달했다. 고 김복선 여사는 난소암으로 수술과 항암치료로 받으며 암 투병 중이었으나 안타깝게 상태가 악화됐다. 더 이상의 치료가 어려워 호스피스 병동입원 후 가정방문 치료와 병동 입원을 하며 임종을 준비하게 됐다. 유가족 측은 고인이 유명을 달리하는 순간까지 성심성의껏 본인을 치유하고 걱정해준 울산대학교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 병동 의료진들에게 감사해하며 항상 꼭 보답을 하고 싶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임종 후 가족들도 의료진의 진심어린 노고에 깊은 감명을 받았으며 말씀하신 모친의 뜻을 받드는 것에 가족들도 한 뜻으로 찬성해 발전기금 전달을 전달한다고 설명했다. 안세봉 씨는 “어머니가 생전에 불우한 환자들을 위한 기부에 관심이 많으셨다. 본인이 호스피스 병동 입원 후 치료를 받으시며 많은 환자들도 많은 도움을 받길 길 원하셨다.”며
부광약품은 2015년도부터 투자해 온 미국 울트라 희귀 의약품 개발 제약회사 Acer Therapeutics Inc. (에이서 테라퓨틱스 이하, Acer)가 미국 NASDAQ 상장사인 Opexa Therapeutics, Inc. (오펙사 테라퓨틱스 이하, Opexa)와 합병한다고 3일 밝혔다. 3일 미국에서 합병계획이 발표됨에 따라 NASDAQ 상장사 Opexa Therapeutics, Inc.의 주가는 약 77% 상승 마감하였다. 본 합병에 따라 기존 Acer의 주주들은 88.8%의 지분을, 기존 Opexa의 주주들은 11.2%의 지분을 보유할 것으로 예상되며, 2017년 3분기에 합병 절차가 완료되면 Opexa는 Acer Therapeutics Inc.로 상호를 변경하여 NASDAQ에 변경 상장하게 된다. 부광약품은 Acer Therapeutics Inc.(Acer)에 400만 불을 투자하여 합병 전 약 13%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Opexa와의 합병으로 NASDAQ에 상장됨에 따라 시세 차익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Acer의 CEO인 Chris Schelling 등에 따르면 향후 Acer는 지속적인 희귀병치료제 개발에 주력할 예정이며, 주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원희목)는 4일 바이오의약품과 4차산업 부문에 이어 허경화 현 IMS코리아 수석고문을 국제담당 부회장(비상근)으로 임명했다. 서울대학교 약학과를 졸업한 허 부회장은 바스프 코리아 부서장, 크놀 파마 코리아 지사장, 퀸타일즈 코리아 사장, 파마링크 코리아 사장, IMS헬스코리아 사장을 역임했다. 허 부회장은 글로벌 헬스케어 통계분석 전문기업인 IMS 헬스에서 한국 대표이사 사장으로 최근까지 8년간 재직하며, 한국과 아태지역의 헬스케어 산업의 전문 경영인으로 역량을 쌓아왔다. IMS 이전에는 싱가폴에서 파마링크, 크놀파마 코리아, 퀸타일즈 코리아 사장 등을 역임하며 마케팅과 신사업개발 부문을 담당해 왔다. 협회는 허 부회장의 이같은 다양한 경험과 역량이 협회는 물론 국내 제약기업들의 글로벌 진출 등 경쟁력 강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협회는 최근 바이오와 4차산업, 국제 부문의 전문가를 잇달아 비상근 부회장 및 전문위원으로 위촉하는 등 인력을 대폭 보강했다. 향후 이들 전문가 풀을 통해 한국 제약산업의 중요 과제로 꼽히는 ▲글로벌 진출, ▲바이오의약품, ▲4차산업 영역에서 경쟁력을 제고해 나갈 계획이다. 앞서 협회는 강수형
일동제약(대표 윤웅섭)이 배우 김유정을 모델로 한 습윤드레싱 제품 ‘메디터치 H 썬프로텍션(의료기기)’의 영상광고를 선보였다고 4일 밝혔다. 이번 광고는 상처면이 자외선, 물, 습윤드레싱의 점착력 문제 등에 의해 두 번 상처받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두 번 상처받지 말고 터치터치’라는 메인 카피를 내세웠다. 영상 속에서 작은 김유정은 클로즈업한 큰 김유정에게 햇빛 공격, 물뿌리기 공격, 상처 잡아당기기 공격을 펼치지만, 큰 김유정이 붙이고 있는 메디터치 H 썬프로텍션이 상처를 보호해준다는 특징을 재미있게 표현했다. 메디터치 H 썬프로텍션은 차단지수 50+의 자외선 차단 기능과 생활 방수 기능은 물론, 드레싱의 테두리를 얇게 하여 밀착력을 높인 베벨링 공법을 적용하는 등 상처 보호 기능에 더욱 중점을 뒀다. 김유정은 광고 콘셉트에 맞게 귀여운 악동 이미지의 모던걸, 썸머걸, 카우걸 등으로 등장, 색다른 모습과 다양한 매력을 발산했다. 한편, 메디터치 이벤트 페이지(http://meditouch.kr)에서는 김유정의 광고 영상을 시청하고 ‘내 상처에 가장 필요한 메디터치 H 썬프로텍션의 매력’에 대해 투표하는 이벤트를 진행 중이다. 일동제약
한국오노약품공업(대표이사 이토 쿠니히코)과 한국BMS제약(대표이사 박혜선)은 한국인 비소세포폐암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옵디보의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한 국내 2상 임상시험 ONO-4538-09의 결과, 58.3%의 1년 생존율(OS)과 20%의 객관적 반응률(ORR)을 보였다고 밝혔다. 이는 PD-L1 발현 여부나 종양의 조직학적 특성과 관계없이 나타났으며, 지난 5월 유럽폐암학회(Europe Lung Cancer Conference)에서 발표됐다. ONO-4538-09 임상시험은 글로벌 3상 임상시험으로, 편평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CheckMate-017과 비편평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CheckMate-057에서 나타난 옵디보의 효능과 안전성이 한국인에게도 일관되게 나타나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진행된 국내 가교임상시험이다. 이전에 백금기반 화학요법으로 치료 받은 적 있는 3, 4기 혹은 재발성 비소세포폐암 한국인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임상시험으로, 현재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하는 국내 면역항암제 임상시험 중 최대 규모이다. PD-L1 발현 여부 및 종양의 조직학적 특성과 관계없이 국내 비소세포폐암 환자 100
경북닥터헬기가 임무수행 4주년을 맞은 가운데 전국 6대 닥터헬기 가운데 가장 활발한 임무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안동병원에 따르면 2013년 7월4일 출범한 경북닥터헬기는 1486회 출동을 기록했다. 이는 2011년 9월 출범한 전남 1257회, 인천 814회보다 임무 실적이 많았다. 경북과 함께 출범한 강원도는 936회 출동했다. 2016년 1월에 운항을 시작한 충남은 402회, 같은해 6월에 출범한 전북은 159회 출동실적을 보이고 있다. 경북닥터헬기는 4년간 1,486회 출동해 1,382명의 중증응급환자를 이송했다. 이송환자 현황을 보면 남자 873명(63.2%), 여자509명(36.8%)이었으며, 연령별로는 70대 380명(27.5%), 60대 267명(19.3%), 50대 254명(18.4%), 80대 239명(17.3%), 40대 122명(8.8%) 순으로 나타났다. 청색증으로 이송한 0세 신생아가 가장 어린 환자였고, 약물중독으로 이송한 100세 환자가 가장 나이가 많았다. 진단분류는 중증외상이 451명(32.6%)로 가장 많았고, 뇌출혈 및 뇌졸중과 같은 뇌질환이 305명(22.1%), 심장질환 190명(13.7%) 순이었다. 기타
사노피 젠자임(Sanofi Genzyme)은 국립보건임상연구원(NICE)이 영국 국가보건서비스(NHS)에 '세레델가(성분명 엘리글루스타트)'를 성인 제1형 고셔병 환자 대상 1차 치료제로 사용 권고한다는 내용의 최종 급여 결정을 지난 달 28일에 발표했다. 고셔병은 매우 드물게 발생하는 선천성 유전질환으로, 중증일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인구 4~6만 명당 1명 꼴로 발생하며, 국내에는 약 50 가족 중 환자 60여 명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고셔병은 완치가 불가능하지만 효과적인 치료를 통해 관리될 수 있다. 현재까지 쓰이는 표준치료법은 효소대체요법(ERT, 정맥주사 방식)이다. 그러나 정맥주사 방식의 치료에 장기적으로 의존할 경우 환자와 보호자가 평생 정기적으로 병원을 방문해야 하는 부담이 작용해 왔다. 세레델가는 글루코실세라마이드 합성효소(glucosylcermide synthase)를 억제해 글루코세레브로시다아제 효소(glucocerebrosidase)가 분해해야 하는 기질을 부분적으로 미리 줄여주는 기질 감소 치료제(Substrate reduction therapy, SRT)이다. 세레델가는 1일1~2회 복용하는 제1형
울산대학교병원(병원장 정융기)이 일반병동에서도 환자 생체정보를 지속 관찰하고 저장 할 수 있는 중앙환자감시장치를 설치하여 환자 안전과 생존률 향상에 더욱 만전을 기하고 있다. 3일 울산대학교병원에 따르면 71병동(흉부외과)에 중앙환자감시장치를 도입하여, 심장관련 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심전도, 심박수, 산소포화도, 혈압, 체온 등의 생체신호가 병동에 설치된 대형 컬러스크린을 통해 실시간 표시된다. 환자 상태가 좋지 않을 경우 알림시스템을 통해 의료진이 수시로 관찰이 가능해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중앙환자감시장치는 생명 유지와 관련된 생리학적 신호를 관찰하고 측정하는 의료장비이다. 환자의 생체 데이터를 정밀하게 관찰하고 기록하여 세밀한 치료가 가능하다. 물론 중환자 위주로 사용되는 환자감시장치는 개별 설치가 필요하며 환자 이동 시 데이터 저장의 어려움과 인력 및 비용의 문제로 사용의 제한이 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울산대학교병원은 환자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일반병동의 환자를 대상으로 도입했다. 먼저 신속한 치료가 필요한 심장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하며 중환자실에서처럼 좀 더 섬세하고 집중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된 것이다. 71병동 수간호사는 “환자의
“치매국가책임제 도입,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 의료 공공성 강화를 추진하고자 합니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문재인 정부의 첫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데 대하여 무거운 책임감과 소명감을 가진다고 3일 밝혔다. 박 후보자는 “국가 발전의 두 축은 건전한 시장체제와 튼튼한 사회안전망이다. 제가 보건복지부 장관으로 임명되면, 모든 국민이 현재의 결핍과 미래의 불안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생각하고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는 포용적 복지국가를 구축하는 데 진력하겠다. 이를 위해 성장과 복지가 함께 가는 소득주도 성장 패러다임을 실현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미래 세대를 위한 투자를 강화하고, 지금껏 가족의 헌신이 요구되던 치매 돌봄을 국가에서 책임지는 ‘치매국가책임제’를 도입하겠다. 어르신들의 편안한 노후생활을 위해 기초연금, 공적연금을 강화하겠다. 저출산을 국가 존립의 위협으로 상정하여 이를 극복하기 위한 통합적 계획과 실천방안을 마련하여 강력하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건강보험 보장성을 확대하고, 의료 공공성을 강화하여 국민 누구나 필수적인 의료 혜택을 손쉽게 받을 수 있는 최고의 의료체계를 갖추도록 하겠다.”고 다짐했다. 그는 “앞으로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건강보험제도 도입 40주년을 맞이하여, 7월4일(화) 오후 5시부터 6시까지 KBS 아트홀에서 ‘건강보장 40주년’ 기념식을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건강보험제도가 1977년 7월 1일 500인 이상 사업장을 대상으로 도입․시행된 이래, 40년간 대상자와 급여 범위 등 확대와 내실화를 거듭하여 명실상부한 보편적 건강보장제도로 자리매김한 것을 기념한다. 또한 앞으로도 지속적인 보장성 확대와 제도 개선을 통해 국민들의 의료비 부담을 경감해 나갈 것을 다짐하는 의미에서 마련되었다. 기념식에서는 국민 건강증진과 건강보장제도 발전에 기여한 공이 큰 정형선 연세대학교 교수가 황조근정훈장을, 김건상 의료기관평가인증원 이사장이 국민훈장 동백장을 수상하는 등 19명에게 훈․포장 및 대통령표창 등이 수여되고, 354명에게 보건복지부장관 표창이 수여된다. 건강보장 40주년 기념 유공 포상자 명단은 아래와 같다. 소 속 직급(직위) 성 명 포상훈격 1 연세대학교 교수 정형선(丁炯先) 황조근정훈장 2 의료기관평가인증원 이사장 김건상(金鍵相) 국민훈장동백장 3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신영석(辛泳錫) 국민포장 4 국민건강보험공단 기획상임이사 김필권(金弼
휴온스(대표 엄기안)는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박상면, 정연훈 교수 연구팀이 발굴한 감각신경성 청력소실(이하 난청) 치료 작용기전을 바탕으로 한 후보물질의 개발 기술을 이전 받았다고 4일 밝혔다. 휴온스는 향후 아주대학교 의과대학과 공동으로 감각신경성 난청 치료제 개발을 위한 산업화 연구를 진행(기술업그레이드지원사업/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함으로써 난청 치료 분야의 글로벌 신약을 개발할 예정이며, 이를 기점으로 이비인후과 영역에 대한 다양한 제품군을 확보하여 국민 건강에 이바지할 계획이다. 난청이란 음파의 전달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소리를 잘 듣지 못하는 흔한 질환이며, 산업화와 고령화로 인해 난청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난청의 예방과 적절한 치료 대책이 매우 중요하다. 세계 난청 유병자수는 약 3억 5천만 명(2012년 WHO 기준)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국내 환자수는 약 47만 명(2015년)으로 연평균 3.8% 증가하고 있다. 현재까지 특별한 치료 약물이 없는 감각신경성•혼합성•노화성 난청 환자는 약 30만 명으로, 전체 난청 환자의 약 65%에 해당된다. 국내 난청 치료제 시장은 보청기 시장을 기반으로 약 45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한국로슈진단(대표이사 리처드 유)은 6월 한 달 동안 ‘사내 계단 걷기 대회’를 진행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웰빙 프로그램은 바쁜 업무 속에서 따로 시간을 내 운동할 수 있는 기회가 적은 직원들에게 회사에서 엘리베이터 대신 계단을 사용하도록 독려해 건강을 지키자는 취지에서 기획되었다. 직원들은 각각 일, 주, 월 단위로 개인의 계단 사용량을 측정할 수 있는 ‘계단 UP’이라는 어플을 통해 본인의 계단 사용량을 확인했다. 동시에 다른 직원들의 사용량도 확인할 수 있어 동료간에 선의의 경쟁을 펼치며 많은 직원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호응을 얻었다. 회사 전체와 각 팀에서 한 달간 가장 많은 계단을 이용한 직원들에게는 발 마사지기와 건강 차 세트 등의 선물을 증정했다. 한 달 동안 1900여 층을 걸어 1위를 차지한 한대훈 사원은 “늘 업무시간이 끝난 저녁 시간을 활용해 운동을 했었는데, 이렇게 회사 내에서도 틈틈이 계단걷기를 통해 충분히 운동을 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며 “한 달 동안 하다 보니 이제는 엘리베이터보다 계단을 이용하는 것이 습관이 되었다”며 소감을 말했다. 한국로슈진단 인사부 이지숙 이사는 “한국로슈진단은 직원들의 높은 참여 속에서 지속적으로
서울제약(대표 김정호)이 경기도 시흥시 시화공장 생산시설을 충북 청주시 오송공장으로 확장, 이전하고 오송공장을 cGMP (current Good Manufacturing Practice: 선진GMP) 수준으로 확장 준공함으로써 글로벌 시장 진출 시동을 걸었다. 서울제약은 3일 충북 오송생명과학단지 내 서울제약 오송공장에서 cGMP공장 확장 이전 기념식을 가지고 서울제약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선언했다고 밝혔다. 이 날 기념식에는 황우성 회장을 비롯한 임직원들 외에 시공 건설사, 설계사 관계자들도 참석했다. 서울제약 오송공장은 대지면적 30,730m2, 건축연면적 11,000m2에 총 3층 규모로 총 425억원을 투자해 cGMP 수준으로 2013년 완공하였다. 2015년 5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KGMP 승인을 받았으며 국내 최초 ODF (Orally Disintegrating Film: 구강붕해필름) 전용 생산공장으로 지정되었다. 서울제약은 그 동안 오송공장은 ODF 제품을, 기존 시화공장은 정제, 캡슐제, 과립제 제품을 각각 생산해 왔으나 작년 12월 시화공장 시설을 오송으로 이전한 후 시험생산을 거쳐 이번 달부터 전 제형 통합 생산에 들어갔다. 김정호 사
정부(국무조정실, 식약처, 교육부, 국민안전처, 국방부,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국가보훈처,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신종 인플루엔자 치료제인 ‘자나미비르 캡슐제’ 등 17개 제품을 ‘국가필수의약품’으로 추가 지정하여 총 126개 제품을 ‘국가필수의약품’으로 관리하게 되었다고 4일 밝혔다. 국가필수의약품이란 질병 관리, 방사능 방재 등 보건의료 상 필수적이나 시장 기능만으로는 안정적 공급이 어려운 의약품으로서 보건복지부장관과 식약처장이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지정하는 의약품을 말한다. 이번 추가 지정은 지난 6월 30일 ‘2017년 국가필수의약품 안정공급 협의회’ 정기회의를 거쳐 결정되었으며, 추가 지정된 의약품은 전염병 유행, 생물테러 등 국가 비상 상황이나 방사선 방호 등 정책 목적상 필요한 것으로 공중 보건 위기상황에 국민 치료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지난해 12월에는 결핵치료제인 ‘카나마이신 주사제’ 등 109개 제품을 ‘국가필수의약품’으로 지정하였다. 현재 ‘국가필수의약품’ 126개 제품은 필수예방접종 백신 20개 등 정부 정책목적 상 필수적인 의약품 71개과 응급 의료 상 필요한 해독제 21개 등 의료현장에서 필수적인 의약품 5